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속
강바닥
물밑
여울
뉴스
"
해저
"(으)로 총 439건 검색되었습니다.
호주 바다에 나타난 ‘마귀할멈’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2.20
위키미디어 제공 지난 2월 2일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사우스코스트 그린케이프 근처 바다에서 ‘마귀할멈’이라 불리는 마귀상어 ... 사실도 밝혀졌지요. 그래서 시각과 후각이 퇴화한 상태에서도 마귀상어는 어두컴컴한
해저
에서 먹이가 어디쯤 있는지 감지해 사냥할 수 있답니다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지구가 야구공만할 때 약간 큰 물방울 하나 부피다. 지구 그림을 보면 물을 빼 바다의
해저
면이 그대로 드러나 있지만 전반적인 형태에는 사실상 영향을 주지 않고 있다. 관찰력이 예민한 독자라면 물방울 오른쪽 아래 깨알만큼 작은 물방울이 하나 더 있는 걸 눈치챘을 것이다. 그렇다. 큰 ... ...
빙하기-간빙기 반복에
해저
지각이…
2015.02.06
진행했다. 이 데이터를 토대로 해수면의 높이가 100m 이상 낮아지는 빙하기에는 물이
해저
지각을 짓누르는 압력도 약해져 지각의 재료가 되는 맨틀의 녹는점이 낮아지고 결과적으로 지각이 많이 생성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반대로 간빙기에는 물의 압력이 커져 맨틀의 녹는점이 높아지면서 지각 ... ...
[기고/남승일]세계가 북극으로 몰려드는 까닭은
동아일보
l
2015.01.29
밝혀낼 수 있는 열쇠를 쥐고 있기 때문이다. 또 북극해의 해빙이 급격하게 감소하면서
해저
에 매장된 막대한 에너지와 광물자원에 대한 탐사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해빙이 녹으면서 열리는 북극 항로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북아 국가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관심사가 됐다. 현재 독일 중국 ... ...
[북극으로 가는 ‘제2 쇄빙선’] 북극 전용 쇄빙선 2020년 취역한다
2015.01.02
그해 12월 취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극해 속 미량 금속 찾고, 북극
해저
시추한다…미리 보는 제2쇄빙선 활약상 북극은 지구상에서 기후 변화에 가장 민감한 곳이다. 이상 고온이나 폭우 폭설 한파 등이 북극 해빙과 관계있다. 2013년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지구온난화로 33년간 ... ...
남극 얼음 밑 신비의 호수 ‘빙저호(氷底湖)’를 찾아서
2014.12.19
이원상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왼쪽에서 다섯 번째) 등 연구진이 15일 남극해에서
해저
면지진계를 건져 올린 뒤 아라온 위에서 포즈를 취했다. 이 지진계에는 장보고기지 근처에서 일어난 크고 작은 지진을 약 1년 동안 기록한 데이터가 고스란히 담겼다. - 극지연구소 제공 연구진이 지진 활동을 ... ...
홍상어 4발 쏘고 “합격”… 뒤늦게 결함 발견
동아일보
l
2014.11.05
[관련 뉴스] - 국산어뢰 홍상어-청상어 개발 과정서 700억 낭비 - ‘제2 천안함’ 막을 대북
해저
방어망에 구멍 - [사설]非理 방위사업청 놔두고 전작권 연기 설득할 수 있겠나 - ‘아이언 돔’ 위력 과시 이스라엘, ‘다윗 물맷돌’ 시험발사도 성공 - 핵폭탄 16발 은밀히 北 상공에? 평양 등골 ‘오싹’ ... ...
지층 파괴 없이 가스하이드레이트 생산한다
2014.10.27
준비하는 과정 없이 해상에서도 쉽게 주입할 수 있다. 이 교수는 “국내 울릉분지 근처
해저
에는 가스하이드레이트가 많이 보존돼 있는데, 이를 안전하게 확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KoFAST-2’라는 이름으로 국내외에 특허등록 및 출원했으며, ... ...
작은 대학 도시가 일으킨 ‘스웨덴 성공 스토리’
2014.10.24
코펜하겐과 마주보고 있는 스웨덴의 작은 도시 룬드. 코펜하겐 공항에서 자동차를 타고
해저
터널을 지나 1시간 정도 달리니 스웨덴 최남단에 위치한 룬드가 나타났다. 월요일 아침 룬드는 조용하고 한산했다. 화려하고 분주한 대도시의 아침 풍경과 달리 소박하고 느긋했다. 이런 룬드가 최근 유럽 ... ...
해파리도 수학으로 먹이 찾는다
2014.09.22
방식뿐만 아니라, 힘을 들이지 않고 대류를 타는 방식도 포함돼 있었다. 배럴 해파리는
해저
에서 대류의 도움을 받아 더 깊숙한 곳이나 더 얕은 곳으로 이동해 먹이를 찾아 움직인다. 만약 이렇게 도달한 새로운 위치에서 먹이가 발견되지 않으면, 이들은 다시 물살을 타고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