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부"(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과학의 즐거움을 나누고 싶어 과학교육에 발을 담그게 됐다. 현재 미국 조지타운대 생물학부에서 유전학, 발생학 등을 가르치며 새로운 대학 과학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yc709@georgetown ... ...
- [서울대 공대] 원자핵공학과, 미래 에너지 개발 주역 꿈꾼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인턴연구원으로 대학원에서 연구를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3~4학년 학부생이 졸업논문을 쓰기 위해 대학원 실험실에서 대학원생의 도움을 받아 연구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이미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황 학과장은 “이런 프로그램이 본인의 진로를 구체적으로 정할 수 있는 ... ...
- [인터뷰] “꿈을 향한 3년 고교생활 일관되게 드러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학부제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수업을 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부제로 입학한 학생들은 1년간 학과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수업을 수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모색할 기회를 얻는다.서 씨는 “화학공학과로 진학해야겠다는 생각은 바뀌지 않았지만, ... ...
- Part 2. [스마트 바퀴1] 모양을 바꾸면 성능 UP!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바퀴의 시작이 통나무를 굴리는 데에서 시작됐다니, 재밌지?! 하지만 바퀴의 진화는 이제부터가 진짜 시작이야. 미래의 바퀴는 모양이 다양하게 바뀌면서 새로운 기능들을 선보이고 있지. 공기를 넣지 않아도 되는 바퀴가 있고, 동그란 공 모양의 바퀴도 개발되고 있다고! 공기 없는 바퀴, 에어리 ... ...
- [Issue] 한국 출산율 하락, 숨겨진 원인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여성에 대한 출산 지원 정책은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에 대해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교수는 2016년 발간한 ‘저출산 대책의 효과성 평가’ 보고서를 통해 유배우 여성의 출산율은 꽤 안정적으로 높아졌다고 지적한다. 쉽게 말해 이미 결혼한 여성들의 출산율은 정부의 저출산 대책 영향으로 ... ...
- Intro. 전기만들고 계단도 껑충~! 스마트 바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씽씽~! 달려라 달려~!”우리는 최신 모빌리티를 가장 먼저 즐기는 얼리어답터 삼총사야. 저 킥보드는 360°를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고, 내가 탄 모빌리티는 계단을 오르내릴 수도 있어! 이게 가능한 건 다 똑똑한 바퀴 덕분이란다. 똑똑한 바퀴가 궁금하다고? 지금부터 우리가 소개해 줄게! ... ...
- Part 1. 더 튼튼하게, 더 멀리! 바퀴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사실 바퀴는 인류가 만든 위대한 발명품 중 하나로 꼽혀. 만약 바퀴가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우리는 무거운 짐도 제대로 나를 수 없었을 걸~! 세상을 바꾼 ‘바퀴’도로 위를 달리는 자동차, 어린이들이 즐겨 타는 킥보드, 스마트 모빌리티까지…. 우리 주변의 탈것들은 대부분 바퀴를 이용해 움 ... ...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과학의 즐거움을 나누고 싶어 과학교육에 발을 담그게 됐다. 현재 미국 조지타운대 생물학부에서 유전학, 발생학 등을 가르치며 새로운 대학 과학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yc709@georgetown ... ...
- [인터뷰] 이상구 성균관대 입학처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성균관(成均館)’의 취지를 이어받아 1948년 설립됐다. 현재 성균관대는 ‘나라의 최고 학부(성균관)’라는 이름에 걸맞게 취업률 1위(76.4%, 졸업생 3000명 이상), 국가고객만족도 10년 연속 1위 등을 기록하며 명실상부 국내를 대표하는 대학으로 자리 잡고 있다. 올해 6월 영국 세계대학평가기관 ... ...
- [서울대 공대] 조선해양공학과, 72년의 역사 ‘세계 최고’의 자부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있는 구조 역시 유체를 이해하지 않고서는 개발하기 어렵다.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는 학부 1~2학년에서는 4개 분야의 기초가 되는 수학, 물리학, 유체역학과 구조역학 등의 기초 과목을 가르친 뒤 3학년부터 자신이 흥미를 느끼는 분야를 선택해 심화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설계했다. 김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