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턱도 디스크에 걸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찾은 곳은 치과였다. 방사선 촬영을 비롯한 몇가지 검사를 받은 L군은 여기에서 비로소
정확
한 설명을 들었다.오징어가 원인L: 선생님 제 턱에서 왜 소리가 나죠?의사: 턱에 있는 디스크(관절원판)의 형태와 위치에 이상이 생겼기 때문입니다.L: 형태와 위치 이상이라니요? 좀더 구체적으로 ... ...
1만원권 지폐에 새겨진 자동 물시계 자격루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는 자격루로 인해 “조선왕조는 완벽한 정밀기계 장치의 자동물시계를 국가 표준시계로
정확
하게 시보하는 기술시대에 들어서게 되었다”고 말한다. 이만하면 국보 229호 자격루가 1만원권 지폐에 세종대왕과 함께 새겨질 자격이 있지 않을까 ... ...
전통민속놀이로 배우는 과학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목적으로 느슨하게 풀어놓는다.팽이치기에는 5-10m의 목표 지점을 설정해놓고 팽이채로
정확
하게 팽이 허리를 치면서 빨리 돌아오기를 겨루는 놀이, 돌고 있는 팽이를 맞부딪쳐 상대편 팽이를 쓰러뜨리는 팽이싸움놀이, 팽이에 줄을 감은 후 다른 팽이의 머리 위로 찍어내리거나, 팔을 옆으로 비켜서 ... ...
인류는 어디서 발생했는가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견해는 1980년대 말에 이르러 무너지기 시작했다. 첨단 연대측정법을 이용한 결과 화석의
정확
한 연대가 제시됐기 때문이다.두가지 다른 갈래우선 케바라 동굴의 네안데르탈사람의 연대가 6만년 전이었다. 그런데 슬기사람 화석이 발견된 카프체 유적의 연대는 이보다 4만년이 더 이른 10만년 ... ...
지구는 얼마나 클까?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실과 직선이 일치하도록 막대를 세우면 된다.맑은 날 정오가 되면 막대 그림자의 길이를
정확
하게 재자. 우리나라는 동경 135도에서의 시간을 표준으로 쓰고 있으므로 태양이 정남에 오는 시간은 30분 정도 차이가 있다. 따라서 12시 30분 경에 그림자의 길이를 재도록 하자. 같은 시간에 정해진 장소의 ... ...
병이 병을 부르는 합병증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없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Bb 유전자를 가진 사람은 말라리아에 저항력을 보인 것이다.
정확
한 이유는 알 수 없다. 다만 말라리아에 감염된 세포를 빨리 제거하도록 적혈구 안의 단백질(헤모글로빈)이 변형된 것으로 추측된다. 물론 겸상적혈구증에도 걸리지 않는다. 몸에 질병 유전자(b)를 가진 경우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시간의 길을 따랐다. 태양을 통해 자연이 보여주는 시간을 앙부일구를 통해 가장
정확
히 읽어낼 줄 알았던 것이다. 흔히 현대 과학은 자연의 비밀을 드러내왔다고 이야기된다. 그러나 시간에 있어서 우리는 오히려 자연의 비밀을 잊어버리고 살아간다. 태양이라는 가장 밝은 존재를 통해 보여주는 ... ...
날카로운 불은 정사면체, 안정된 흙은 정육면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두 행성 사이의 거리가 다섯 가지 정다면체 중 어떤 특정한 다면체와 관련되기 때문에
정확
하게 여섯 개의 행성이 존재한다고 추론했다. 케플러는 약간의 실험을 통해 포개진 정다면체와 구면의 배열을 발견했는데 여섯 개의 각 행성의 궤도는 여섯 개의 구면 중 하나 위에 놓여 있다고 주장했다. ... ...
Ⅲ. 민속학/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음악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각 민속에 보이는 유사성 안에서 같고 다른 점을
정확
하게 보아야 하는 것이다. 그래야만 우리 민속의 형성·전개의 모습을 설명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우리 자신과 문화를 잘 이해할 수 있다. 17세기 후반 코자크족 중심의 러시아 탐험대가 시베리아의 바이칼 ... ...
동물들의 기발한 속임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있다. 밤나방의 천적은 박쥐다. 박쥐는 캄캄한 밤에 초음파를 발사하며 먹잇감을
정확
하게 찾는 비상한 사냥꾼이다. 먹잇감에 부딪혀 반사돼 돌아오는 파장을 감지하는 방식이다. 밤나방의 날갯짓이 박쥐의 초음파 레이더에 걸려들면 밤나방의 목숨은 백발백중 끝장이 난다. 하지만 밤나방의 ... ...
이전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