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의 이동통신시대 준비하는 이론공학자 송익호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것은 그리 간단한 일이 아님을 보여주는 예다. 그러고 보면 그의 이론이 상용화란
빛
을 보기까지에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1982년부터 서울대 대학원에서 시작한 새로운 신호검파이론이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에서 수학하던 시절을 거쳐 거의 마무리 단계에 이른 것은 지난 1999년. ... ...
이천 도예마을(陶藝) - 불을 다스리는 노하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원하는
빛
깔을 얻을 수 있었을까. 어떤 노력이 필요했을까. 선조들은 도자기에 원하는
빛
깔을 내기 위해서 많은 실험을 했다. 깨진 자기 조각에 유약을 발라서 가마 속에 넣고 굽는다. 이를 통해 어떤 색이 나오는지를 확인하고 그 뒷면에 바른 유약의 종류를 적어놓았던 것이다.유약성분을 알아본 ... ...
야심찬 화성 식민지화 프로젝트 - 레드 플래닛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눈길을 돌려야 하죠. 여기서 문제는 거리입니다. 다행히도 3천4백년쯤 지날 무렵이면
빛
의 속도까지 점령을 하고, 그밖에 여러 과학기술이 발전해서 뭔가 새로운 것이 생겨나지 않겠어요. 타임머신 개념도 등장할 것 같구요. 50년이나 1백년쯤 지난 후에 태어난 사람들은 멋있는 세계와 고달픈 세계를 ... ...
대입 면접고사 가이드 2002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말은 맞나요?답 : 예.문 : 왜 그렇지요?답 : 지구와 같이 대기를 가지고 있으면 햇
빛
이 공기를 이루는 분자들에 의해 산란되고, 이로 인해 하늘 전체가 밝게 보입니다. 그런데 달에는 대기가 없기 때문에 태양이 떠있는 상황이라 할지라도 하늘은 시커멓게 보이고 별도 보이는 겁니다.문 : 산란은 ... ...
근육 움직임 모사해 나노구동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얻어져야 한다. 바로 수십nm 규모가 증가 되는 것이다. 또다른 예로 먼 거리 사이에서
빛
을 중계하는 광중계기나, 망막을 스크린으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도 구동장치의 움직임에 마찬가지로 nm 규모의 정확도가 필요하다.지금까지‘마이크로 전기기계 시스템’(MEMS)기술을 이용해 ... ...
디지털 시대의 정보창고 데이터 저장장치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역전되고 자성체의 배열이 달라진다. 이렇게 배열이 달라진 부분은 그렇지 않은 부분과
빛
의 반사 각도가 달라지는데, 약한 레이저를 발사해 이런 편광면의 차이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데이터를 읽는다.디지털 오디오용으로 사용되는 2.5인치 크기의 MD(Mini Disc) 역시 MO와 비슷한 방법으로 기록과 ... ...
목성과 토성 사이에서 지긋이 눈감은 초승달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끌고 있다. 22일에는 달을 거의 볼 수 없기 때문에 유성 관측에 가장 방해가 되는 달
빛
이 없다. 즉 하늘만 맑다면 유성을 보기에 가장 좋은 기회다. 새벽 동트기 전에 동쪽하늘을 수놓는 거문고자리를 향해 눈길을 돌려 별똥별을 향해 자신의 소원을 실어보내자 ... ...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아기예수의 탄생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준 것 같다. 지붕에 올라앉은 까치는 기쁜 소식을 전하고, 목자는 손을 위로 들어서
빛
의 존재가 세상에 왔다는 사실을 선포한다. 하늘은 구름 없이 청명하다.담과 지붕. 이 두가지는 그림에서 유일하게 기하학적인 단서들이다. 이 둘을 갖고 그림에서 보는 이의 시점에 대응하는 소실점이나 그림과 ... ...
신의 선물에 만족하지 않은 인공효소 개척자 서정헌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사실 그의 꿈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인공효소로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탄산가스를
빛
을 이용해 환원시켜 메탄올로 만들고, 산과 들의 풀을 가수분해시켜 포도당으로 만들며, 버려지는 단백질을 분해해 사람에게 유용한 아미노산으로 바꿀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인류의 ...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파장이 짧고 에너지가 높은 자외선이 만드는 세상 역시 뱀의 적외선 세상처럼 다른
빛
만 볼 수 있는 인간이 상상하기는 어렵다.자외선 감지 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통해 나비와 꿀벌이 보는 세상을 유추할 수 있다. 자외선 감지 카메라로 꽃을 찍어보면, 같은 색으로 보이던 꽃이 꿀이 있는 ... ...
이전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