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2 활용 : ② 탄소나노튜브와 원자현미경의 찰떡궁합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한다.마찬가지 일이 나노세계에도 일어난다. 아무리 정밀한 렌즈를 가진 현미경이라도
빛
을 이용해서는 수백nm 이하의 작은 물체를 보기는 불가능하다. SPM을 이용하면 이러한 광학적 한계 이하에서 마치 우리의 손이 우리의 눈을 대신하듯 날카로운 탐침으로 더듬어 사물의 모양을 파악한다.나노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설레게 합니다.확신은 할 수 없지만당신의 모습은 이 영롱한 결정 속에서반짝이는
빛
으로 다가올 것만 같습니다.우주의 한 언저리에서당신을 찾아 나선 어린 소년이.청평 양수발전처 : 밤에 남는 유휴 전력을 이용해 물을 높은 곳으로 끌어 올려 저장해 놨다가 낮에 전기가 많이 필요할 때는 역으로 ... ...
천혜의 생태계 민통선 희귀식물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이곳의 소나무키는 이를 훌쩍 넘어 25-30m나 된다. 아마도 경사가 급한 지역이라 좀더 햇
빛
을 잘 받기 위한 몸부림이 아닐까.20-30분 동안 높이가 7백-8백m 정도 되는 산봉우리를 넘자 너른 평지가 나오고 작은 군부대도 보였다. 고성군 사천리 일대였다. 점심 식사 후 탐사팀은 비무장지대를 알리는 철책 ... ...
과거엔
빛
의 속도가 달랐다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보여주는 것”이라고 이번 연구의 의미를 설명했다.현재 우주를 설명하는 이론은
빛
의 속도가 상수라는 사실을 전제로 한 것이기 때문에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반면에 끈이론과 같이 우주가 4차원 이상을 가진다는 이론을 주장하는 측은 이번 결과를 반기는 분위기다. 시간에 따라 이들 차원이 ... ...
공룡이론의 격전장 쥬라기공원3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가슴에 털달린 모습의 화석이 발견됐다.쥬라기공원4에서는 ‘빨주노초파남보’ 무지개
빛
깔의 벨로시랩터가 털옷을 뒤집어 쓴 채 등장할지도 모른다. 과연 그런 벨로시랩터가 무서울지는 나중 일이다. 티라노사우루스 역시 새끼 때는 솜털이 달려 있다가 어른으로 자라면 털이 빠진다고 생각하는 ... ...
환경모니터링 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환경오염물질을 추적하는 원격탐사(Remote Sensing) 기술이다.인공위성은
빛
을 쏴서 반사된
빛
을 분석해 정보를 알아낸다. 원격탐사 기술은 인공위성에 잡힌 정보를 분석해 환경오염물질이 어떻게 분포돼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원격탐사 기술을 사용하면 광범위한 지역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 ... ...
가을밤에 만나는 밤하늘의 기준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화성을 기억할 것이다. 화성의 붉은
빛
이 더해져 올여름은 더 더웠나보다.이제 점차
빛
이 약해지며 서쪽 지평선 너머로 사라져간다. 현재 화성은 망원경 상에서 약간 찌그러진 원반 모습으로 크기는 가장 크게 보였던 지난 6월의 절반 정도에 불과하다. 현재 겉보기지름은 11″이며 밝기는 0등급대다. ... ...
물리학자는 왜 대칭성에 주목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보일까. 보통 사람과 전혀 구분할 수가 없다. 우리가 무엇을 볼 때는
빛
을 통해서 보는데
빛
은 물질과 반물질을 구분할 줄 모른다. 그렇다면 반물질로 돼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두사람이 악수를 하는 순간 엄청난 폭발을 하면서 두사람의 손은 없어지고말것이다. 반물질이 우리 주변에 ... ...
적혈구 만한 마이크로 황소 탄생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묘사하려면 1백50nm(나노미터, 1nm=${10}^{-9}$m)의 크기를 가진 블록이 필요하다. 이 정도면
빛
의 회절현상 때문에 나타나는 분해능의 절대적인 한계를 극복한 경우다.가와다 교수는“적혈구 정도의 크기로 마이크로황소를 만든 이유는 혈관에서 움직일 만큼 작은 마이크로머신을 제조할 수 있는 ... ...
분자소재연구실 기능성 분자로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실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분자발광체 연구에서 기본이 되는 색”이라고 이유를 말한다. 전기뿐 아니라 압력에도
빛
을 발하는 이 소재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뿐 아니라 각종 센서나 첨단 압전소재로 쓰일 수 있어 그 응용분야가 무궁무진하다. 세계적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Advanced Materials)지는 이같은 ... ...
이전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