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과학동아 l2001년 04호
- 파장이 짧고 에너지가 높은 자외선이 만드는 세상 역시 뱀의 적외선 세상처럼 다른 빛만 볼 수 있는 인간이 상상하기는 어렵다.자외선 감지 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통해 나비와 꿀벌이 보는 세상을 유추할 수 있다. 자외선 감지 카메라로 꽃을 찍어보면, 같은 색으로 보이던 꽃이 꿀이 있는 ... ...
- 목성과 토성 사이에서 지긋이 눈감은 초승달과학동아 l2001년 04호
- 끌고 있다. 22일에는 달을 거의 볼 수 없기 때문에 유성 관측에 가장 방해가 되는 달빛이 없다. 즉 하늘만 맑다면 유성을 보기에 가장 좋은 기회다. 새벽 동트기 전에 동쪽하늘을 수놓는 거문고자리를 향해 눈길을 돌려 별똥별을 향해 자신의 소원을 실어보내자 ... ...
-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아기예수의 탄생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준 것 같다. 지붕에 올라앉은 까치는 기쁜 소식을 전하고, 목자는 손을 위로 들어서 빛의 존재가 세상에 왔다는 사실을 선포한다. 하늘은 구름 없이 청명하다.담과 지붕. 이 두가지는 그림에서 유일하게 기하학적인 단서들이다. 이 둘을 갖고 그림에서 보는 이의 시점에 대응하는 소실점이나 그림과 ... ...
- 빛의 마술봉으로 사라지는 그림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즉 컵의 구멍을 손가락으로 막아서 두컵 사이에 공기 층을 만들면 안쪽 컵에서 나오는 빛이 전반사돼 밖으로 나오지 못한다. 따라서 안쪽 컵의 그림이 보이지 않는 것이다.그러나 손가락을 떼서 두컵 사이에 물이 들어가면 공기층이 사라져 더이상 전반사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완전한 ... ...
- 생명의 파노라마과학동아 l2001년 04호
- 모든 생명체들이 지니고 있는 16가지 공통점에 대해, 2장 에너지는 생명체가 어떻게 빛과 같은 에너지를 이용해 생명을 유지하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3장 유전자에서는 DNA를 구성하는 4염기(A, G, C, T)가 어떻게 모든 생명체를 다양하게 만들 수 있는 것일까를 담고 있으며, 4장 생명장치는 DNA가 ... ...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두개의 형광분자의 형광정도를 변화시킨다. 가위의 양날 모양이 변화에 따라 전구의 불빛이 달라지는 것처럼 말이다.현재 단일분자 FRET를 통해 생체분자가 실시간으로 기능하는 동안 일어나는 구조적인 변화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왜 그럴까. 이를 통해 어떤 새로운 정보를 알아낼 ... ...
- 철로와 바퀴 상태 알아내는 광섬유 센서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방법을 이용했다”고 센서의 적용 원리를 설명했다.이 외에도 광섬유가 휘어지면 빛이 광섬유 밖으로 유출돼 신호가 약해지는 극소변형효과를 이용한 센서도 개발됐다. 연구팀은 철도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달라지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해, 열차가 센서 위를 통과할 때 바퀴와 철로 사이의 힘을 ... ...
-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있다고 가정하자. 체인이 중간에 끊어져 있고, 이 끊어진 부분을 외부의 신호인 전기나 빛 또는 전기화학적으로 이어지거나 끊어질 수 있게 조절이 가능하다면, 현재의 트랜지스터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분자소자는 현재 작은 구조물들이 모여 스스로 조립하는 방법인 자가조립이 ... ...
- 쌍안경으로 즐기는 달나라 여행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날씨가 좋다면 매일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달. 흔히 보이기 때문에 관측하는데 소홀하기 쉽지만 맨눈이 아닌 쌍안경으로 본다면 흥미진진한 세계가 펼쳐 ... 계곡은 거대한 산맥을 자를듯이 어두운 줄기 모양으로 걸쳐 있기 때문에 상현이 돼 햇빛이 비치기 시작하면 쉽게 관찰할 수 있다 ... ...
- 중학교 과학교과서 컬러시대 열렸다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예를 들어 새로운 중1 교과서에 등장한 ‘빛’ 단원은 기존 교과서의 초등 4학년 ‘빛의 나아감’ 중 일부 내용이 옮겨온 것이다. 3학년 내용이 4학년으로, 4학년 내용이 5학년으로 학년 이동이 이뤄졌다. 그래서 기존의 중 3학년까지 배우는 내용을 고등 1년까지로 조정했다.좀더 자세히 교과서의 ... ...
이전4224234244254264274284294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