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뉴스
"
은하
"(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먼 곳의 중성자별 관측 가능해져” - 김정리 한국천문연구원 리더급우수과학자 인터뷰
동아사이언스
l
2017.10.17
. 단, 중성자별이 혼자있으면 중력파로도 관측이 쉽지 않은데(할 수는 있지만 우리
은하
내에 있는 것만 가능하다), GW170817처럼 중성자별 둘이 서로 공전하는 쌍성이 충돌하는 현상이라면, 중력파 검출기로 먼 우주에 있는 것까지 관측할 수 있다. 두 개의 중성자별이 충돌해 병합하면서 중력파가 ... ...
우주 보는 ‘중력의 눈’ 위력 확인해... 중성자별 세밀하게 밝힌 것도 의의
동아사이언스
l
2017.10.17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상하게 중력렌즈(푸른색)로 두
은하
단의 중력 중심을 찾아 보면
은하
단들이 이미 스쳐지나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과학자들은 이 기묘한 현상을 바탕으로 눈에 보이지도, 빛과 상호작용하지도 않는 암흑물질이 중력 중심 주위에 존재한다고 추정하고 있다. - NASA 제공 [우주 ... ...
지구로 중력파 보낸 천체 위치, 처음으로 확인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0.17
이론대로 우주에서 일어난 핵융합에 의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또 다른
은하
에 속한 먼 거리의 위치를 알게 됨으로써 우주의 팽창 정도를 이해하는 데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 성과는 최고 권위 국제학술지 ‘네이처’와 천문물리학분야 최상위급 학술지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구상하는 재미에 푹 빠져 지냈다. 그러던 중 1969년 미국 메릴랜드대 조제프 웨버 교수가
은하
중심에서 중력파를 검출했다는 소식을 접한 드레버는 더 정밀한 장비를 만들어 이 결과를 재현해보기로 했다. 웨버의 데이터는 신호가 아니라 노이즈(잡음)일 가능성도 컸기 때문이다. 드레버는 웨버의 바 ... ...
[2017 노벨 물리학상] 100년 전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 검출을 이끈 과학자들
2017.10.04
것과 같다. 또한 우주 전체는 중력파로 인해 계속해서 진동을 하고 있을지 몰라도 우리
은하
에서는 폭발적인 사건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더 먼 곳을 살펴봐야 하는 셈이다. 미국 레이저간섭계관측소(LIGO)에서 관측한 첫 중력파의 기원. 13억 광년 떨어진 지점에서 태양 질량의 각각 29배, 36배인 두 ... ...
블랙홀 충돌로 네 번째 중력파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을 이끄는 이형목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지금까지는 어느
은하
에서 블랙홀이 충돌했는지 알 수 없지만 인도와 일본이 곧 새로운 검출기를 가동하면 충돌 위치의 정확도가 한결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 ...
페루 사막의 우주 쇼 ‘2017년 최고의 야경 사진’
팝뉴스
l
2017.09.21
것처럼 보인다. 사막은 아름다운 지구의 표면이다. 그 위를 사람이 걷는다. 밤하늘에는
은하
가 흐린다. 게다가 달과 금성이 가까이 붙어 있다. 프랑스의 ‘밤을 찾는 사람들’이 발표한 ‘2017년 최고의 야경 사진’ 입상작이다. 자연의 거대함 그리고 압도적인 아름다움을 느끼게 만드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밝기는 -2.5 등급으로 태양과 달 다음으로 밝았고 3주 넘게 낮에도 보였다고 한다. 우리
은하
정도 크기라면 대략 50년에 한 번 꼴로 초신성 폭발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케플러 초신성 이후 400년이 넘도록 조용한 건 이례적인 일이다. 1437년 신성 폭발을 일으킨 백색왜성이 동반성에서 물질을 ... ...
해파리
은하
중심에 거대 블랙홀이 있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8.17
운동량을 잃고 중심으로 빨려들어가면서 블랙홀을 형성할 수 있다”며 “특히
은하
의 반경이 작고 이동속도가 빨라 자체 중심으로 작용하는 힘이 크면 차가운 가스가 모여 블랙홀을 만들 확률이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은하
회전 속도 차이 나는 이유 밝혔다
과학동아
l
2017.08.03
가설이 사실이 아님이 입증됐다. 연구팀은 “병합으로 인한 환경 변화가 아니라, 타원
은하
의 초기 형성 과정에서 별이 탄생하는 중심부의 메커니즘으로 인해 각운동량이 낮은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천체물리학저널’ 7월 11일자에 발표됐다. doi:10.3847/1538-4357/aa789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