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자강
양즈강
장강
d라이브러리
"
양쯔강
"(으)로 총 34건 검색되었습니다.
악어와 사랑에 빠진 남자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조만간 100배에서 1000배까지 급증할 것으로 전망했다.둥글고 넓적한 주둥이를 가진 중국
양쯔강
악어는 현재 150마리 뿐이다. 캄보디아 샴악어는 이미 멸종했다고 알려졌을 정도로 수가 적다. 바 박사는 멸종위기에 처한 악어 서식지를 직접 찾았다. 새로운 ‘친구’를 만날 때마다 몸길이, 무게, ... ...
중국 싼샤댐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양쯔강
중류에 위치한 싼샤댐은 세계 최대의 수력발전 프로젝트다. 지지자들은 290억 달러짜리 프로젝트가 홍수를 조절하고 수력 에너지를 공급할 것이라고 하지만 비판적인 사람들은 환경 재해를 우려하고 있다. 신호의 감쇄나 이득을 나타내는 통신 단위예를들어 음성신호 등은 스스로는 멀리 ... ...
1. 한반도 주변 속살 벗겨보니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없이 넓고 편평한 대륙붕이 차지하고 있다. 황해의 서쪽 해안은 중국에서 흘러들어온
양쯔강
과 황하삼각주가 특징이며, 한국 쪽에는 섬이 매우 많고 광범위하게 펼쳐진 조간대가 발달해 있으며 해안선과 비스듬히 발달한 모래사구가 독특한 지형을 이룬다.남해는 제주도와 쓰시마섬 사이에 있는 ... ...
우리나라는 밤하늘 어디쯤 있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아이들이 커가며 꼭 갖고싶은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지구본’이다. 삐딱한 축을 중심으로 지구를 돌려가며 아이들은 세계의 곳곳을 여행한다. 지구본을 통해 우리나 ... 있다. 땅이 넓은 중국은 역시나 밝은 별을 지니고 있는데 쌍둥이자리의 카스토르와 풀룩스가
양쯔강
하류에 있다 ... ...
과학으로 베일 벗는 한국 고대사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높여준 것이다.더욱이 당시 일식의 최적 관측지점이 백제는 발해만 유역, 신라는
양쯔강
유역으로 나타나 놀라움이 더해졌다. 이 결과만을 놓고 보면 두나라의 강역이 중국까지 뻗어있었다고도 추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부분은 앞으로 더 많은 과학적·역사적 검토가 필요하겠지만, 박 교수의 ... ...
중국 과학혁명의 산실, 칭화대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시키는 곳으로 유명합니다. 고향집에는 1년에 두차례 방학 때 잠깐 찾아보는 정도지요.”
양쯔강
유역인 후난성(湖南省)에서 왔다는 멩롱(孟龍)씨의 말이다. 이번에 전자공학과 석사과정을 마치는 멩롱씨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했다.“전 일본 회사 소니에 취직했어요. 중국 지사가 아니라 ... ...
04. 남획 막아야 해양선진국 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서식지가 아예 사라져 결과적으로 남획에 악영향을 미친다. 또 중국의 황하강과
양쯔강
등 큰 하천들이 서해로 흘러들어오면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것도 연근해 어획량 감소와 무관하지 않다.고래 남획은 아직도 논란중 그렇다면 남획은 비단 한국만의 문제일까. 이 박사는 “아니다”고 ...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 충북에서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년 미국고고학회 도서상을 수상한 그의 저서 ‘농업의 출현’(The Emergence of Agriculture)에서
양쯔강
기원설을 택하고 있다. 한동안 벼농사 종주국의 자리를 즐기고 있던 중국인들이 최근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후난성의 볍씨보다 4천년이나 더 오래된 볍씨가 한반도에서 발견됐기 때문이다. 1997년 충북 ... ...
오염물질 정화하는 자연의 콩팥 갯벌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형성에는 우리나라 강뿐 아니라 중국의 황하나
양쯔강
등도 한몫 거들고 있다. 황하와
양쯔강
은 1년에 15억t에 이르는 어마어마한 흙을 서해에 공급하고 있다. 서해를 황해라 부르는 이유도 그만큼 바닷물이 미세한 진흙 물질을 많이 함유해 누렇게 보이기 때문이다. 이런 미세한 진흙 입자는 ... ...
전설의 섬 이어도에 우뚝 선 과학기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파악해 피해를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고 아쉬워했다.기지가 들어섬으로써 중국이
양쯔강
을 막아 건설 중인 세계 최대의산샤댐이 바다에 어떤 영향을 줄지 파악하는 것도 쉬워진다. 또한 1초마다 해수면을 측정하는 해수면 레벨측정기가 있어 지구온난화로 해수면이 얼마나 상승하는지도 아주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