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우울증·흡연중독은 네안데르탈인 탓?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과응고장애, 광선각화증(햇빛에 노출된 부위에 종양이 생기는 병) 같은 질환들이 모두 네안데르탈인 유전자와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카프라 교수는 네안데르탈인에서 건너온 유전자들이 “과거엔 유리했던 형질”이라고 설명했다. 한 예로 혈액을 빨리 응고시키는 유전자는 상처의 ... ...
- [과학뉴스] 블로토 게임이론, 95년 만에 풀리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이긴다. 연구팀은 게임에서 가능한 경우의 수가 무수히 많다는 것에 주목했다. 양쪽이 모두 최선의 전략을 세워 평형상태가 됐을 때를 기준으로 보고, 그렇지 않은 경우의 수를 추려내 승률을 계산했다. 블로토 게임 전략은 실제 선거에 대입할 수 있는 전략으로 주목을 받아왔다. 어떤 지역에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낮아 중력파 신호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1969년 웨버의 검출기는 4대로 늘었다. 4대 모두에서 동일하게 검출된 신호 3개를 발견한 웨버는 확신에 찬 어조로 중력파를 발견했다는 논문을 완성했다.논문 출간 2주 전, 웨버는 미국 중서부 상대론학회에서 중력파 검출결과를 발표했다. 칼텍의 킵 손 ...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괭이갈매기의 경우, 10알을 낳아서 손주를 하나도 못 건지는 것보다는 2알을 낳아서 모두 어른까지 잘 길러내는 것이 더 유리했으리라는 설명이다.두 설명 가운데 어느 것이 옳은지는 간단한 실험을 통해서 쉽게 규명할 수 있다. 괭이갈매기들은 한 둥지에 평균 2알을 낳는다. 둥지들에서 알을 ... ...
- [Knowledge] 우리도 부모가 되고 싶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정자 기증은 거의 없다. 기증과 관련한 절차나 법제도가 미비해 정자 공여자와 수여자 모두를 만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암 환자에게 꼭 필요한 정자은행정자은행은 정자를 채취해 용기에 넣고 영하 196℃의 액체질소 탱크 속에 동결시켜 보관하는 곳으로, 필요한 양만큼 녹여 인공수정에 이용할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늘어났다.세상 사람들 중에는 ‘개성을 갖고 하나하나 분리되어 있는 자유인’들을 모두 지배하려고 하는 사악한 뇌 덩어리라고 나를 보는 사람도 있었다. 옛날 이야기에 나오는 것처럼, 나는 한 덩어리로 연결된 뇌를 가지고 있으니, 이것은 마치 여러 사람이 뭉쳐 하나의 덩어리처럼 행동하는 ... ...
- [News & Issue] 오큘러스 리프트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사가 합작해 만든 ‘바이브’와 소니 사의 ‘플레이스테이션VR’ 같은 다른 HMD 기기도 모두 올해 출시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죠. 올해가 정말 ‘가상현실의 원년’이 될까요? 일단 분위기는 무르익고 있습니다 ... ...
- [News & Issue] 예술, 갇힌 마음의 창이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있고, 몸에도 얼굴이 있다. 캔버스의 모든 곳을 빈틈없이 얼굴로 채웠다. 이 얼굴들은 모두 같은 사람의 얼굴이지만, 바라보는 곳이 조금씩 다르다. 누구의 얼굴일까. 어디를 바라보고 있는 걸까.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이 관장은 “이처럼 캔버스를 정교하게 채우는 기법을 일반 ...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같은 미립자를 계면활성제와 섞은 시약이다(계면활성제는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모두 가진 물질이다). 비누가 때에 달라붙듯 시약의 소수성기가 지문의 지질성분에 달라붙는다. 이때 소수성기의 반대편인 친수성기에 붙은 미립자를 통해 지문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시약들은 물에 잠긴 지 5~7일이 ...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이 두 생물의 평화로운 공존을 가능하게 했다. 초대형 익룡이 등장한 백악기의 새들은 모두 몸집이 작았다. 이들은 물가에서 잠수를 하거나 나무 위에서 살며 열매나 씨앗을 먹었다. 반면 대형 익룡들은 해변이나 내륙을 어슬렁거리며 작은 동물을 잡아먹었다. 몸집도 다르고 생활 방식도 달랐기 ... ...
이전4014024034044054064074084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