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놀이하는 동물, ‘꽃보다 악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깊숙하게 문 육식공룡의 이빨자국과는 달랐으며, 이런 이빨자국이 발견되는 뼈 화석은 모두 살점이 별로 붙어있지 않는 부위였다. 그래서 로스차일드 박사는 이 얕은 이빨자국들이 심심한 티라노사우루스류가 초식공룡 뼈를 주둥이로 갖고 놀다가 생긴 자국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물론 이러한 ... ...
- “반복되는 표절, 막을 방법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단점이 있었다. 대학전공과목 레포트를 이런 기준으로 검사한다고 생각해보라. 모두 비슷한 용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줄줄이 표절이 된다. 디박은 이보다 훨씬 정교한 정렬형 알고리듬을 국내 최초로 사용했다.Q 디박은 어떻게 표절을 찾아내나A 정렬형 알고리듬은 단어는 물론, 구조까지 비교해서 ...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힘들다. 유속이 느려지는 전류 때만 잠수할 수 있는데, 하루에 3~4회 돌아오는 전류 때를 모두 합쳐도 2~8시간에 불과하다. 특히 태양과 달, 지구가 일직선으로 위치한 보름·그믐(대조기)으로 다가갈수록 작업하기가 어렵다. 7~8월에는 태풍을 피해 철수해야 하고, 12~2월에는 높은 파도를 피해야 한다. ... ...
- 마법사라 불린 사나이의 민낯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될 수 있었던 걸까.테슬라는 미국이 아닌 동유럽 세르비아 출신이다. 아버지와 삼촌은 모두 세르비아 정교회의 성직자였고 여기에 영향을 받은 그 역시 독실한 신자였다. 오스트리아에서 공학을 배운 이 청년이 미국에 첫 발을 내딛은 것은 1884년. 동전 한 푼 없는 빈털터리 신세였다. 그랬던 그가 ...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널리 분포하고 있고 자유롭게 날아다니기도 한다. 병원체를 쉽게 전파할 조건이 모두 갖춰진 것이다. 그래서 감염병 학자들은 신종 바이러스의 주요 원인으로 유인원, 설치류와 함께 박쥐를 주목하고 있다. 메르스 바이러스 역시 낙타는 중간숙주일 뿐이고, 자연숙주는 박쥐일 가능성이 높다. ...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역시 레이저 빛을 쪼여 가공한 것이고요. 가상현실 게임이나 3차원 홀로그래피 영상도 모두 빛으로 이뤄집니다. 스텔스 전투기나 고에너지 레이저 무기는 또 어떻고요. 다 얘기하자면 밤을 새야할 걸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뒷장으로 이동하겠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인간형 로봇 기술은 로봇 분야에선 기초기술에 해당한다”며 “이번에 받은 상금은 모두 새 로봇을 개발하는 연구비에 재투입할 예정이다. 앞으로도 로봇기술 진전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휴머노이드 로봇의 발전을 위해 밤낮없이 노력하는 KAIST 연구진이 앞으로 더 큰 기술진보를 ... ...
- 메르스 공포가 이웃을 향할 때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대한 혐오감이 커진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의도하든 의도하지 않았든 두 가지 현상 모두 본인이 정상이라고 여기는 기준이 있고, 거기에서 벗어나는 사람을 잠재적 감염원으로 지각하는 것이 근본적인 이유다.이렇게 공포는 익숙지 않은 존재를 꺼리게 하는 반면 이미 익숙한 존재는 더 좋아하게 ...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논리실증주의의 입장에서 어떤 식이 과학적으로 의미가 있으려면 식의 왼쪽과 오른쪽이 모두 측정할 수 있는 양이어야 했다. 뉴턴의 운동법칙처럼 말이다. 그런데 볼츠만의 엔트로피식은 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 엔트로피는 들어오고 나가는 열의 양과 온도를 이용해 계산할 수 있다. 하지만 ...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도움을 주고 있다. 지금 독자들이 앉아 있는 건물의 철골이나 오늘 탔던 차량의 강판들은 모두 카리지니 인근 지역의 철광석을 수입해서 만든 것이다. 철은 현대사회의 번영을 가능케 한 근간 물질이다. 이렇게 생각하면, 우리 삶과 무관할 것 같던 고대 지구의 지질 현상이 우리의 일상과도 밀접한 ... ...
이전4314324334344354364374384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