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해저"(으)로 총 439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를 엿보다! 2015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5.10.29
- 다리로 걷거나 헤엄치면서 로봇팔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니 정말 대단하지? 곧 해저 6000m까지 탐사할 수 있는 로봇도 개발될 거라고 해. 크랩스터가 밝혀 낼 심해의 비밀, 정말 기대 돼~. 우리나라 대표 로봇인 휴보와 찰칵! - 현수랑 기자 제공 ● 드론과 3D프린터를 만나다! ... ...
- 1900년에 살던 사람들이 상상한 2000년2015.10.11
- 의아하다. 하늘에 이어 바다 속 풍경도 신선하다. 고래를 이용한 잠수정은 기본이고, 해저에서 진행되는 크로킷 경기와 물고기를 타고 펼치는 레이싱 등은 경이롭기까지 하다. 현재의 모습을 정확히 예측한 그림도 있다. 화상 통화를 하는 그림은 투박하긴 해도 현실과 닮았다. 기계가 신체 ... ...
- 남극 해저 2km 중앙해령에서 열수 분출구 새로 발견2015.08.22
- 데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중앙해령은 야구공의 실밥처럼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해저화산 산맥으로 바다 밑 해양 지각이 형성되는 곳이다. 중앙해령에서 분출되는 열수는 태양빛이 닫지 않는 심해에서 주변 생명체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남극 중앙해령은 지구 전체 ... ...
- 해저 6000m 누빌 韓 두 번째 심해 무인 로봇 2015.08.14
- 인근 바닷가에서 심해잠수정 ‘해미래’ 호를 점검하고 있다. 한국은 해미래에 이어 해저보행 로봇 크랩스터, 한국형유인심해잠수정 등을 차례로 개발할 계획이다. -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제공 “6000m급 심해 무인 잠수정 ‘해미래’가 6월 동해 탐사를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수심 1500m까지 ... ...
- 심해 지질 전문가의 ‘마지막 논문’2015.07.24
- 타국의 젊은 과학자들을 독려하며 주도적으로 연구를 이끌었다”고 회상했다. 해저 탐사를 통한 기후변화, 생물권, 지질 연구 등은 한 국가나 기관이 단독으로 진행하기 어렵다. 한국 IODP 대표인 김길영 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우리나라는 2006년부터 IODP 탐사에 참여하면서 세계 ... ...
- 멕시코만 원유 유출 5년, 생태계 살아났나?2015.07.06
- 이를 제대로 밝히지 못할 뿐일지도 모른다. 실제로 여전히 3200평방킬로미터가 넘는 해저에 기름이 가라앉아 있다고 한다. 원유유출사고 이후 BP는 지금까지 54억 달러를 내놓았다. 이 가운데 44억 달러는 환경복원에 쓰였고 1억 달러는 과학자들의 연구비를 대는데 들어갔다. 이번에 187억 달러로 ... ...
- 탄저균만큼 위험한 야토균 손쉽게 검출2015.07.02
- 국내 연구진이 생화학무기에 사용되는 병원체인 야토균을 손쉽게 검출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 방식보다 간단해 보건 및 ...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위험물질 전문 학술지인 ‘저널 오브 해저더스 머티리얼스(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5일자에 게재됐다. ... ...
-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06.30
- 만든 산소와 바닷속 철이 만나 이룬 퇴적층이다. 당시는 지금보다 바다가 훨씬 넓었고 해저 화산 활동도 활발했는데, 이런 화산 활동에 의해 지구 내부의 철이 바닷속으로 흘러 들어왔다. 철은 산소가 없을 때는 물에 녹지만, 산소가 있으면 산소와 결합해서 산화철 형태로 바다 밑으로 가라앉아 ... ...
- 세월호 인양 7가지 질문과학동아 l2015.06.30
- 조사했다. 현장조사를 총괄한 이용국 해양과학기술원 해양방위연구센터장은 “세월호가 해저에서 바닷물의 흐름을 방해해 수심 20~40m 사이에서는 유속을 예측하기가 어려웠다”면서도 “현재 전체 층의 80%를 예측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배를 바로 세우면 안 되나 배는 옆면보다 바닥이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05.29
- 바닷속에 있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7800만km 떨어진 화성보다, 최대 깊이 11km에 불과한 해저에 대해 아는 게 더 없습니다. 이 세가지 이유 때문에 바다로 가야 하는 것 아닐까요.” 기자가 태안을 떠난 뒤, 연구팀은 바지선을 마도에 더 가까운 곳으로 옮겼다. 수심이 더 깊고 유속이 더 빠른 지역에서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