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높이까지 올린 다음 원을 그리면 그 중심은 배꼽이 되며, 배꼽과 두 다리 사이의 공간은
정확
한 이등변 삼각형이 된다. 다빈치는 이를 증명하기 위해 인체의 외곽에 정사각형과 원을 그려 넣었다. 이처럼 다빈치가 ‘구조’에 그토록 몰두했던 것은 사물의 도식(schema)을 알고자 하는 욕구로부터 ... ...
인터넷 신화 일군 야후!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의지한다는 것이다. 당연히 불필요한 사이트는 제외됐다. 이는 “야후에 접속하면 빨리
정확
한 정보를 찾을 수 있다”는 생각을 사용자들에게 심어주었다. 많은 인터넷 회사들이 앞다투어 복잡한 홈페이지를 만들 때 야후는 거꾸로 접속이 빠른 단순한 홈페이지를 꾸민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시간의 길을 따랐다. 태양을 통해 자연이 보여주는 시간을 앙부일구를 통해 가장
정확
히 읽어낼 줄 알았던 것이다. 흔히 현대 과학은 자연의 비밀을 드러내왔다고 이야기된다. 그러나 시간에 있어서 우리는 오히려 자연의 비밀을 잊어버리고 살아간다. 태양이라는 가장 밝은 존재를 통해 보여주는 ... ...
날카로운 불은 정사면체, 안정된 흙은 정육면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두 행성 사이의 거리가 다섯 가지 정다면체 중 어떤 특정한 다면체와 관련되기 때문에
정확
하게 여섯 개의 행성이 존재한다고 추론했다. 케플러는 약간의 실험을 통해 포개진 정다면체와 구면의 배열을 발견했는데 여섯 개의 각 행성의 궤도는 여섯 개의 구면 중 하나 위에 놓여 있다고 주장했다. ... ...
비무장지대에 대량 살포된 고엽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피해자’들이 있기 때문이다.이들이 어디에 사는지 또 어떤 고통을 받고있는지에 대해
정확
한 자료가 없다. 다만 이번 사건이 언론과 방송에 보도되자 당시 고엽제 살포에 참여한 사람들이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는 제보가 잇따르고 있다.비무장지대가 ‘한국 생태계의 보고’라는 인식도 바뀔 ... ...
초상화는 왜 왼쪽얼굴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정신을 그대로 그려내는 것이 더욱 중요했다. 그러므로 해부학을 연구해서 얼굴근육의
정확
한 위치와 움직임을 정밀하게 관찰하고 묘사하려는 서양의 추구와는 달리, 얼굴은 평면적이고 자세는 딱딱하지만 그림 전체에서 풍기는 인물의 기품을 숭상했다. 때문에 관습적으로 굳어진 왼쪽 측면상 ... ...
300년만에 풀린 최석정의 마법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하지만 이것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마법진의 구성원리를 알고 있었다고 해야
정확
할 것이다. 실제로 이지원씨는 최석정의 마법진에서 보수관계나 홀수짝수관계 등을 파악해 일반원리를 발견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마법진을 만들 때 이미 최석정이 그러한 원리를 적용했다고 생각하는 것이 ... ...
우리은하도 충돌했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이렇게 탁월한 모델에, 새로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갖추고,
정확
한 관측데이터를 결합한 결과는 충격적이게도 오메가 성단이 구상성단이 아니라 은하라는 것이었다. 그것도 1백억년 전에 우리은하와 충돌해서 지금은 은하의 핵부분만 남아있는 상태라는 것이다. 칠레에서의 ... ...
Ⅱ. 환자 개인별로 맞춤약 개발된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2003년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료되면 인류는 A, G, C, T 4가지 알파벳으로 이뤄진 모든 유전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를 모아 책으로 만들면 1천쪽 ... 있다. 침팬지를 모델동물로 사용해 특정 유전자를 변형시킴으로써 질병을 일으킬 때 보다
정확
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라고 한다. 한편 너무나 멀리 떨어져 있는 별은 연주시차조차도 너무 작아 거리를
정확
히 측정할 수 없다. 연주시차를 이용해 잴 수 있는 별의 거리는 약 3백광년 이내이다.백조자리 61번별은 처음으로 연주시차를 이용해 거리를 잰 별로 유명하다. 1838년 독일의 천문학자 베셀은 40m 앞에 있는 한 올의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