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한 번에 채취한 표본의 규모는 작지만 여러번 채취하면 한 구역에 있는 종의 밀도를
정확
히 파악할 수 있었다.1970-1980년대에는 6개의 장소에서 그런 방법으로 감질나게 적은 결과만을 얻었다. 이 분야에서 본격적인 연구는 그래슬박사가 몇 명의 학자들과 함께 미국의 동부해안에서 집중적인 연구를 ... ...
2. 산성비에 대한 탐구학습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사람 또한 어리석다. 맛을 보아서 산성인지 알아보려는 것은 위험할 뿐 아니라 부
정확
한 방법이다.간단하면서 가장 확실한 방법은 리트머스종이를 사용하는 것이다. 푸른 리트머스종이를 붉게 물들이는 물질이 산성이다. 위의 물질들은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푸른 리트머스종이를 붉게 만드는 ... ...
평생비서 오!K vs 오거나이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있는 대부분의 정보는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연관성을 이용한다면 훨씬 더
정확
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오거나이저에서는 아이콘을 한 번 누르는 것만으로 간단히 정보의 연결이 가능하다.일정을 입력할 때 복잡한 선택사항들을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도 있다. 우리의 ... ...
1. 검은 황금 찾는 한국심해자원 개발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적이 된다.이밖에도 심해저 탐사를 위해선 첨단 항법장치가 필요하다. 깊은 바닷속에서
정확
한 위치를 파악하는 일은 마치 63빌딩 꼭대기에 앉아 한강에 낚시를 드리우고 고기를 낚는 것과 같은 일이다.심해저 탐사에서 광물이나 퇴적물, 또는 해수를 채취하는 일은 중요하다. 여기에는 해수 채취기, ... ...
3. 의약품 '붙이는 약' 전성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약이 나왔고 '약발'이 오래도록 유지되는 약이 개발된 지 오래다. 이제 계면공학은
정확
하게 병원체를 공격하는 약을 가능케 하고 있다. 이미 '먹는 약' 만이 유일한 시대는 지났다. 로숀타입의 바르는 약은 우리에게 친숙해진 상태이고 어깨 결림이나 신경통에만 쓰이던 붙이는 약이 이제는 담배를 ... ...
치아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되고 반대편 치아가 내려와 길어진다. 그 결과 앞니의 치아 사이가 벌어지고 발음이 부
정확
하게 되며 얼굴 형태도 보기 싫게 변한다. 때로는 귀 밑 턱뼈의 관절에 이상이 생기기도 하며, 심지어 여러가지 부작용이 복합돼 심리적인 장애가 오는 수도 있다. 따라서 치아를 뽑고 약 1개월 뒤 잇몸이 ... ...
합작투자는 물론 다국적 기업도 불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격이다. 성수기에 맞춰 상품을 내놓아야 하는 것처럼 개미들의 혼인비행도 시간을 서로
정확
하게 맞추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새 살림을 차린 여왕개미는 대부분 자그마한 단칸방 속에 스스로를 가둔 채 먹지도 않고 오로지 자식 키우기에 전념한다. 몸 속에 축적한 지방과 이젠 쓸모없게 된 날개 ... ...
3. 지능측정의 허와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지능검사들은 대부분이 외국의 시험문제를 그대로 번역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정확
한 검사가 될 수 없다. 우리나라의 학생이 미국에 가서 지능검사를 하면 수리력은 대단히 뛰어나고 응용력이 낮은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IQ를 가지고 천채와 바보를 운운하는 것은 눈가리고 코끼리를 더듬는 ... ...
3. 통합과학문제 이렇게 출제됐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 × NT ③ $\frac{h}{mg}$ × $\frac{1}{NT}$④ mgh × NT ⑤ mgh × $\frac{1}{NT}$(학습 길잡이) 과학 개념의
정확
한 이해 필요인문계, 자연계 수리탐구영역(II) A형 19번 문제. 이 문제를 본 많은 과학교사들은 교과 구분이 안된다고 말한다. 이 문제는 생물문제인 것처럼 보이나 물리적인 개념을 ...
1. 컴퓨터에서 맥 못추는 '과학 한글' 왜 그럴까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하나의 사용자가 경우에 따라 완성형과 조합형 소프트웨어를 번갈아 사용하기 때문에
정확
한 통계는 내기 힘들지만, 관공서를 제외한 대부분 사용자들이 워드프로세서로 만든 데이터는 2바이트 조합형 한글코드로 되어 있다고 해도 크게 틀리지는 않을 것이다.요즘은 조합형 한글을 기본으로 하는 ... ...
이전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