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자강
양즈강
장강
뉴스
韓·美 공동연구팀, 인도양 대기부터 해저 4000m까지 동시관측 최초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12.12
해 한국 장마가 길었던 원인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인도양의 수온 불균형이 중국
양쯔강
의 하천 배수량을 늘려 한국 서해안에 저염분 현상을 일으킨다는 내용의 연구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양 열대해역은 한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뿐 아니라 북미 대륙 서부지역 기후까지도 ... ...
중국보다 앞선 1만5000년 전 한반도에서 세계 최초로 벼농사를?
2024.11.09
벼농사의 기원을 밝힌 중국 과학자들의 '사이언스' 논문을 소개한 글이었다. 중국
양쯔강
일대의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굴된 벼의 '식물석'을 분석한 결과 1만 3000년 전부터 야생벼를 재배했고 1만 1000년 전부터는 순화벼를 재배했을 것이라는 내용이다. 식물석이란 지하수의 실리카 성분(규산)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문화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1만 1700년 전 빙하기가 끝나고 홀로세가 시작하면서
양쯔강
하류 일대에서 토기와 절구 등 농업 관련 도구들이 본격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하며 오늘날 '상산 문화'라고 부르는 신석기 시대가 시작됐다. 이때 날카로운 돌낫도 만들어졌고 그 결과 벼 밑동을 잘라 ... ...
"아시아 지역, 지난해 홍수로 가장 많은 피해 입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23
취약성이 드러났다고 분석했다. 반기성 케이웨더 센터장은 "아시아 지역은 메콩강,
양쯔강
, 한강, 황허강 등 큰 강 주위에 대도시가 모여 있어 홍수에 취약하다"면서 "기후변화로 강수량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피해도 나날이 커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북태평양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문화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1만 1700년 전 빙하기가 끝나고 홀로세가 시작하면서
양쯔강
하류 일대에서 토기와 절구 등 농업 관련 도구들이 본격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하며 오늘날 '상산 문화'라고 부르는 신석기 시대가 시작됐다. 이때 날카로운 돌낫도 만들어졌고 그 결과 벼 밑동을 잘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기장의 재발견
2021.12.14
조를 재배하며 살았다는 말이다. 농업의 기원을 보면 주요 곡물인 벼는 중국 남부
양쯔강
일대에서 작물화됐고 밀과 보리는 서아시아에서 작물화됐다. 동북아시아에서는 기장과 조가 작물화됐지만, 지금은 생산량이 앞의 세 작물에에 비교가 안 되는 수준이라 작물화를 다룬 과학 연구에서도 잘 ... ...
도시 발 아래에 '땅 속 탄소 저장고'가 있다...새롭게 주목 받는 지하 탄소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따르면, 전세계 193대 강에서 퇴적된 퇴적물의 양은 약 21% 감소했다. 특히 황허나
양쯔강
, 인더스 강 등 아시아 지역의 강에서는 퇴적물의 양이 극단적으로 줄었다. 그 결과 범람원이나 갯벌의 형성이 줄어드는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북극권 땅 속엔 막대한 탄소가 방출중…땅 속 탄소가 불씨 ... ...
[표지로 읽는 과학] 40억년간 '진흙'이 바꾼 지구의 풍경
동아사이언스
l
2020.08.23
지어진 댐과 제방은 퇴적물의 속도를 늦추고 양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왔다. 특히 황허나
양쯔강
, 인더스 강 등 아시아 지역의 강에서는 퇴적물의 양이 극단적으로 줄었다. 사이언스에 따르면, 전세계 193대 강에서 퇴적된 퇴적물의 양은 약 21% 감소했다. 그 결과 범람원이나 갯벌의 형성이 줄어드는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1호
나는 어과동 과학 마녀 일리! 오늘은 미래를 상상해 보았어. 먼 미래 사람들은 나를 위대한 과학 마녀로 기억해 줄까? 그랬더니 내 친구 상 ... 땅을 침수시키는 등의 문제점도 있습니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수력발전소는 중국
양쯔강
에 세워진 싼샤 댐(사진)으로, 높이만 181m에 달한답니다 ... ...
[시사 과학] 코로나19로 늘어난 플라스틱 쓰레기 바다에 차곡차곡 쌓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4호
높았던 세 곳은 이라크 남동부에 위치한 ‘샤트알아랍강’과 인도 ‘인더스강’, 중국 ‘
양쯔강
’으로, 각각 5200t, 4000t, 3700t 규모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배출됐어요. 연구팀은 배출된 플라스틱 쓰레기의 향후 이동 경로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강으로 흘러든 플라스틱 쓰레기의 1.5%에 해당하는 2만 5900t ... ...
과거│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육지였기 때문에 낙동강과 섬진강의 줄기도 현재보다 100km 이상 길었다.중국 동부에는
양쯔강
과 황허강 사이에 구(舊)황허강도 흘렀다. 구황허강은 황해를 가로지른 뒤 제주도 남쪽을 지나 바다로 흘렀다. 마지막 빙기가 지나고 구황허강은 사라졌다. 황해는 경사가 완만하기 때문에 단순히 ... ...
[과학뉴스] 비상! 약 50년간 야생 척추동물 수 2/3 줄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활동이었어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동물들의 서식지가 훼손된 거지요. 예를 들어 중국
양쯔강
의 철갑상어는 거저우바댐 공사로 서식지가 파괴돼 개체 수의 97%가 감소했습니다. 아프리카 회색앵무와 콩고 카후지-비에가 국립공원의 동부저지대고릴라는 사냥 위협과 사냥을 위한 서식지 파괴로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영원히 멸종된 동물 - 아시아,오세아니아 편
기사
l
20240224
놀랍게도,멸종 발표 후
양쯔강
돌고래가 다시 발견이 되었는데, 이것은
양쯔강
상괭이라는 추측도 있습니다. 결국,2022년 공식적으로
양쯔강
돌고래가 멸종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3. 강치 서식지:독도 멸종연도:1970년대 멸종이유:일제 시대 때 일본인들의 무분별한 사냥 이 독도 고유종이던 바다사자,우리말로는 강치는 조선시 ...
신기한 사실들 100가지
기사
l
20240128
떨어지고있다고 인식하기 전에이미 바닥에 닿았기 때문 23.미국 뉴욕에서 64층빌딩에서 추락했지만 살아남은 고양이가 있었다 24.
양쯔강
자라는 암컷 1마리 수컷 1마리가 생존해있다.둘중 한마리만 죽으면 얄짤없이멸종인거다 25.스파르타는 바다가 있는데 농사가 잘되었다 26.스파르타는 정복한자는 없지만 정복당한자는 많다 27.일제강점기때에 초 ...
위촉일발! 멸종위기동물들! TOP 11!
기사
l
20220924
색감과 고기로 사용되려고 밀렵되었고, 로드킬당했으며, 외래종에게 둥지를 빼았긴 등 개체 수가 급감했습니다. 3위
양쯔강
돌고래 출처: https://www.newspeng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201 20마리 이하 생존, 또는 멸종. 세계에서 몇 안되는 강돌고래 중 개체 수가 가장 급감한 강돌 ...
중국이 초강대국이 될 수 있었던 힘은 바로 지리 덕분이라고!? - 을 읽고
기사
l
20210417
보이는 인간의 축조물이라는 거짓말도 있다고 합니다.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ZcT_T3dN4bA) 중국을 대표하는 황하강과
양쯔강
이 있는데 문제는 무엇이냐면 두 지역의 거리가 너무 길어서 교역이 어려웠습니다. 그런데 고구려를 침입했다가 을지문덕 장군에게 참패했던 수 양제가 노예 700만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