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
가루받이
가루바지
꽃가루받이
습기
물기
수증기
d라이브러리
"
수분
"(으)로 총 1,297건 검색되었습니다.
[12월]도전! 과학동아 청소년 기자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내복, 그 중에서도 발열내의다. (…) 히트텍은 우리 몸의 미세한
수분
을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흡습발열의 원리를 이용한다. (…) 흡습발열 외에 다른 원리를 이용한 발열내의는 없을까? 첫째로 원적외선 반사를 이용한 섬유가 있다.” 이규민(인천국제고 2학년) 11월 중순,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탈수작용). 이 때 배추의
수분
만 빠져나가는 것이 아니다. 미생물의 세포막 안쪽에 있는
수분
도 빠져나가며 미생물을 죽게 한다.그렇다면 김치는 왜 ‘소금’에 절일까. 과거에 소금은 아주 귀한 식재료여서 음식에 사용하기 어려웠는데도 말이다. 배추를 소금에 절이면 다른 절임과 마찬가지로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못해 체온이 올라가면 혀를 내밀고 헉헉거린다. 공기를 움직여 혀와 폐의 표면에 있는
수분
을 증발시켜 온도를 낮추고 몸 안의 뜨거운 공기를 밖으로 빼내기 위해서다. 다람쥐나 햄스터 같은 동물은 입 안에 주머니가 있다. 그래서 여러 번 돌아다니지 않고 한꺼번에 많은 양의 먹이를 모아서 보관할 ... ...
[life & Tech] 설탕과 펙틴이 만나면 과일이 끈적끈적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잘게 썰어서 꿀에 재우는 것이었어요. 농도를 높이면 과일에 살고 있던 세포가
수분
을 모두 잃어버려 과일이 더 이상 상하지 않거든요(삼투현상). 이런 방법으로 마멀레이드나 과일젤리를 만들었답니다. 뜨거운 물에 섞어 차로 마시거나, 탱탱한 젤리를 디저트로 즐겼지요.13세기에는 아시아에서 ... ...
생태계 파수꾼 꿀벌, 도시 하늘을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0호
꿀을 만드는 데 에너지를 많이 쓴다. 꿀벌은 당도 80%까지 꿀을 농축해서 보관하는데,
수분
을 줄이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들어가기 때문이다. 꽃이 다양하게 피어 있으면 에너지를 아끼기 위해 꿀벌은 당도가 높은 꽃을 우선 찾아갈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도시는 꽃이 다양하지 않아서 선택의 여지가 ... ...
새댁기자의 쿡쿡 맛있는 과학 - 6화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생성해 오랫동안 움직이려면 붉은 근육이 많이 필요하답니다.붉은 살은 흰 살에 비해
수분
과 단백질은 부족하지만 지방질이 풍부해 고소해요. 또 크고 작은 아미노산을 많이 가지고 있어요. 이 물질들은 가열하면 서로 반응하면 서 수많은 방향성 화합물을 만들어 다양하고 풍부한 맛과 향을 내요. ... ...
젊은이 부럽지 않은 꽃할배의 비밀은?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수초 정도 기억하는 ‘즉각 기억’은 젊은이와 차이가 없지만, 이런 짧은 기억을
수분
~수시간 가량 기억하는 ‘단기 기억’은 젊은이보다 떨어졌다. 하지만 기억을 꺼낼만한 단초(메모나 물건 등)가 있으면 큰 차이가 없었다. 이런 기억을 수개월~수년 이상 기억하는 장기 기억 능력도 마찬가지다. ... ...
생면으로 요리한 봉골레 파스타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층이 파괴돼 전분이 바깥으로 빠져나와요. 안쪽에 있는 글루텐 조직과 전분 알갱이는
수분
을 흡수해 팽창해요. 그래서 요리사들은 파스타 중심이 약간 설익어 씹히는 느낌이 드는 ‘알 덴테(al dente)’ 정도로 익혀요. 다 익은 파스타는 체로 걸러 넓적한 쟁반에 두고 올리브유를 둘러주어요. 면끼리 ... ...
[life & Tech] 물과 불과 시간이 만든 돌의 정원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수분
이 바위틈에서 얼어붙으면서 팽창해 물리적 풍화가 이루어진다. 고도가 높아 이런
수분
팽창 주기가 1년에 약 200회 정도 반복된다. 하지만 풍화에 상대적으로 강한 사암이나 실트스톤 등은 남아서 후두, 핀, 그리고 마치 아치형의 창문과 같은 ‘윈도우’라 부르는 지형을 이루게 된다. 풍화에 ... ...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유전공학은 전통적인 육종방법도 도와요. 예전에는 오이맛 나는 고추를 얻으려면 10번쯤
수분
을 하며 10년 이상 키워야 했어요. 요즘은 어린 고추 싹 DNA를 분석해 열매를 맺기 전에 확인해서 필요한 것만 증식해 시간을 3분의 2나 단축시켰답니다.비타민A 가득 황금쌀 개발동남아시아 사람들은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