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부"(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재교육원 탐방 2] 극단으로 간 영재들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기회가 부족한 소외계층 학생을 ‘우선선발’ 전형으로 뽑아 부산대 학부생이 멘토가 되어주는 프로그램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서울교대, 서울대, 연세대 교수진과 함께 전국 단위로 영재교육원 학생들을 모으는 캠프를 기획하고 있다. 창의성과 인성을 갖춘 미래 인재가 되고 싶다면 ... ...
- Intro. 수학으로 보여주는 보이지 않는 우주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오늘날 우리는 관측 기술의 눈부신 발전 덕에 저 멀리 보이는 은하뿐만 아니라, 우주가 탄생한 지 얼마 안 됐을 때 남긴 흔적까지 볼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우주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할 수는 없다. 아직도 모르는 ‘무언가’가 훨씬 많다. 그 무언가는 우주를 설명하는 궁극의 방정식 속에 숨어 ... ...
- Part 1. [5%] 우리가 아는 것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우주 전체에 있는 물질 중 우리가 알고 있는 건 겨우 5%다. 빛은 우리가 매일 보기 때문에 아주 많을 것 같지만, 우주 전체로 봤을 때 1%에도 한참 못 미치는 미미한 양밖에 없다. 중성미자★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알고 있는 5%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지구나 태양 같은 천체를 이루는 바리온 물 ... ...
- Part 2. [27%] 미지의 물질, 암흑물질수학동아 l2018년 03호
- ΛCDM 모형의 CDM에 해당하는 암흑물질은 우주를 이루는 물질의 27% 정도를 차지한다. 암흑물질의 ‘암흑’은 말 그대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붙은 수식어다. 물체를 볼 수 있는 건 물체에 빛이 반사돼 우리의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인데, 암흑물질은 빛과 상호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눈으로는 볼 수 없 ... ...
- [인터뷰] UNIST 입학학생처장 곽상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4개 과학기술원 중 유일하게 경영학부를 운영해 문과 학생도 선발하고 있다. 특히 경영학부에 입학한 학생이 이공계열의 수업을 듣도록 해 과학적 능력을 키우는 것은 물론 향후 이공계열을 전공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길도 열어 놨다. 마찬가지로 이공계열 학생도 좀 더 전문적으로 경영학 지식을 ... ...
- [인터뷰] 장서현 “과학동아가 면접에 결정적인 도움 됐어요”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한 자리에 모인 만큼 초반에는 생각한 것보다 성적이 안 나와서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학부생이 한 학년에 300명 정도로 소규모여서 동기와 선배들의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있었다. “선배가 후배 3~4명을 대상으로 기초 필수 과목이나 학과별 전공 수업을 도와주는 SMP(Student Mentoring Program)가 아주 ... ...
- [Culture] ‘슈퍼 파워’ 가졌지만 저체온증 시달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사람의 크기가 줄어든다는 설정이 과학적으로 가능할까. 유재준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사람이 개미만한 크기로 줄어든다면 쓸데없이 강한 힘을 갖게 되는 동시에 피부를 통한 열에너지 손실이 커져 저체온증에 걸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우선 길이, 면적, 부피의 크기 변화를 간단히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과학의 즐거움을 나누고 싶어 과학교육에 발을 담그게 됐다. 현재 미국 조지타운대 생물학부에서 유전학, 발생학 등을 가르치며 새로운 대학 과학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2. 큰 난자의 부작용이 유산? 넘어져서 생긴 상처가 아물 때 필요한 피부세포를 만드는 방법은 유사분열입니다. ... ...
- [인터뷰] “왜?”라고 질문하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공부와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환경을 갖췄다. 김 입학학생처장은 “POSTECH은 학부생을 300여 명 선발하고 대학원생은 그 두 배인 600여 명을 선발한다”며 “하고 싶은 연구를 오랫동안 마음껏 지속해서 전문가가 되고 싶은 수험생들이 많이 지원해주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 ...
- [필즈상 미리보기] 필즈상 0순위, 어린 나이가 변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정년에 대한 제한이 없이 평생 정교수직을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당시 하버드대 과학학부 부장이었던 제레미 블록스햄교수는 “세계에서 가장 유망한 정수론 분야 수학자”라며, “20년 넘게 풀기 힘든 문제를 놀라운 독창성으로 해결한 공이 크다”고 밝혔습니다. 지금은 학교를 옮겨 미국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