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기"(으)로 총 1,0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자와 사람 기생충이 닮았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부분이 많이 있다.예를 들어, 몽골이나 아프리카 문헌을 보면 1930년대 몽골 병사가 쇠고기를 먹지 않았는데도 민촌충에 걸린 사례가 있었다. 아시아촌충일 가능성이 있다. 러시아 야쿠츠쿠 지역도 민촌충에 감염됐다는 기록이 있다. 이 지역은 소는 물론 돼지도 먹지 않는다. 먹는 것은 순록뿐이다. ... ...
- PART 2. 천재들의 엉뚱한 행동, 세상을 바꾼 괴짜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14세의 심장 조각을 보여주자 마자 삼켜버렸다는 일화가 있을 정도야. 당연히(?) 각종 고기 맛을 섭렵하고 있었어.한 번은 버클런드가 이탈리아에 갔다가 매일 아침 성스러운 피가 기적처럼 생긴다는 교회에 방문했대. 새로운 육식(?) 거리를 발견한 버클런드는 보자마자 피에 혀를 댔고, 피가 ... ...
- PART 2 무인기와 유인기가 맞짱을 뜬다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점이 많다. 조종석과 유리창(캐노피), 사출좌석, 산소 공급 장치, 압력(여압) 조절 장치, 고기동 제한 등이다. 이런 것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무인전투기는 어떤 이점이 있을까.우선 항공기 동체의 무게를 대폭 줄일 수 있다. 훨씬 우수한 기동력, 선회 반경, 상승률을 가지는 것은 물론이고 무기를 더 ... ...
- 빙하가 녹으면 바이러스가 잠을 깬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이하의 절대 냉동 상태여서 생존 기간이 더욱 길어질 수도 있다. 물론 냉동고 속의 얼린 고기도 오래 되면 육질이 변하듯, 냉동 휴면상태가 오래 될수록 박테리아의 생존율은 떨어지기도 한다. 실제로 필자의 연구에서도 30만 년 된 남극 빙하에서 여러 종류의 박테리아를 부활시킬 수 있었지만, 80 ... ...
- 쓰레기 채식은 육식보다 해롭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도드라진 음식이다. 분명 채식은 채식이지만, 균형 잡힌 식사와는 거리가 멀다. 고기 반찬을 마다한다고 고추장을 비벼 먹거나 김만으로 한 그릇을 먹고 마는 것도 마찬가지다. 빵이나 케이크로 배를 채우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그럼 어떻게 해야 하나? 인터넷에 ‘채식’이라고만 쳐도 방법은 다 ... ...
- 하늘에서 비처럼 눈이 온다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수증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곳은 서해가 유일하다. 여름철에 영향을 미치는 북태평양 고기압이 열대바다에서 만들어져 우리나라까지 접근하는 내내 바다를 지나 수증기를 잔뜩 머금고 있는 것과는 천지차이다. 덕분에 폭설 등 재난에 대비하는 소방방재청에서는 눈이 5cm정도 올 경우에 대비해 ... ...
- 생명공학으로 차린 밥상 정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뼈를 즐겨 먹어도 안전할까.이런 식품들은 이미 우리 밥상 위에 올라와 있고, 복제 쇠고기, 슈퍼연어 등 새로운 GMO와 복제동물이 줄줄이 밥상에 오를 준비를 하고 있다. 도대체 어떤 생명공학 식품들이 있는지, 과학적으로 안전한지 생각해 보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최신 과학이슈의 가장 친절한 ... ...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지식은 전혀 필요 없다. 더구나 아주 미량의 시료만 있으면 가능하다.시장에서 파는 고래 고기가 불법 포획된 멸종 위기 종인지를 알기 위해서 고래 전체를 볼 필요가 없다. 눈곱만한 살점만 얻으면 된다. 식당에서홍어와 가오리를 구분할 수 있고, 야생동물의 대변을 이용해서 그 동물이 섭취한 ... ...
- 왼손잡이는 정말로 천재인가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사냥한 고기를 가죽과 분리하기 위해 다듬을 때 고기는 앞니를 이용해 입에 물고, 왼손은 고기의 가죽을 붙잡은 뒤 오른손으로는 돌칼을 잡고 내려치기 때문이다. 이 분석을 토대로 50만 년 전 인류의 93.1%가 오른손잡이라는 주장을 내놨다. 현대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왼손잡이가 11%라는 것과 ... ...
- 화학자와 요리사가 함께 만든 크리스마스 특별 선물 분자 요리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4호
- 재료의 특성을 치밀하게 연구해 기존에 있는 요리를 더 맛있게 만드는 방법도 있다. 고기나 야채를 진공으로 포장한 다음 저온에서 오랫동안 익히는 ‘수비드 기법’이 바로 그 비결! 재료에 들어있는 영양성분과 맛을 가장 온전히 보존하면서 안전하게 먹을 수 있는 대표적인 분자요리 기법이다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