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자강
양즈강
장강
스페셜
"
양쯔강
"(으)로 총 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문화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1만 1700년 전 빙하기가 끝나고 홀로세가 시작하면서
양쯔강
하류 일대에서 토기와 절구 등 농업 관련 도구들이 본격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하며 오늘날 '상산 문화'라고 부르는 신석기 시대가 시작됐다. 이때 날카로운 돌낫도 만들어졌고 그 결과 벼 밑동을 잘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기장의 재발견
2021.12.14
조를 재배하며 살았다는 말이다. 농업의 기원을 보면 주요 곡물인 벼는 중국 남부
양쯔강
일대에서 작물화됐고 밀과 보리는 서아시아에서 작물화됐다. 동북아시아에서는 기장과 조가 작물화됐지만, 지금은 생산량이 앞의 세 작물에에 비교가 안 되는 수준이라 작물화를 다룬 과학 연구에서도 잘 ... ...
도시 발 아래에 '땅 속 탄소 저장고'가 있다...새롭게 주목 받는 지하 탄소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따르면, 전세계 193대 강에서 퇴적된 퇴적물의 양은 약 21% 감소했다. 특히 황허나
양쯔강
, 인더스 강 등 아시아 지역의 강에서는 퇴적물의 양이 극단적으로 줄었다. 그 결과 범람원이나 갯벌의 형성이 줄어드는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북극권 땅 속엔 막대한 탄소가 방출중…땅 속 탄소가 불씨 ... ...
[표지로 읽는 과학] 40억년간 '진흙'이 바꾼 지구의 풍경
동아사이언스
l
2020.08.23
지어진 댐과 제방은 퇴적물의 속도를 늦추고 양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왔다. 특히 황허나
양쯔강
, 인더스 강 등 아시아 지역의 강에서는 퇴적물의 양이 극단적으로 줄었다. 사이언스에 따르면, 전세계 193대 강에서 퇴적된 퇴적물의 양은 약 21% 감소했다. 그 결과 범람원이나 갯벌의 형성이 줄어드는 ... ...
"최근 세계적 유행 신종 감염병 원인은 대규모 서식지 파괴 탓"
연합뉴스
l
2020.02.18
내놓았다. 그는 '급성전염병 발생 시 혐오, 인권, 인간-동물 관계'란 토론문에서 "중국
양쯔강
(揚子江) 중류지역이 급격히 개발되면서 코로나 19의 발원지인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에서도 다양한 생태서식지가 많이 사라졌다"며"실제 우한은 중국 개발의 상징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싼샤(三峽 ... ...
[프리미엄리포트]19일 우주로 향하는 '천리안2B호‘
과학동아
l
2020.02.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연구본부 위성탑재체개발부 책임연구원은 “천리안 1호에서는
양쯔강
에서 흘러나온 적조와 녹조가 한반도로 향하는 모습만 대략 보였다면, 천리안 2B호를 통해서는 이것이 한반도 근해에서 세부적으로 어떻게 이동하는지까지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