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자"(으)로 총 39건 검색되었습니다.
- ① 시각 : 도로 상태 보며 핸들 조절하는 무인자동차과학동아 l2000년 06호
- 정의할 수 있다. 즉 시각, 청각, 인지·추론, 그리고 행동의 4가지 기능이다. 이는 공자님의 “예의가 아니면 보지 말고, 듣지 말고, 말하지 말고, 행동하지 말라”는 말씀과 일치한다. 여기서 ‘말’은 단순한 음파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생각한 결과가 밖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볼 수 있기 ... ...
- 여인의 봉숭아물이 더 진해지는 까닭은과학동아 l1998년 09호
- 하면 된다는 것이다. 간호사는 불필요한 설명보다는 수술을 잘 마치는 것이 중요하다는 공자의 말을 실천한 셈이다. 그런데 매니큐어는 아세톤으로 쉬 지워지지만, 봉숭아물은 무엇으로 지운단 말인가. 모르겠다. 그러니 백성들은 ‘봉숭아물을 들이면 마취가 안된다’고 생각할 밖에.마귀를 쫓는 ... ...
- 북한에 다녀온 옥수수박사 김순권과학동아 l1998년 03호
- 연애를 포기하고 그의 스승에게서 물려받은 옥수수 사랑법을 익혀가고 있기 때문이다.공자도 고향 마을에서는 평범한 이웃 사람 공구(孔丘)로 불렸듯이, 제자들에게 비친 김박사의 모습은 친근한 선생님일 뿐이다. 작년에는 제자들이 용돈을 모아 김박사의 생일선물로 운동화 한 켤레를 사드린 적이 ... ...
- 신화에 등장하는 상상속의 동물과학동아 l1997년 12호
- 따르면 공자가 세상에 태어날 때 기린이 출현하고, 기린이 전차에 치어 다침으로써 공자의 죽음을 예고했다고 한다. 현실화된 변형동물 사람 심장 달린 돼지ㆍ애꾸 개구리상상 속의 동물은 고대 이후 현대까지 다양한 형태로 생활문화 속에 포함돼 왔다. 중세 이후 가문을 상징하는 문장(紋章)에 ... ...
- 화석수집열풍 지구비밀이 사라진다과학동아 l1997년 04호
- 알려지기 전까지는 판매하지 않는 것을 규칙으로 삼아온 필립스사는 조만간 입수된 공자새의 화석을 경매에 부칠 예정이다.희귀 표본은 골동품 가격 육박화석을 뜻하는 영어 단어 ‘fossil’은 ‘땅에서 파낸 기묘한 물건’이란 라틴어 ‘fossilis’에서 연유한다. 실제로 진짜 화석 뿐 아니라 골동품도 ... ...
- 중국에서 발견된 세계 8번째 시조새 화석과학동아 l1996년 10호
- 진정한 직계 조상”이라고 주장했다. 후교수는 이를 공자새(孔子鳥)라고 명명했다.공자새 화석은 1994년 요녕 지방에서 농민들에게 발견됐다. 처음에는 이전의 화석과 비슷한 ‘평범한’ 화석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후교수는 이전의 시조새와 다른 특징들을 발견했다.먼저 이빨이 없고 각질로 이뤄진 ... ...
- 중국이 목판인쇄 고집한 이유과학동아 l1996년 08호
- 10세기 중엽 공자의 유교 경전들을 출판할 때 아주 잘 활용됐다. 1백30권으로 이뤄진 이 ‘공자 전집’은 중국의 문화와 사상의 발전에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나아가 목판 인쇄술은 불경, 왕조 역사, 지방 역사, 잡록집, 백과사전, 식물학, 의술서, 농업서적 등 수많은 서적을 출판하는데 ... ...
- [1] 보이지 않는 에너지-정신·물질세계 모두 작용과학동아 l1994년 11호
- 해볼 필요가 있다. 공맹(孔孟)과 노장(老莊)은 기를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살펴보자.공자는 논어에서 군자의 도를 설파 하기 위해 네가지 기를 이야기했다(辭氣 屛氣 食氣 血氣). 맹자는 기가 신체를 가득 채우는 극미한 구성요소라고 정의했다. 기는 사람 몸 속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천지 자연에도 ... ...
- PART.3 게임제작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저녁 6시부터 새벽 3시까지'이던 근무시간을 폐지했다. '후생(後生)이 가외(可畏)'라는 공자 말씀처럼 뒤늦게 출발한 다른 팀의 데모버전에 큰 충격을 받은 팀장의 폭탄선언 때문이다. 따라서 이제는 근무시간이 따로 없다. 그저 눈 뜨면 제작에 매달리고 눈감으면 쉬는 시간이다. 지금까지 매번 ... ...
-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의 만남과학동아 l1992년 10호
- 말이다. 다시 말하면 여기서 도는 자연 본래의 근원적인 질서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공자는 "도는 사람과 멀지 않은 것이지 사람이 도를 행한다 해도 사람을 멀리 하면 가히 도를 행한다 할 수 없다"고 해 도가 곧 인륜의 질서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옛 중국의 철인들은 자연의 질서와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