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쯔강"(으)로 총 3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나는 어과동 과학 마녀 일리! 오늘은 미래를 상상해 보았어. 먼 미래 사람들은 나를 위대한 과학 마녀로 기억해 줄까? 그랬더니 내 친구 상 ... 땅을 침수시키는 등의 문제점도 있습니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수력발전소는 중국 양쯔강에 세워진 싼샤 댐(사진)으로, 높이만 181m에 달한답니다 ... ...
- [시사 과학] 코로나19로 늘어난 플라스틱 쓰레기 바다에 차곡차곡 쌓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높았던 세 곳은 이라크 남동부에 위치한 ‘샤트알아랍강’과 인도 ‘인더스강’, 중국 ‘양쯔강’으로, 각각 5200t, 4000t, 3700t 규모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배출됐어요. 연구팀은 배출된 플라스틱 쓰레기의 향후 이동 경로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강으로 흘러든 플라스틱 쓰레기의 1.5%에 해당하는 2만 5900t ... ...
- 과거│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육지였기 때문에 낙동강과 섬진강의 줄기도 현재보다 100km 이상 길었다.중국 동부에는 양쯔강과 황허강 사이에 구(舊)황허강도 흘렀다. 구황허강은 황해를 가로지른 뒤 제주도 남쪽을 지나 바다로 흘렀다. 마지막 빙기가 지나고 구황허강은 사라졌다. 황해는 경사가 완만하기 때문에 단순히 ... ...
- [과학뉴스] 비상! 약 50년간 야생 척추동물 수 2/3 줄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활동이었어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동물들의 서식지가 훼손된 거지요. 예를 들어 중국 양쯔강의 철갑상어는 거저우바댐 공사로 서식지가 파괴돼 개체 수의 97%가 감소했습니다. 아프리카 회색앵무와 콩고 카후지-비에가 국립공원의 동부저지대고릴라는 사냥 위협과 사냥을 위한 서식지 파괴로 ... ...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 편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그보다 훨씬 업그레이드됐다. 우선 공간해상도가 4배 증가했다. 천리안 1호로는 양쯔강에서 흘러나온 적조와 녹조가 한반도로 향하는 모습만 대략 보였다면, 천리안 2B로는 이것이 한반도 근해에서 세부적으로 어떻게 이동하는지까지 보인다.박영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책임연구원은 ... ...
- [천리안 2B] 해양탑재체 총괄 용상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연구본부 위성탑재체개발부 책임연구원은 “천리안 1호에서는 양쯔강에서 흘러나온 적조와 녹조가 한반도로 향하는 모습만 대략 보였다면, 천리안 2B호를 통해서는 이것이 한반도 근해에서 세부적으로 어떻게 이동하는지까지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와 더불어 ... ...
- Part 2. 상괭이를 아시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같은 종으로 분류되지요.그런데 2015년 고래연구소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상괭이도 양쯔강 돌고래처럼 앞으로 찾아보기 더 어려워질지도 모른다고 해요. 2005년 3만 6000여 마리였던 상괭이가 2011년 조사에서 약 70% 가까이 줄어든 걸로 나타났기 때문이랍니다 ... ...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거죠. 따라서 옛 어른들이 말하던 ‘제비가 가는 강남’은 한강의 남쪽이 아닌 중국 양쯔강의 남쪽 즉, 동남아 지역을 뜻한답니다.아~, 제비가 가는 강남은 우리가 찾아온 서울 강남이 아니었구나! 그런데 지금이 4월이니까 따뜻한 남쪽나라에서 돌아올 때가 됐는데…. 대체 제비들은 어디로 간 거지? ... ...
- 밀 VS 보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함량이 높고 칼슘, 철분과 같은 무기질과 비타민이 많이 들어 있어요. 산지는 중국 양쯔강 상류 티베트 지방이나 카스피해 남쪽 중앙아시아로 추정해요. 우리나라에는 고대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보고 있답니다. 맥류밀과 보리, 호밀, 귀리 같은 맥류 곡물은 예로부터 인류의 주요한 먹거리였어요. ... ...
- 황금바다에 빠지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먹잇감이 많기 때문이다. 식생이 다양한 데는 하구둑이 없는 덕이 크다. 주 연구원은 “양쯔강 하구에는 둑이 없어 밀물·썰물에 따라 담수와 해수가 자연스럽게 섞이기 때문에 민물 생물과 바다 생물이 함께 살 수 있다”고 설명했다.새는 보지 못하고 새 소리만 들어 잔뜩 약이 오른 관광객을 위한 ... ...
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