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잠든 책이 깨어난다! 구스범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질병에 걸린 환자들을 본 사람들이 늑대인간 이야기를 지어냈을 확률이 높아요. 하지만 모두가설일 뿐, 늑대인간의 실체에 대해서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진 게 없답니다.설인에는 또 다른 거대 몬스터가 등장해요. 바로 하얀 털로 온몸이 덮인 설인이에요. 그런데 실제로 설인을 봤다는 ... ...
- [지식] 물감의 혼돈, 잭슨 폴락의 그림엔 프랙탈이 있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되다!추상표현주의 미술의 거장, 미국을 대표하는 화가, 액션 페인팅의 선구자는 모두 잭슨 폴락을 설명하는 수식어다. 폴락은 1912년에 태어나 1956년까지 짧은 생을 살았지만, 지금까지도 20세기 문화를 대표하는 미술계의 아이콘이다.이런 화려한 명성과는 반대로 폴락은 어둡고 피폐한 삶을 살았다. ... ...
- [소프트웨어]아직도 숫자 세니? IT기술과 만난 신개념 줄넘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스마트짐이 횟수를 기록하고, 줄넘기로 운동한 시간과 칼로리 소모량 등의 정보도 모두 저장한다.‘벌써 200개 넘게 했네. 앗! 시작 버튼 누르는 걸 깜빡했다!’스마트짐의 시작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줄넘기를 돌리는 횟수가 다섯 번이 넘어가면 블루투스로 연결된 어플리케이션에 저절로 기록되기 ... ...
- [재미]눈사람 만들려면 가루눈보다 함박눈!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여러 가지 별 모양, 영하 20℃ 이하에서는 기둥 모양이에요. 눈 결정 모양은 다양하지만 모두 좌우 대칭이지요.구름 속에서 눈 결정이 자라는 속도는 허츠-크누센 방정식으로 구할 수 있어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분자가 서로 엉겨 붙으려고 할 때의 흐름을 계산할 수 있지요. 이 방정식을 ... ...
- [수학동아클리닉](초등)각기둥과 각뿔 요리하며입체도형탐구하기 (중등)작도로 즐기는 하트 모양디자인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있습니다. 또 각뿔의 옆면과 밑면을 대고 그리는 두번째 활동을 통해서는 각뿔의 옆면이 모두 삼각형이라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이때 종종 학생들이 각뿔의 모서리를 각뿔의 높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각뿔의 높이는 어떻게 재야 할지 생각해 보게 하고, 책상에 놓인 각뿔의 높이를 직접 ...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다이서로스 교수다. 다이서로스 교수는 2005년 에드워드 보이든, 펭 장 박사(현재 두 명 모두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와 함께 녹조류에서 빛에 반응하는 단백질인 채널로돕신을 떼어와 뉴런에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 채널로돕신을 이용한 빛 자극은 수 밀리초(ms) 안에 자극을 켰다 끌 수 있을 ... ...
- [Knowledge]파충류의 속사정 ➒ 익룡 中 ‘중생대 뷔페’가 만든 기기묘묘한 머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 해변을 걸어 다니면서 발자취를 남겼다. 재밌는 것은 이곳의 익룡 발자국 보행렬이 모두 제각각이라는 것이다. 어떤 익룡은 보폭이 좁고, 어떤 것은 보폭이 넓다. 이것은 익룡이 때에 따라 다른 속도로 걸어 다녔음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익룡들이 땅 위에서 자유롭게 움직였음을 알 수 있다. 이 ...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나왔다는 뜻이다. 2013년 힉스 입자의 발견으로 이 같은 표준모형의 핵심적인 내용들은 모두 검증됐다. 실로 ‘아름답다’고 할 만하다.“아마도 중요 기본 원리들은 다 밝혀졌다. 앞으로는 소수 여섯째 자리(더 정밀하게)를 측정하는 것이 물리학에서 할 일이다.”이 말은 물리학자 알베르트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더 먼 곳에서 왔는데 우린 아직 그곳이 어디인지 몰라. 아마 여왕도 모를 거야.”“우리 모두 꿈의 꿈의 꿈이란 말이야?”“너희 시인들 중에도 그런 노래를 부른 사람들이 있었잖아. 너도 그 노래들을 알고 있어.중요한 건 그게 아니야. 여왕은 깨어있는 동안 살고 있는 항성 표면의 환경을 통제했어. ... ...
- [가상 인터뷰]킬리피시가 빨리 죽는 건 유전자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진화 과정에 더 관심이 많아요. 발렌자노 교수는 킬리피시가 건기 때 연못의 물이 모두 마르기 전에 산란을 해야 하기 때문에 빠르게 늙는 개체들만 후대까지 살아남았을 거라고 예상했거든요. 그리고 킬리피시의 유전자 연구가 과학자들이 동물의 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라고요.닥터 ... ...
이전4064074084094104114124134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