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뉴스
"
은하
"(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은하
에서 가장 오래된 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07
시기는 80억~100억 년 전으로 추정돼왔다. 하지만 이번에 135억 년 전 별이 발견되면서 우리
은하
의 생성 시기도 기존 예상보다 앞당겨지게 됐다. 별의 질량이 태양의 10분의 1 수준밖에 되지 않는 것 역시 2MASS J18082002–5104378 B가 가진 독특한 특징이다. 쉬라우프먼 교수는 “그동안 발견된 30여 개의 ... ...
찾았다!중성자별 쌍성계
과학동아
l
2018.11.05
‘사이언스’ 10월 12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구에서 약 9억2000만 광년 떨어진
은하
외곽의 ‘iPTF 14gqr’이라는 별이 폭발했 다가 사라지는 과정에서 쌍성계가 탄생하는 모습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보통 태양 질량의 8배가 넘는 거대 항성은 중 심부에서 수소 연소가 끝나면 내부 핵이 붕괴 ... ...
지구 닮은 행성 존재 알리고 은퇴하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2018.11.03
- NASA 제공 케플러의 업적 케플러는 9년 동안의 행성 탐사 임무를 통해 2681개의
은하
계 외계 행성을 발견하며 태양계 외에 존재할지 모를 우주의 존재를 밝혀냈습니다. 또 케플러가 골라낸 2899개의 외계 행성 후보 별들은 추가적인 분석과 후속 관찰을 통해 새로운 행성으로 발탁될 심사를 ... ...
우주팽창 설명한 '허블의 법칙'이름 바뀐다…새 이름 ‘허블-르메트레 법칙’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일정한 질량을 갖지만 팽창하는 균등한 우주를 통한 우리
은하
밖의 성운들의 시선속도 설명’이란 논문을 발표했다. 당시 논문은 프랑스어로 작성된 데다 이미 학계에서 명성을 떨치던 아인슈타인이 “당신의 계산은 맞지만 당신의 물리는 말이 안 된다”고 폄하해 ... ...
우리
은하
, 100억년전 위성
은하
먹고 자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구에서 관찰한 우리
은하
. 흔히 '
은하
수'로 불린다. -사진제공 ESO 우리
은하
가 100억 년 전 주변을 도는 작은 위성
은하
를 집어삼키며 성장해왔던 것으로 확인됐다. ... 일으키는 인물”이라며 “이번 연구로 가이아의 데이터에 깊이 묻혀 있던 진실이 우리
은하
를 뒤흔들고 있다”고 말했다. ... ...
2600개 외계행성 찾은 케플러 우주망원경 '영면'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때만 해도 태양계 밖에 존재하는 행성을 찾아내지 못했었다”며 “케플러는 우리
은하
에 존재하는 무수한 행성의 존재를 우리에게 확인시켜줬다”고 말했다. 케플러가 태양계 밖의 세계에 대한 인류의 지식을 넓혀줬다는 설명이다. 케플러는 지난해 9월 토성의 고리 속으로 떨어지며 사라진 ... ...
마젤란이 본 위성
은하
'마젤란'은 충돌중
동아사이언스
l
2018.10.27
때문이다. 이 연구가 맞다면, 현재 소마젤란
은하
는 다시 한번 충돌하기 위해 대마젤란
은하
에 접근하는 중이다. 연구팀은 충돌이 언제 일어날지는 아직 예측하지 못했다. ... ...
중심에 거대질량블랙홀 2개 가진
은하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18.10.25
도는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이 거대질량블랙홀들이 결국 충돌해 합쳐져 더 큰
은하
와 거대질량블랙홀을 형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방출된 물질은 우주의 차가운 기체를 가열해 별을 탄생하게 하는 데 이용될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축이 회전하며 물질을 여러 곳에 흩어지게 해 넓은 곳에서 ... ...
호주 사막 공원의 찬란한 밤하늘
팝뉴스
l
2018.10.20
오래 세월을 거쳐 조개껍질로 만들어진 것이다. 지난달 촬영된 사진에는 우리
은하
(Milky Way Galaxy)와 목성(Jupiter)그리고 토성(Saturn)도 모습을 드러냈다. 거문고자리의 베가 등 유명한 별들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아무도 보지 않는 순간, 우주와 지구가 함께 눈부신 쇼를 펼치고 있었다고 하겠다. ... ...
탐사로봇은 실종, 우주망원경 또 고장…우주개발 '삐거덕'
동아사이언스
l
2018.10.15
분야의 영상을 제공해 왔다. 찬드라 X선 탐사선이 촬영한 대표적인 이미지인 '총알
은하
단'. 분홍색이 X선 영상으로, 물질(분홍색)과 중력원(파란색)이 일치하지 않는다. 강한 중력을 지닌 암흑물질의 증거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진 제공 NASA 1990년 발사돼 1993년부터 운영에 들어간 대표적인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