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날이 올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전공자와의 협업이 필요하죠. 만화나 미국 드라마에서는 연구자를 조용한 방에서 엉뚱한 생각을 하며 혼자 실험하는 사람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은데, 요즘은 이렇게 해서는 절대 연구에 성공할 수 없습니다. 다른 사람과의 원활한 소통도 연구자의 능력 중 하나입니다.이윤구 협업을 통해서 ... ...
- [Tech & Fun] 기후변화, 인류에겐 새로운 기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접해 본 사람은 잘 알겠지만, 진화심리학은 흔히 우리가 척결해야 할 대상이라고 생각하는 ‘나쁜’ 행동을 본성이라고 설명해 이에 면죄부를 준다는 비판을 받는다. 각 장의 결론만 모아놓고 보면 그런 것도 같다. 그렇다면 저자는 왜 이런 비판을 받을 위험을 감수하면서 이 책을 쓴 걸까. 저자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최시원, 꽃처럼 피었다 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초록색으로 보이지요. 그런데 식물이 초록색이기 때문에 초록색 빛으로 광합성을 한다고 생각하는 친구들이 많아요. 하지만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사용하는 빛은 빨간색과 파란색 빛이랍니다. 초록색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반사하는 거예요.식물의 엽록소에는 a와 b 두 가지가 있어요. 엽록소a는 ... ...
- [Editor’s note] 같이 해요!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말하는 거지요.조만간 중학교에서 통계 수업을 조별 프로젝트로 진행한다고 하니 이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실 저는 조별 과제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학교 다닐 때도 죽이 되든 밥이 되든 혼자서 하는 편을 좋아했지요.그런데 이제는 협력이 선택이 아닌 필수인 듯합니다. 혼자서 머리를 싸매고 ... ...
- [수학뉴스] 중학 수학만 잘했어도! 물거품이 된 마이크로소프트 입사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대부분 올바른 문제를 푸는 것에만 익숙해져 있어 당연히 문제에는 오류가 없다고 생각해 오답을 말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쉬운 문제를 틀렸다고 하니 면접자가 당황할 수밖에 없지요. 이때 어떻게 대처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이 같은 문제를 출제한다고 합니다 ... ...
- [지식] 지구를 향한 발칙한 상상, 지구가 둥글지 않다면?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월식이 일어날 때 달 위로 지구 그림자가 드리워지는 모습을 보고 지구가 둥글 거라고 생각했다. 지금은 우주에서 찍은 사진을 보고 지구가 공처럼 둥글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지구는 왜 둥글까? 또는 지구가 다른 모양이라면 우리 생활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엉뚱한 상상! 만약 지구가 도넛 ... ...
- [지식] 통계 수업이 달라진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때부터 조별 수업을 많이 해서 이런 수업이 낯설지 않습니다. 학생들은 어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문제 해결 능력도 뛰어나고, 각자 재능을 살려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냅니다. Q 무임승차에 대해 우려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모든 과제를 수업 시간에 하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만약 ... ...
- [수학체험활동]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기부에 시간을 뺏기고 있다고 생각하는 건 아닌지 우려했어요. 하지만 학생들은 제가 생각했던 것 보다 더 많은 것을 배웠고, 수학에 대한 태도도 많이 바뀌었습니다. 재능 기부 도우미로 활동하기 전보다 더 열심히 노력하는 모습이 제 마음을 설레게 했지요. 그 중 몇 명은 수학과나 수학교육과로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기술의 위험성을 환자에게 설명해줄 수만 있다면, 결정은 부모에게 맡기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 ...
- [Career] “궁금증이 내 연구의 원동력”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노벨상 수상자라면 자신의 분야에서 한 획을 그은 과학자들이다. 연구를 흐르는 강물에 비유하자면, 크고 작은 강줄기를 새로 낸 뛰어난 이들이다. 그런데 어떤 이들은 ... 이제 또 다른 궁금증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앞으로도 계속 이렇게 제가 궁금한 것을 연구하며 살아갈 생각입니다 ... ...
이전4204214224234244254264274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