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속
강바닥
물밑
여울
뉴스
"
해저
"(으)로 총 45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층 파괴 없이 가스하이드레이트 생산한다
2014.10.27
준비하는 과정 없이 해상에서도 쉽게 주입할 수 있다. 이 교수는 “국내 울릉분지 근처
해저
에는 가스하이드레이트가 많이 보존돼 있는데, 이를 안전하게 확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KoFAST-2’라는 이름으로 국내외에 특허등록 및 출원했으며, ... ...
작은 대학 도시가 일으킨 ‘스웨덴 성공 스토리’
2014.10.24
코펜하겐과 마주보고 있는 스웨덴의 작은 도시 룬드. 코펜하겐 공항에서 자동차를 타고
해저
터널을 지나 1시간 정도 달리니 스웨덴 최남단에 위치한 룬드가 나타났다. 월요일 아침 룬드는 조용하고 한산했다. 화려하고 분주한 대도시의 아침 풍경과 달리 소박하고 느긋했다. 이런 룬드가 최근 유럽 ... ...
해파리도 수학으로 먹이 찾는다
2014.09.22
방식뿐만 아니라, 힘을 들이지 않고 대류를 타는 방식도 포함돼 있었다. 배럴 해파리는
해저
에서 대류의 도움을 받아 더 깊숙한 곳이나 더 얕은 곳으로 이동해 먹이를 찾아 움직인다. 만약 이렇게 도달한 새로운 위치에서 먹이가 발견되지 않으면, 이들은 다시 물살을 타고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 ...
심해 1000m에 활짝 핀 신비로운 버섯
2014.09.04
밝혀졌다. 장 저스트 박사가 이끄는 덴마크 코펜하겐대 연구팀은 1986년 호주 남동부
해저
대륙붕 경계면 400~1000m 지점을 탐사하면서 버섯을 닮은 새로운 심해 생물 2종을 발견했다. 하지만 연구팀은 이 생물을 어떤 종으로 분류해야 할지 알 수 없었고, 이후 표본으로 만들어 박물관에 ... ...
영하 50도 북극엔 인공섬…6000m 심해엔 유인 잠수
2014.08.29
책임연구원은 “최근 중국이
해저
정거장 건설을 발표할 만큼 각국의
해저
탐사 경쟁이 치열하다”며 “심해 잠수정 연구는 정밀 공학기술과 경험이 오랫동안 축적돼야 실현 가능한 최첨단 기술”이라고 말했다. ... ...
[과학계 소식]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에 박승범 서울대 교수 등
과학동아
l
2014.07.02
30여 차례의 장기 실해역 탐사에 참여해왔다. 우리나라 주변 해양광물자원 개발을 위한 심
해저
탐사광구(태평양, 인도양, 통가 EEZ, 피지 EEZ 등) 확보 및 상용화 기반기술 개발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등 노력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2013년 7월에는 채광분야의 심해역 채광로봇 ‘미내로’의 성능 ... ...
당신의 ‘파도 지수’는 몇 점?
과학동아
l
2014.06.27
이상 큰 만큼 같은 속도의 바람보다 에너지도 1000배 이상 크다”고 말했다. 해운대 앞
해저
지형은 골짜기 모양으로 돼 있어 이안류가 발생하기 쉽다. 육지에 부딪힌 뒤 남은 파도 에너지는(①) 골짜기로 바닷물을 밀어 해안에서 먼 바다로 흘러나가는 강력한 흐름을 만든다(②). ※링크를 ... ...
[영상뉴스]
해저
보행로봇 ‘크랩스터’ 30일간의 기록
과학동아
l
2014.05.27
크게 떨어졌다’고 혹평하기도 했다. 하지만 크랩스터는 본래 구조작업용 로봇이 아니라
해저
탐사용 로봇이다. 그럼에도 크랩스터 팀은 매일 밤 세월호 침몰 현장 인근 해역에서 밤을 지새며 힘을 보탰다. 구조용 해양로봇이 전무한 현실에서, 지금까지 개발한 로봇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 ...
[채널A] 첨단 수중음파탐지기 투입…희생자 시신 찾아낼까
채널A
l
2014.05.07
수중 음파탐지기도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 음파탐지기는 지난 1일 사고 해역 인근
해저
에서 세월호에서 유실된 것으로 추정되는 쇠파이프 수십 개를 찾아내기도 했습니다. 최동림 / 한국해양과학연구원 박사 파이프 형태의 유실물들을 확인을 했습니다. 길이가 6m내외의 물체들이 ... ...
[세월호 침몰]초음파 스캐너로 세월호 주변 조사
과학동아
l
2014.04.22
세월호 인양 계획을 짤 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크랩스터는 국내 연안의
해저
지도 제작과 자원 탐사 등을 목적으로 2012년 개발에 착수해 지난해부터 시험 운용을 해 왔다. 해양과기원 측은 사고 현지 상황을 고려해 크랩스터의 투입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