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과학동아 l2016년 06호
- ” 김선태 학생은 자신의 스마트폰을 보여주며 말했다. 이 7개의 접근 권한을 이용하면 생각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해커에게 전달할 수 있다. 만약 누군가 당신의 스마트폰에 이 스파이앱을 깔았다고 하자. 해커는 당신이 지금 어디에 있고(위치) 누구를 만났으며(SMS, 전화 등) 현재 어떤 이야기를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제브라피쉬를 이용한 동물실험도 반대하는 입장이다. ‘어류도 고통을 느낀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동물보호시민단체 카라의 김혜란 이사는 “중추신경이 있는 동물은 모두 고통을 느낀다는 과학적 견해에 공감한다”고 말했다.어류가 ‘사람처럼’ 고통을 느끼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 ...
- [Tech & Fun] 당신이 이불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사람은 난관에 빠져도 계속해서 도전하며 결국 더 좋은 성과를 내곤 한다.마지막으로 생각해 볼 것은 통제감이다. 통제감이란 내 삶을 내 뜻대로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이다. 통제감의 반대는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는 무력감이다. 삶에서 예측도 못하고 당하는 일(큰 병, 재해 등)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미친 화학자의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옆에 파부르가 앉아 있었어요. 시원이를 보고 파부르가 속닥거렸어요.“대체 무슨 생각으로 미친 화학자의 수업에 늦은 거야? 아직 안 오셨기에 망정이지!”시원이는 괜히 민망해져서 책상 위에 있는 비커와 스포이드, 여러 약품통들을 만지작거렸어요. 파부르는 혹시 선생님이 오실까 봐 교실 문을 ... ...
- [수학뉴스] 이제는 함께 토론하며 수학 공부하자!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들어있는 수많은 문제를 풀어보지요. 그래서 수학자들도 혼자 끙끙대며 연구할 거라고 생각하기가 쉽습니다.하지만 요즘 수학자들은 대부분 혼자 연구하지 않습니다. 세계 곳곳의 학회에 참석하며 다른 수학자를 만나 학문적 시야를 넓히기도 하고, 새로운 영감을 얻기도 합니다. 이처럼 수학은 ...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중요한 건?이터과학자는 필요한 데이터를 ‘잘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예를 들어, 해외에서 들어오는 지카나 메르스 바이러스를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요? 사람들의 로밍 데이터를 이용하면 됩니다. 그동안 감염병 발생국을 방문했다가 제3국을 경유해 귀국하는 사람들을 알 길이 ...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행성으로 볼 수 있냐’는 논란이 생겨났다. 처음에는 명왕성이 달만 한 크기라고 생각했는데, 달의 3분의 2 정도로 작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크기가 이렇게 작으면 해왕성 궤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또 다른 행성과 달리 태양을 도는 궤도도 훨씬 길쭉한 타원 모양인데다가, 공전면도 1 ... ...
- [SW 기업 탐방] 라온스퀘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예를 들어 청바지 가게를 찾은 손님이 바지를 입었을 때 뒷모습을 보고 싶어 한다는 점을 생각해 가게에 손님의 옆모습과 뒷모습을 찍어주는 카메라를 설치하는 식이다. 디자인과 소프트웨어의 결합!라온스퀘어의 작품이 있는 매장과 전시관에 당장이라도 가보고 싶어진 기자는 라온스퀘어에 대해 ... ...
- [재미] 퐁! 퐁! 퐁! 물수제비 잘 뜨려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공기와 물로부터 받는 저항을 최소로 줄이기 위해 가장 적합한 모양을 띠고 날아갈 거란 생각에서였지요.그리고 물수제비를 떴을 때 고무공이 통통 튀어 날아가는 모습을 초고속카메라로 촬영했어요. 고무공이 순식간에 튀어가는 모습을 아주 느린 화면으로 보면서 공이 수면에 닿는 깊이와 튕기는 ... ...
-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이름과 암호를 직접 삽입하는 방법이다. “이건 너무 들통나기 쉬울 것 같은데?”라고 생각하는 독자들은 아래 예시를 보자. 2003년에 실제 발생한 ‘리눅스 백도어 미수사건’에서 문제가 됐던 부분이다. 아마 프로그래밍을 ‘좀 한다’하는 독자들도 위의 소스코드에서 무엇이 잘못됐는지 찾기가 ... ...
이전4244254264274284294304314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