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게임카페_팡! 물풍선이 터진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거북이를 먹으면 느려집니다. 물풍선에 갇힌 상대편을 터뜨리거나, 아이템을 먹을 때는 모두 ‘충돌’ 원리를 사용한답니다.아케이드는 점과 점의 충돌‘크레이지아케이드’는 캐릭터가 상하좌우로만 움직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충돌 원리를 적용할 때 캐릭터나 아이템 모양에 구애받지 않지요.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단청 퍼즐 속 수학 찾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쓰이는데, 목조건물에서 비바람에 나무가 썩지 않도록 보호해준다.심미성과 기능성을 모두 갖춘 단청의 기하학적인 무늬에서 수학적 규칙도 찾을 수 있다. 바로 ‘평면의 대칭군’이다. 평면의 대칭군은 2차원 평면을 채우는 반복적인 무늬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이다. 각 무늬가 가지고 있는 ... ...
- 리만가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항상 0이 된다.리만은 리만제타함수를 그래프로 나타냈을 때 자명하지 않은 근(영점)이 모두 일직선 위에 나타난다는 가설을 세웠다. 원래 리만은 소수가 불규칙적으로 등장하기 때문에 리만제타함수의 근도 불규칙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런데 실제 계산해 본 결과 영점 3개가 일직선 ... ...
- [재미]동아리 탐방-인천 가좌고 ‘PAPER’ 딱딱한 통념을 접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부분을 표시한 다음 해당 층을 접기 위해 필요한 가로 길이인 16πt, 12πt, 11πt, 15πt를 모두 더했다. 결과는 54πt다.그런데 갤리번의 양쪽 방향 접기 공식에 따르면 종이를 다섯 번째 접을 때 필요한 종이의 가로 길이는 n이 5일 때의 값인 64πt에서 n이 3일 때의 값인 8πt를 뺀 56πt다. 2πt만큼의 차이를 ... ...
- [News & Issue]정직한 나라, 실험해 봤더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뒤, 앞면이 나오면 3~5달러를 보상으로 약속했다. 두 번째는 어려운 음악문제 3개를 내고 모두 맞히는 사람에게 상을 걸었다. 연구팀은 앞면이 나왔다고 말하는 사람의 비율이 50%가 넘는 국가와, 2문제 이상 맞췄다고 말하는 사람을 정직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두 실험은 온라인으로 진행됐다.실험 ... ...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무한한 수의 프랙탈 치즈 덩어리를 만들어 팔 수 있다. 그리고 놀랍게도 프랙탈 치즈를 모두 팔고 난 뒤에도, 여전히 처음과 같은 부피의 치즈 덩어리가 남아있다(사실 문제가 하나 있다. 부피가 0인 프랙탈 치즈는 아무리 먹어도 배가 부르지 않다. 고객이 없을 수도 있다).The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인류가 발견한 과학적 사실 중 가장 중요한 것을 꼽는다면, 우리 주변의 모든 물질이 모두 ‘원자’로 이뤄져 있다는 것을 확인한 사건을 빼 놓을 수 없다. 물론 18~19세기에도 일부 화학자들이 ‘원자론’이라고 부를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시했고, 실제로 유용한 개념으로 이용되기도 했다. 하지만 ... ...
- [쇼킹 사이언스]눈이 두루마리처럼 둘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바깥면에 새로운 눈 층이 잘 붙을 수 있답니다.우리나라에선 이렇게 까다로운 조건이 모두 맞아떨어지기 어려워요. 그래서 두루마리 눈을 관찰하기 어렵지요. 하지만 미국 북부 지역이나 캐나다, 북유럽에서는 이 세 조건이 완벽하게 맞는 때가 있어 종종 볼 수 있답니다 ... ...
- 세뱃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비트코인은 좀 달라요. 비트코인은 실제 돈과 자유롭게 바꿀 수 있고 온오프라인에서 모두 쓸 수 있거든요. 2009년 익명의 일본인 ‘나카모토 사토시’에 의해 개발된 비트코인은 암호화된 문제를 풀면 누구나 발행할 수 있는 가상화폐예요. 비트코인을 얻기 위해 문제를 푸는 걸 ‘채굴’이라고 ... ...
- [숲 이야기 하나]수목원 나무들의 겨울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달라요. 꽃으로 피어날 ‘꽃눈’과 잎으로 펼쳐질 ‘잎눈’이 각각 나뉘기도 하고, 이 모두가 한 눈 속에 들어 있기도 하지요. 진달래나 개나리처럼 봄이 오면 온 세상을 환하게 만드는 꽃나무들은 이미 꽃으로 피워낼 꽃눈의 분화*를 마친 상태로 겨울을 나요. 꽃이 될 눈들을 잘라 보면, 이미 ... ...
이전4054064074084094104114124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