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부"(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직접 들어본 요즘 사춘기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공부도 손에 안 잡혀요. 군대 다녀오면 다 해결된다고 하던데, 사람마다 다른 것 같아요. 학부를 졸업하고 취업할지, 대학원에 진학할지, 그 전에 내가 진정으로 하고 싶은 게 뭔지 결정을 못 내리고 혼란스럽기만 합니다. "통계청의 2017년 조사에 따르면 키, 몸무게 등 외모에 대한 고민, 성적이나 ... ...
- [재학생 인터뷰] 꿈은 달라도 출발은 전기·정보공학부에서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신학기 개강을 앞둔 2월 27일.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새내기로 입학하는 1학년 3명과 어느덧 ‘헌내기’가 돼버린 17학번 2명을 공대 휴게공간 ... 중에는 스타트업, 변리사, 로스쿨 등 다양한 직업을 가진 분들이 많고 많은 기업에서 우리 학부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걸 느꼈다”고 말했다 ... ...
- 만화 찢고 꺼낸 수학 만.찢.수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요일마다 보는 웹툰이 한 개쯤 있나요? 그 안에 수학이 숨어있을지 모릅니다. 분야도 게임이론부터 위상수학까지 다양하죠. 랑또의 ‘가담항설’부터 하일권의 ‘마주쳤다’까지 웹툰 찢고 건져온 수학을 여기에 공개합니다! 움직이는 웹툰이 어느새 익숙해졌습니다. 네이버 웹툰의 ‘가담항 ... ...
- 과학은 어떻게 사회를 변화시킬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이를 위해 국내 1세대 과학사학자인 박성래 한국외대 명예교수, 박창범 고등과학원 물리학부 교수, 김홍종 서울대 수학과 교수 등이 연사로 나선다. 좌장은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가 맡을 예정이다. 열린연단 강연에 참여하고 싶은 사람은 홈페이지(openlectures.naver.com)에서 직접 신청할 수 있다. ... ...
- [인터뷰] “파격적인 입학전형이 DGIST의 경쟁력”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될 수 있지만, 이 제도는 학생들을 위한 투자라고 생각한다”며 “이 제도가 무학과 단일학부 시스템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만족도도 매우 높다”고 말했다. DGIST는 융복합 교육을 위해 2학년 때까지 기초 과학 및 공학 과목을 배우고, 3~4학년 때 전공 심화과목을 이수하게 한다. 1인 1악기 ...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하지만 이 학부장은 좋아하는 분야를 선택해 결국 광학 분야의 석학으로 꿈을 이뤘다. 이 학부장은 “부모님의 바람이나 남들이 말하는 직업의 안정성보다는 자신의 적성을 잘 살피면서 장기적으로 보고 진로를 선택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 [영재교육원 탐방 2] 극단으로 간 영재들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기회가 부족한 소외계층 학생을 ‘우선선발’ 전형으로 뽑아 부산대 학부생이 멘토가 되어주는 프로그램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서울교대, 서울대, 연세대 교수진과 함께 전국 단위로 영재교육원 학생들을 모으는 캠프를 기획하고 있다. 창의성과 인성을 갖춘 미래 인재가 되고 싶다면 ... ...
- Part 3. [68%] 미지의 힘, 암흑에너지수학동아 l2018년 03호
- ΛCDM 모형의 Λ는 암흑에너지다. 우주를 이루는 물질의 68%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 Λ는 아인슈타인이 실수라고 생각하며 뺐던 우주상수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우주상수를 뺐던 것이 진짜 실수가 된 셈이랄까. 그렇다면 암흑에너지가 우주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이석천 ... ...
- [인터뷰] UNIST 입학학생처장 곽상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4개 과학기술원 중 유일하게 경영학부를 운영해 문과 학생도 선발하고 있다. 특히 경영학부에 입학한 학생이 이공계열의 수업을 듣도록 해 과학적 능력을 키우는 것은 물론 향후 이공계열을 전공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길도 열어 놨다. 마찬가지로 이공계열 학생도 좀 더 전문적으로 경영학 지식을 ... ...
- Intro. 수학으로 보여주는 보이지 않는 우주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오늘날 우리는 관측 기술의 눈부신 발전 덕에 저 멀리 보이는 은하뿐만 아니라, 우주가 탄생한 지 얼마 안 됐을 때 남긴 흔적까지 볼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우주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할 수는 없다. 아직도 모르는 ‘무언가’가 훨씬 많다. 그 무언가는 우주를 설명하는 궁극의 방정식 속에 숨어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