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자자리 유성우 관측가이드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이처럼 혜성과 지구의 궤도 요소만으로 계산하는 극대 예보는 변수가 너무 많아
정확
도가 그다지 높지 않다.몇몇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시각으로 17일 밤-18일 아침에 극대가 올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또 모혜성이 지구 궤도와 교차한 직후 2-3년 안에는, 유성우가 나타날 확률이 해마다 비슷하다고 ... ...
속담 속의 날씨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①아침 무지개는 비가 올 징조다무지개는 하늘에 떠있는 빗방울에 햇빛이 반사와 굴절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 눈에 들어오는 현상이다. 아침에는 태양이 동쪽에 있으므로 무 ...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해무리나 달무리 후에 비오는 확률은 보통 60-70% 정도로
정확
도가 상당히 높다 ... ...
지진 예측할 수 없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작은 지진들을 각각 전진(Foreshocks)과 여진(Aftershocks)이라고 한다. 큰 지진의 전진을
정확
히 관측할 경우 이것은 강진의 전조현상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지진예측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1976년 중국의 당산에서 일어난 지진과 같이 전진이 없이 일어나는 큰 지진도 많으며, 작은 지진의 경우 ... ...
태교는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발견했다. 그런데 태아의 뇌는 태아가 잠든 시기에 활발하게 형성된다고 알려져 왔다.
정확
한 메커니즘은 모르지만 어머니의 목소리는 태아의 뇌가 발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셈이다. 또 일반적으로 소리는 태아의 청력을 발달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그렇다면 임신부가 틈날 때마다 태아에게 ... ...
간편하고 안전한 라식수술의 원리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닿았을 때 각막 조직의 분자결합 부위만을 파괴해 조직의 표면에 열손상을 주지 않고
정확
히 조직을 절제할 수 있으며, 절제된 표면은 매우 매끄러워 연마한 것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때문에 부작용이 거의 없이 우리 눈에서 굴절률 변화를 가장 크게 일으키는 각막 부위를 갈아내 굴절률을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모든 가정의 상비약으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아스피린이 어떻게 약효를 나타내는가를
정확
하게 알게 된 것은 이 약이 판매되기 시작한 후 72년이 지난 1971년에 이르러서였다. 백혈구가 감염된 조직 부근에 도착하면 프로스타글란딘이라고 하는 화학 물질이 분비되면서 통증을 일으킨다. 이 때 ...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태양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태양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우며 표면을 자세히 볼 수 있는 유일한 별이다. 다음으로 가까운 별은 센타우루스자리의 프록시마로 태양보다 27만배나 멀리 떨어져 있다. 태양계의 ... 레이저 반사경을 설치해 이들의
정확
한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태양까지의 거리도 매우
정확
하게 알 수 있다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또 왼쪽 이마가 오른쪽에 비해 앞으로 돌출한 사례가 많다는 점이 드러났다. 좀더
정확
한 증거를 찾아야겠지만, 뇌가 전체적으로 커졌으며 특히 지성을 지배하는 좌뇌가 많이 발달한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가능하다.눈과 눈 사이는 좁아지고 있다. 한국인의 눈동자 간 거리는 평균 62-65mm ... ...
음악파일의 혁명 MP3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이어진 기존의 오디오 CD 시장을 위협하는 MP3의 성공비밀은 무엇일까?MP3 파일의 정체
정확
히 말해 MP3는 ‘MPEG Audio Layer-3’의 줄임말. MPEG은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의 준말로 동영상과 관련된 표준규격을 협의하는 국제협회의 이름이자 여기에서 만들어진 표준을 뜻한다. 우리가 감상하는 비디오 ...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알아보기 위한 유전자 가위가 발견됐다. 제한효소라고 불리는 유전자 가위는 DNA 분자를
정확
한 위치에서 잘라줄 뿐 아니라 특정한 유전자를 찾아 다른 유전자들과 분리시켜 주기도 한다. 제한효소의 발견으로 DNA 연구는 비약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를 발견한 스위스의 분자생물학자 베르너 ... ...
이전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