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부
일체
전체
총체
첫머리
모든
온갖
d라이브러리
"
모두
"(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참여] 게임카페 1기, 첫 번째 수업 상상력과 논리의 멋진 조화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꽃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해 주는 게임, 수도관을 고쳐 위기에 빠진 도시를 구하는 게임 등
모두
재미있어 보였어요. 오 교수님은 “이번 수업에 발표한 모든 조가 전반적으로 수준이 높아서 어떤 게임은 그대로 만들 수도 있다”고 참가 독자들의 기획안을 평가했답니다.이번 수업에 참가한 독자들은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화석을 연구하는 과학자가 없었고, 머리뼈는 제대로 연구되지 못했다.머리뼈 화석을
모두
프랑스로 빼앗겨버린 네덜란드 과학자들은 이전에 발표된 논문만을 참고해 연구할 수밖에 없었다. 네덜란드의 과학자 아드리안 캄퍼는 고생물학자였던 그의 아버지가 발표한 논문들을 토대로 이 머리뼈의 ... ...
“ 해상 안전의 첫 걸음은 바다를 이해하는 것”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크잖아요. 구조물 자체의 크기도 그렇고 산업 규모도 크고요. 아주 다양한 분야의 학문이
모두
조화롭게 이뤄져야 하나의 결과를 낼 수 있는 복합적인 구조물이죠. 그렇기 때문에 수많은 사람들이 몇 년에 걸쳐 작업을 진행해요. 같은 나라 사람이면 그나마 수월하지만 다른 나라 사람과 함께 일하는 ... ...
지구사랑탐사대 3기 활동 전 필수 수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드디어 4월부터 지구사랑탐사대 3기의 탐사 활동이 시작돼요.그런데 그 전에 해야 할 일이 있어요. 동아사이언스 기자단과 지사탐 모둠에 가입하고, 기자단 앱을 ... 것 같아요. 그 말을 따르다 보니 아이들뿐 아니라 엄마 아빠부터 탐사를 기대하게 됐거든요. 우리
모두
즐깁시다. 파이팅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역시 주경과 똑같이 꽃잎 형태를 하고 있지요. 그래서 중앙 거울을 제외한 나머지 거울은
모두
곡면을 비대칭으로 깎아야 해요. 친구들이 본 부경이 바로 이 비대칭 거울이에요. 거울 7장이 연결돼 매끄러운 곡면을 이루도록 세심하게 계산해서 깎느라 시간이 오래 걸렸지요.”양호순 센터장님의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물길을 낸다. 나무뿌리도 물과 양분을 빨아들이기 위해 단단한 땅속으로 잔뿌리를 낸다.
모두
무언가를 효율적으로 흐르게 하기 위해 길을 낸다는 공통점이 있다.독일의 과학자 빌헬름 루는 이런 경우 대부분의 가지는 한 점에서 두 갈래로 나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때 새로 생기는 두 갈래는 ... ...
성곽 길 따라 즐기는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정하지 않았을까요? 당시 조총의 사격거리는 100보 정도였어요. ‘1보’는 사람이 두 발을
모두
한 걸음씩 움직인 거리로 약 1.2m를 말합니다. 100보면 120m 정도가 됩니다. 실제로 성벽을 따라 걷다보면 구조물이 120보~140보(144m~168m)의 간격으로 배치돼 있는 것을 알 수 있어요.이를 화성 전체로 확대해, ... ...
[지식] 근의 공식과 평양냉면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타르탈리아(말더듬이)라고 불린, 이탈리아의 수학자 니콜로 폰타나는 영광과 야유
모두
겪은 경우입니다.타르탈리아의 어린 시절은 불행했습니다. 고향에 침입한 프랑스군의 손에 아버지를 잃고 자신도 턱이 쪼개지는 큰 부상을 입었습니다. 극적으로 살아남았지만, 평생 말을 더듬는 장애를 안고 ... ...
[생활] 장바구니 속 신선한 수학 유통기한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두 경우에 따라 반응속도식의 모양도 다르다. 품질 지표별로 반응속도식을 2가지 경우로
모두
나타내 본 다음, 식이 적합한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결정계수★)의 값이 가장 큰 식을 최종 반응속도식으로 결정한다.결정계수★ 0과 1사이의 값으로 결정계수가 1에 가까운 반응식일수록 유효하다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종이 공존하며 생태계를 이루는 것을 말합니다. 같은 먹이를 놓고 여럿이 경쟁하는 데도
모두
살아남는다는 말이죠.예전에는 자원의 양이 다양한 종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봤습니다. 하지만 이런 설명은 시간이 흘러도 각 종의 개체수가 거의 일정할 것이라는 가정 아래에서만 가능하죠. ... ...
이전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