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부"(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손님이 기다리게 하지마라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붕어빵 타이쿤’과 ‘요리중독’ 같은 게임을 해봤다면 알 거야. 줄 서서 기다리는 손님들이 얼마나 무서운지. 있는 대로 짜증이 난 손님과 눈이 마주치면 식은땀이 삐질삐질 심장이 쫄깃쫄깃하지. 그러니 종업원과 효율적으로 업무를 나눠서 음식을 빨리 만들어야 해! 종업원과 업무를 나누려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점이 생체시계 발견을 이끈 원동력이었을 것이다. 임정훈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RNA 번역에 의한 유전자 발현, 분자시계 및 루게릭 병의 조절 원리를 연구하고 있다. clim@unist.ac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쌍으로 만나서 사라지기 전까지는 위상학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박권 고등과학원 물리학부 교수는 오렌지와 도넛을 예로 들었다. 오렌지와 도넛을 위상학적으로 동일하게 만들려면 오렌지에 구멍을 하나 뚫어야 하는데, 이런 일은 일어나기 힘들기 때문에 두 물체의 위상학적 성질은 바뀌기 ... ...
- [Origin] 꽃보다 동물 동물의 향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수백~수천 분의 1로 희석하는 게 핵심이다. 천연 향료 전문가인 김성문 강원대 환경융합학부 교수는 “원재료를 용매(알코올)에 넣으면 지방이나 단백질, 콜레스테롤처럼 알코올에 녹지 않는 불순물은 걸러지고, 무스콘을 비롯해 향을 내는 유기화합물만 용매에 남는다”고 말했다. 사향고양이 ... ...
- [Career] “사람도, 연구도 융복합에서는 최고가 되겠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인재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는 더욱 커질 것이다. DGIST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무학과 단일학부로 운영되고 있다. 학과의 장벽을 없앤 만큼 다양한 과학기술 분야를 두루 섭렵할 수 있다. 인문사회 과목도 배운다. 태권도는 필수 과목이다. 악기도 한 가지씩 다루게 한다. 리더십과 기업가 정신도 ... ...
- [Career] “이런 대학 또 없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유치하는 과정에서 교내 기술창업혁신센터로부터 큰 도움을 받았다”고 말했다. DGIST 학부생은 동서양철학, 예술사, 비교역사학 등 인문학과, 악기와 태권도 등 예체능 과목도 수강하면서 융·복합 인재로 거듭나고 있다. 최 씨는 “회사대표가 자신만의 철학을 갖고 있어야 변호사와 투자자, 팀원 ...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종류로, 의료용 솜과 비슷한 모양으로 폭신폭신하게 만든 재료다. 윤혜정 서울대 산림과학부 교수는 “면상펄프는 종이를 만드는 펄프보다 섬유의 길이가 더 긴 고급 펄프를 원료로 만든다”며 “뜨겁지 않은 바람으로 천천히 건조시켜 표면적을 넓혀 흡수성을 좋게 만든다”고 말했다. 그러나 ... ...
- [과학뉴스] 감싸주면 성격 버린다? 개의 경우엔 사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적어도 개의 경우엔 이 말이 사실임이 드러났다. 에밀리 브레이 미국 애리조나대 인류학부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미국 뉴저지주 맹인 안내견 훈련 프로그램에 등록한 강아지 98마리를 관찰했다. 그 결과 전체의 약 70%가 훈련에 성공한 가운데, 어미의 보살핌을 많이 받은 강아지는 그렇지 않은 ... ...
-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눈으로 볼 수 없다면 수학적으로 우주의 모양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여기에 쓰이는 수학은 위상수학이다. 위상수학은 물체의 모양이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성질을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다. 쉽게 말해, 구멍의 개수에 따라 물체를 분류한다. 구멍의 개수가 같으면 같은 물체로 본다. 예를 들어, 구 ... ...
- Part 1. 너와 나의 연결고리 ‘과학자 언니’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남성의 직업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미 이공계열 전공을 택한 학부생도 역할 모델을 찾기는 쉽지 않다. 조은별 서울대 교육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은 2016년 5월 ‘공학교육연구’ 제19권 제3호에 발표한 논문 ‘공학 분야 역할모델의 현황과 전문성 계발에 미치는 영향’에서,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