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뉴스
"
은하
"(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3년 뒤면 ‘火星 바람소리’ 듣는다…프랑스 IRAP 연구소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8.07.13
설립했다. 우주탐사용 관측 기기 개발 외에도 지구와 태양계부터 외계행성과 별, 블랙홀,
은하
에 이르기까지 우주과학 전반의 기초 연구를 수행한다. 한 연구원이 태양 궤도선 ‘솔라 오비터’의 입자 분석기기(PAS)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멸균실 왼쪽 아래에 보이는 작은 장비가 천체물리학 및 ... ...
별 집어삼키는 초거대 블랙홀의 ‘트림’ 포착
과학동아
l
2018.07.09
오랜 기간 공동연구를 통해 이룩한 성과”라며 “제트 현상을 관찰하면 수억만 년 전
은하
가 생성된 환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126/science.aao466 ... ...
“우주 3대 난제를 풀어라” 물리학자 1200명 서울서 머리 맞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06
암흑물질은 우주의 약 27%를 차지하며 강한 중력을 발생시키는 근원이다. 우주 초기에
은하
나 우주의 구조를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추정된다. 암흑물질의 정체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롤프디터 호이어 전 소장은 표준모형의 마지막 기본 입자인 ‘신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
2018.07.03
약 46억 년 전 태양계를 이룬 물질도 거슬러 올라가면 우리
은하
를 넘어 다른
은하
와
은하
간공간에 이를지도 모른다. 우리가 마시는 물 한 모금에 100억 년 전에는 뜨거운 WHIM에 있었던 산소 원자가 들어있다는 게 믿어지지 않지만, 과학은 그럴 수도 있다고 조용히 말하고 있다. ※ 필자소개 ... ...
노벨상 수상자의 일갈 “젊은 과학자에게 자유를”
동아사이언스
l
2018.07.03
한 분야만 연구하기에도 벅찬 심오한 세계다. 두 분야의 거리를 비유하자면 우리
은하
와 안드로메다 사이보다도 훨씬 멀다. 내심 그가 연구 분야를 바꾼 이유가 궁금했다. 그는 “두 분야는 천문학에서 만난다”며 “새로운 눈으로 미래의 천문학을 바꿀 것”이라고 말했다. 가지타 교수는 한국의 ... ...
“일반상대성이론,
은하
규모에서도 통해” 관측으로 증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6.25
중 가장 가까운 ESO325-G004라는
은하
를 고른 뒤 내부 별의 속도를 측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은하
의 질량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허블우주망원경 관측 영상으로 계산한 질량과 비교했다. 그 결과 두 값이 97% 일치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콜릿 교수는 “태양계 밖 천체를 통해 일반상대성이론을 확인한 ... ...
우주에 다이아몬드로 둘러싸인 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12
존재하는 일반적인 우주먼지보다 훨씬 작아 회전 속도가 빠르고, 이에 따라 특히
은하
에서나 방출되는 마이크로파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고온 고압환경에서 만들어지는 지구의 인공(합성) 다이아몬드와는 형성 방법이 다른 것으로 추정됐다. 그리브스 연구원은 “우주의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뚜렷한 개성 가진 인간의 친구… ‘스타워즈’
동아사이언스
l
2018.05.31
하는 로봇은 인간이라는 뜻의 'Human'에 oid를 붙여 휴머노이드라고 부른다. 스타워즈는
은하
간 우주 여행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먼 우주 시대의 이야기이다. 로봇 기술 역시 최고 수준으로 완성돼 있다. 그러니 완전히 자기 스스로 자아를 갖고 인간처럼 성격을 갖는 인공지능 로봇의 등장이 그렇게 ... ...
우리
은하
중심부에 블랙홀 1만 개
과학동아
l
2018.05.21
주변에 약 1만 개의 작은 블랙홀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헤일리 교수는 “우리
은하
중심부에 존재하는 블랙홀의 수를 알면, 블랙홀이 충돌하고 합쳐질 때 발생하는 중력파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doi:10.1038/nature2502 ... ...
빅뱅 후 5억년 만에 이미
은하
있었다...133억년 전 초기
은하
존재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8.05.17
타쿠야 하시모토 교수는 “빅뱅 후 5억년이 흐른 시점에 이미 MACS1149-JD1이
은하
로 자리잡은 것”이라며 “천문학적 시간으로 따져보면 이보다 약 2억 5000만년 이전부터 이곳에서 별이 생기기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