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눈, 몸이 천냥이면 눈은 구백냥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뿐만 아니라 건강까지 망칠 수 있다.난시환자를 비롯,원시나 노안으로 안경을 쓸 경우,
정확
한 시력검사에 의해 자신에게 맞는 안경을 써야 하며 노안의 경우 대개 3년에 한번 정도 안경을 교환할 때 도수를 점차 높여주어야 한다.그러나 사람에 따라서는 안경보다 콘택트렌즈가 더 효과적인 경우가 ... ...
두 얼굴의 장마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단지 지나간 장마에 대한 평균적인 기간과 강수량을 알고 있을 뿐이다.또 우리는 장마가
정확
하게 태평양 어느 곳에서 언제 생겨 우리나라까지 도달하는지를 알지 못한다. 단지 남부지방에 장마전선이 형성된 이후 우리나라에 상륙하는 과정만이 비교적 자세히 연구됐을 뿐이다. 더욱이 우리나라 ... ...
신발과학의 정수 축구화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2002년 대회에는 어떤 신제품이 개발될까. 형태를
정확
하게 짐작할 수 없지만, 기능은 보다 전문화되는 대신 느낌은 보통 신발처럼 편안함을 주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이다. 현재 최신품의 무게는 3백50g내외. 조만간 이 수치가 우리가 시는 구두무게(약2백50g)정도로 ... ...
원격진료·재택교육 급진전 화상회의 : 2.집안에 하버드 강의실, 산간벽지에 서울대 병원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위해서는 단지 환자의 증상을 듣고 눈으로 확인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한 것이 사실.
정확
한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가 풍기는 냄세를 맡고 아픈 부위를 만져보는 등 5감을 모두 동원해야 한다. 이 때문에 화상의료는 의사와 얼굴을 맞대는 진료의 보조적 역할에 머물수 밖에 없다는 지적도 있다.그러나 ... ...
2. 몸 곳곳을 누비는 통증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이를 '월경전 긴장' 이라고 한다. 이런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를 진단할 때 통증의 원인을
정확
하게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다양한 증상 각각을 별도로 치료하게 된다.여성의 월경주기와 연관된 또다른 통증으로 월경중간통이 있다. 이는 난포로부터 난자가 배출(배란)되는 것과 관계가 ... ...
컬러 잉크젯 프린터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따라서 어떤 종이와 잉크를 사용하고, 또 기계 자체가 구현하는 점 모양과 점 찍기의
정확
도 등에 따라 얼마든지 인쇄품질이 달라질 수 있다. 국제표준기구(ISO)와 미국 국립표준국(ANSI)이 프린터의 인쇄품질 사양을 dpi만으로 표시하지 말고 '프린터의 인쇄 속성'을 사용한 품질 표준안을 제안한 ... ...
'인공생명' 10문 10답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특성의 변화에도 둔감한 장점이 있다. 벽을 따라가는 시스템의 경우 공학적 시스템이
정확
한 거리 측정에 기초함에 비해, 창발적 시스템에서는 외부에서 시스템을 순간적으로 움직이거나 벽의 모양이 바뀌어도 큰 문제가 없다.설계가 어려운 매우 복잡한 시스템에서는 창발적 행동이 유일한 해결 ... ...
1. 큰돈을 작은돈으로 바꾼다.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수행해야 한다. 영양분을 섭취하고 배설하며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등의 일들은
정확
하게 이뤄져야 한다. 만일 이 질서와 기능이 흔들린다면 삶의 기쁨과 환희는 일순간에 사라지고 깊은 죽음의 나락으로 떨어지고 만다.기분이 좀 나쁘겠지만 시체의 경우를 살펴보자. 한때 시체는 조직화의 ... ...
1. 인간은 왜 입체감을 느끼나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않게 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브라운관은 곡면이기 때문에 평면인 렌티큘라 시트를
정확
히 배열할 수 없었다. 최근 개발된 평면의 액정 화면을 사용하면 이 문제는 쉽게 해결할 수 있다.특수안경을 사용하지 않고도 입체감을 얻을 수 있는 입체 표시 시스템은 근본적으로 렌티큘라 시트같은 특수한 ... ...
1. 톱쿼크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결과다. 하지만 실험 결과가 아직 통계적으로 결정적인 것이 아니며, 현재의 이론치가
정확
한지에 대한 의문도 남아 있다.어찌 됐거나 쿼크모델을 완성한 물리학자들은 더 작은 미지의 세계를 향해 언제 끝날지도 모르는 항해를 다시 시작하는 것이다. 사실 새로운 시도는 아니다. 왜냐하면 인류는 ... ...
이전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