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합작투자는 물론 다국적 기업도 불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격이다. 성수기에 맞춰 상품을 내놓아야 하는 것처럼 개미들의 혼인비행도 시간을 서로
정확
하게 맞추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새 살림을 차린 여왕개미는 대부분 자그마한 단칸방 속에 스스로를 가둔 채 먹지도 않고 오로지 자식 키우기에 전념한다. 몸 속에 축적한 지방과 이젠 쓸모없게 된 날개 ... ...
1. 컴퓨터에서 맥 못추는 '과학 한글' 왜 그럴까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하나의 사용자가 경우에 따라 완성형과 조합형 소프트웨어를 번갈아 사용하기 때문에
정확
한 통계는 내기 힘들지만, 관공서를 제외한 대부분 사용자들이 워드프로세서로 만든 데이터는 2바이트 조합형 한글코드로 되어 있다고 해도 크게 틀리지는 않을 것이다.요즘은 조합형 한글을 기본으로 하는 ... ...
3. 통합과학문제 이렇게 출제됐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 × NT ③ $\frac{h}{mg}$ × $\frac{1}{NT}$④ mgh × NT ⑤ mgh × $\frac{1}{NT}$(학습 길잡이) 과학 개념의
정확
한 이해 필요인문계, 자연계 수리탐구영역(II) A형 19번 문제. 이 문제를 본 많은 과학교사들은 교과 구분이 안된다고 말한다. 이 문제는 생물문제인 것처럼 보이나 물리적인 개념을 ...
말 더듬는 이유 밝혀졌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고칠 수 있다. 때로 우리는 '에…' 나 '음…' 이라고 하면서 할 말을 '편집' 한다. 그리고
정확
한 문장 구조를 갖추고 다시 얘기한다. 따라서 사람은 "창밖에 구름이 옵니까? 에… 비가 옵니까?"라고 하지 "창밖에 구름이 옵니까? 에… 비가?"라고 말하지 않는다.이처럼 사람은 말 실수를 교정할 때 단어 ... ...
2. 유니코드, 논쟁에 종지부 찍을 것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전문가와 사용자들은 2바이트 조합형코드를 선호했고, 이 코드를 국제 표준 하에서 가장
정확
하게 표현할 수 있는 1만1천1백72자 한글 코드를 1992년 ISO에 제안하게 된 것이다.이 제안에는 현대 한글을 제외한 모든 한글(옛 한글이나 맞춤법에 어긋나는 한글 자모의 모든 조합)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2백4 ... ...
4. 눈없이 보는 능력 초시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초시능력 외에도 눈가리개를 풀고 알루미늄판 뒤에 숨겨 있는 트럼프용 카드 무늬를
정확
하게 맞추는 투시능력도 보여주었다.맹인들이 가끔 눈이 아닌 다른 기관으로 시각을 감지한다는 사실은 그다지 놀랍지 않다. 이 능력을 처음으로 확실히 세상에 보여준 사람은 1960년대 옛소련의 쿨레쇼바였다 ... ...
겨울철 실내 스포츠의 꽃 농구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더 잘 넣을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슛동작을 분석해왔다.이에 따르면 슛동작의
정확
도를 결정하는 핵심요소는 투사속도와 투사각도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거리에 비해 지나치게 빠른 속도, 혹은 느린 속도로 공을 던져서는 당연히 골을 성공시킬 확률이 낮아진다.일반적으로 덩크슛과 같은 ... ...
피부 인생의 계급장, 주름은 왜 생기나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햇볕을 많이 쪼이는 사람이나 일광량이 많은 지역의 사람에게 나타난다.기미의 치료는
정확
한 진단과 원인 규명 후 시행돼야 한다. 얼굴에는 기미 이외에도 기미와 매우 흡사해 피부과 전문의도 육안으로 감별이 어려운 질환이 있기 때문이다.기미가 확실하고 증후성 기미인 경우에는 대부분이 발생 ... ...
2차 세계대전의 승패를 좌우한 최초의 항생물질 페니실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라고 말했다. 플레밍만이 페니실린의 발견자라고 알려진 데는 '언론 플레이' 라는 시각이
정확
하다.1940년 8월 플로리와 체인의 첫번째 논문이 발표되었을 때 아무도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단지 플레밍이 그들을 찾아갔을 뿐. 플로리와 체인은 플레밍의 존재에 대해 관심도 없었고 그가 살아있는지 ... ...
'고대문명의 수수께끼' 그 감추어진 이야기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역시 엄격하게 실행돼 태양의 방위, 달과 별의 운행은 물론 금성과 화성의 이동법칙을
정확
하게 알고 있었다.이같이 마야인들의 천문학이 놀랄 정도로 발달할 수 있었던 데는 그들의 수학적 지식이 상당한 수준에 도달해 있었기 때문이다. 0이란 숫자를 처음 발견한 것은 인도 힌두교인이었지만, 0을 ... ...
이전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