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부
일체
전체
총체
첫머리
모든
온갖
d라이브러리
"
모두
"(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달콤한 소주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열처리를 하기 때문에 생과즙을 첨가하면 색이 변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모두
가 알다시피, 시판 중인 과일 소주는 전부 투명하다. 비결은 뭘까.답은 제균필터에 있다. 열처리로 살균하는 대신 미세한 필터에 걸러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또 다른 비결은 청징농축액이다. 천연과즙을 ... ...
너도 금사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알바생은 소년에게 교회에 같이 나가자고 했고요(ㅋㅋㅋ). 어쨌든 이번 일로 소년과 소녀
모두
서로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답니다.♥ * 이벤트는 종료되었습니다 ... ...
임미희 자연과학부 교수 - 알츠하이머 고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비해 이 병은 알려진 게 많지 않다. 병의 원인으로 여러 가지가 제시되고 있기는 하지만
모두
추정일 뿐이었다. 임미희 UNIST 자연과학부 교수가 연구 성과를 내기 전까지는. 임 교수는 지난해 5월, 알츠하이머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베타 아밀로이드’가 뇌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 확인하는 ... ...
세계1위 로봇 휴보에겐 ‘포도’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한 군데서 에러가 나면 전체를 손봐야 하는 다른 팀의 시스템보다 편리하다. 모듈을
모두
가동하지 않아도 돼 시스템이 가벼워지고, 하나를 수리하는 동안 다른 모듈을 쓸 수 있는 장점도 있다.로봇 보호하는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는 조종사의 명령을 받아 로봇을 구동시키지만, 때로는 조종사의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움직임도 새롭게 분석할 수 있게 됐다. 천문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위 초은하단들이
모두
‘거대한 끌개(Great Attractor)’라는 이름이 붙은 아벨 3627(왼쪽 사진➍) 쪽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렇게 함께 움직이는 초은하단 무리를 라니아케아 초은하단(Laniakea Supercluster)이라고 부르고 있다 ... ...
감정은 마음먹기에 달렸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것 역시 감정은 해석하기에 따라 달라지는 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긴장과 신난 상태
모두
기본적으로 신체적 각성수준이 높다는 점에서 비슷한 면이 많다. 그래서 긴장 상태더라도 ‘그게 아니라 신난 거’라고 해석하면 비교적 잘 납득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 ‘진정’이라는 상태는 긴장된 몸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어느 날 한 메밀면을 먹고 “메밀가루가 마치 모래를 씹는 듯하여 냉면이든 온면이든
모두
수제비처럼 뚝뚝 끊어졌다. 이것을 어떻게 먹으랴” 라고 혹평하기도 했다.효전은 1801~1806년 경남 기장에서 유배생활을 할 때에도 탐식을 멈추지 않았다. 일본 열도와 가까운 기장의 지리적 특성을 적극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XIST가 하는 일이 바로 이런 비활성화다. 그런데 XIST가 적게 발현되면 X염색체 두 개가
모두
활성화돼 이상이 생긴다.‘HOTAIR’라는 lncRNA도 주목할 만하다. 이 RNA는 자신이 위치한 염색체가 아닌 다른 염색체의 유전자를 억제한다. 12번 염색체의 HOXC 유전자에서 전사돼 2번 염색체에 위치한 HOXD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기록되는가’와 ‘기록된 정보가 다음 세대로 어떻게 넘어가는가’다. 현재는 두 질문
모두
현상적으로 존재한다는 것 외에 다른 근거가 뚜렷하지 않다.송 : 지난해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발표된 연구가 힌트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미국 에모리대 연구팀은 수컷 쥐의 발바닥에 자극을 주면서 ... ...
9년의 기다림, 몇 초의 만남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왜행성’으로 분류됐다. 명왕성이 미국인이 발견한 유일한 행성이어서인지(나머지는
모두
유럽인이 발견했다) 어떤 미국 천문학자는 이 날을 ‘명왕성을 잃어버린 날’이라며 아쉬워했다. 걱정은 몇 달 전 이미 발사된 뉴호라이즌 호였다. 발사 전부터 온갖 우여곡절이 있었는데, NASA 연구원들이 ... ...
이전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