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그래픽스 액체로봇에서 가상공장까지 척척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피부의 굴곡변화를 고려해
빛
을주면(④)‘ 사람보다 더 사람같은’인물이 탄생한다(⑤) .
빛
의 양과 굴곡의 변화, 피부의 실제적인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수학과 물리 방정식을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적용해 계산하는 그래픽스 기술이 적용된다. 좀더 사실적인 인물을 창조해내기 위해 무엇보다 ... ...
13년만에 성큼 다가온 붉은 행성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지금 헤르쿨레스자리에서
빛
나고 있다. 거리도 가장 가깝다. 6월에는 한밤중에 하늘 높이
빛
난다. 현재 9등급대의 밝기여서 맨눈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쌍안경을 사용하면 관측이 가능하다. 소행성을 쌍안경으로 보더라도 다른 별들과 똑같다. 그러므로 쉽게 구분하기 어렵다. 소행성과 별을 구별하는 ... ...
1. 깜찍한 센스 갖춘 기계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CCD)라는 이미지센서도 놀라운 능력을 갖는다. CCD는 광자를 전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빛
에 민감한 물질을 실리콘칩 위에 입혀서 사용하는 집적회로의 한종류로, 보통 화소라고 불리는 기본단위의 광센서가 2차원으로 배열된다. 감도가 사진필름이나 사람의 눈에 비해 1백배나 뛰어나다. 또한 ... ...
향수감별사가 손 휘저으며 냄새 맡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시각의 보조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빛
과 소리를 함께 주면 사람은
빛
을 더 밝게 인식한다. 그래서 만약 회의 때 사용하는 레이저 포인터에 소리를 첨가하면 주의 집중이 더 잘 될 수 있다.냄새 벗어나야 후각신호 발생해냄새를 맡게 되는 것은 냄새 분자 속에 있을 때가 아니라 ... ...
2. 식품의 신선도 감시하는 바이오 파수꾼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항체와 같은 생체물질은 대상물질과 작용해 복합체를 만든다. 이 과정에서 이온이나
빛
, 열, 소리 등이 발생하는데, 센서의 트랜스듀서(전자소자)가 이들을 전기신호로 바꿔준다. 이때 대상물질의 양에 따라 전기신호의 양도 달라지므로, 바이오센서를 통해 대상물질의 양을 알 수 있다.아미노산 ... ...
① 가혹한 환경 극복한 미지의 생존자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수 없는 환경이다. 따라서 심해 생물은 동물과 미생물로만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식물과
빛
이 없기 때문에 광합성에 의한 유기물질(탄소를 함유한 생물의 에너지원이 되는 물질) 생성은 전혀 기대할 수 없다.하지만 다른 방법을 통해서 심해에 유기물질이 유입되기도 한다. 하나는 상층부에서 ... ...
관측 최적기 맞은 화성 100% 즐기기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않는다. 다른 점은 지구보다 태양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1년의 길이는 두배 가량 되며, 햇
빛
이 약해 지구보다 춥다. 대기는 거의가 이산화탄소이며 약간의 질소와 수증기를 포함한다. 일교차도 심해 한낮에는 22℃까지 올라가지만 밤에는 영하 1백33℃까지 떨어진다.‘걸리버 여행기’에 나온 화성의 ... ...
3. 터치스크린과 에어백에 숨은 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발광다이오드와 광센서의 일종인 포토다이오드가 사용된다. 즉 발광다이오드에서 나온
빛
이 렌즈로 집속돼 레이저광이 되고 이 레이저광은 바코드에 비춰져 다시 반사된다. 반사된 레이저광은 포토다이오드에서 감지돼 바코드의 정보를 판독하게 된다.자동 수도꼭지수도꼭지가 없고 손만 갖다대면 ... ...
신약개발에 공헌하는 '
빛
공장'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실험은 여기에서 행해진다.하지만 아직 소개되지 않은 중요 장치가 있다. 진공장치다.
빛
의 속도로 가속된 전자가 지나가는 곳은 필수적으로 초고진공상태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입자와 충돌해 사라져 버리고 만다. 이 외에도 전체 가속기 시스템이 제대로 운영되는지를 진단할 수 있는 ... ...
② 생명 탄생의 기원지 해저 열수구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살고 있었기 때문이다. 상식적으로 해저는
빛
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식물플랑크톤이
빛
을 이용해 광합성을 하는 표층에 비해 유기물이 매우 적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유기물을 먹고 사는 저서생물의 양도 적어야 한다. 더욱이 열수 주변에는 황화가스나 중금속과 같은 독성물질들이 높은 ... ...
이전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