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속
강바닥
물밑
여울
스페셜
"
해저
"(으)로 총 9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펑크 스타일' 머리 가진 연체동물 화석
동아사이언스
l
2025.01.18
펑크 페록스와 이모 보티카우덤은 최초의 공룡이 육지에 나타나기 약 2억년 전 어두운
해저
에서 살았다고 추측했다. 서튼 연구원은 “두 생물이 갖고 있는 가시는 대부분 보호용이었을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해양생물인 만큼 바다에서 생활하며 체내에 축적된 칼슘을 제거하기 위해 형성되었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23년 '이상 고온' 미스터리 열쇠는 '알베도'
2024.12.11
사건이다. 보통 화산폭발은 이산화황 등 에어로졸을 내뿜어 냉각 효과를 내지만
해저
화산은 수증기의 온실 효과가 더 클 수도 있다. 심지어 선박 연료 규제가 강화되며 황화합물 배출이 줄어 에어로졸이 덜 만들어져 온도 상승효과가 생겼다는 주장도 있다. 아무튼 이 세 요인을 다 합쳐도 0.1℃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가짜 과학
2024.08.28
방사성 핵종의 대부분을 제거한 '처리수'(treated water)를 바닷물로 충분히 희석한 후에
해저
터널을 통해 방류한다. 물론 적지 않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한 일이다. 후쿠시마 근해의 삼중수소 오염도를 '후쿠시마 제1원전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던 때보다 더 나쁘게 만들지 않겠다'는 것이 일본 정부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함께 수소가 있는 조건에서 살았을 것이므로 서식지로
해저
가 가장 유력하다.
해저
의 광물이 변성되는 과정인 사문석화작용에서 발생하는 수소가 전자를 공급해 이산화탄소를 환원시켜 아세틸CoA를 만든다. 오늘날 생명체 대다수의 게놈에는 우드-융달 경로를 이루는 유전자 세트가 없다. 진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국도 첫발 뗀 '천연수소' 탐사...땅속 무한에너지
2023.06.28
뒤에도 구소련에서는 수소 발생에 대해 종종 보고하곤 했다. 한편 1970년대 심해 중앙해령(
해저
산맥)의 열수분출구에서 나오는 수소를 보고한 논문이 나왔고 1980년대 미국 캔사스주의 시추공에서 검출한 수소에 대해 보고한 논문도 있다. 후속 논문에서는 천연수소의 발생 메커니즘을 제안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귀상어가 추운 바다에서 체온을 유지하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5.14
것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귀상어는
해저
800미터 이하로 내려갈 때 아가미를 닿고 체온 저하와 연관된 물이나 산소를 흡수하는 능력을 차단한다. 연구팀은 “귀상어는 아가미 기관에서 열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라며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도의 감각 지닌 문어 다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4.15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3일 노란 빛을 띠는 문어 사진을 표지로 실었다. 문어는
해저
를 기어 다닐 때 다리의 빨판으로 바닥을 느낀다. 바닥에 놓여 있는 물체 존재 여부나 형태 역시 빨판을 이용해 파악한다. 니콜라스 벨로노 미국 하버드대 분자세포생물학과 교수와 라이언 힙스 미국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엉터리 정보 경계해야
2023.03.07
해안에서 1킬로미터 떨어진 곳의 수심 12미터 바다 밑에 만들어놓은 방출구까지 연결하는
해저
터널의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다.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오염수(contaminated water)를 한꺼번에 그대로 태평양에 방류하는 것은 아니다. ALPS라는 다핵종제거설비로 방사성 물질을 일차 제거한 ... ...
[과학게시판] 2022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개막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16
발굴'을 주제로 국회 해양정책연구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동해
해저
청정 해양점토의 개발을 통한 해양 신산업 소재 산업화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 ...
[탄소중립 최전선] ④국내 CCS 연구 기지개..."탄소저장량 5% 늘려라"
동아사이언스
l
2022.10.21
회수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설명이다. CCS 테스트베드는 수조에 해수를 채워 실제
해저
환경에서 배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예산=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 안전성 확인은 물론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도 실험설비 운용에서 가장 우려되는 것은 배관 폭발이다. 과도한 압력을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