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자"(으)로 총 39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소설] 브레인 크런치 : AI 시대에서 인간이 살아남는 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5대 성인들의 유품에서 DNA를 추출하여 예수, 석가모니, 소크라테스, 마호메트, 공자의 뇌를 재구성하였습니다. 거기다 그들이 남긴 정보들을 학습시켜, 본래 수준에 가장 근접한 상태의 뇌를 만들었죠. 이 다섯 뇌는 그대로 유기 용액에 담겨 우주로 보내졌습니다. 일명 ‘수행자’ 프로젝트로 인간에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조선의 수학은 내게 맡겨라!” 조선시대 홍정하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산원이 되었지요. Q 멋져요! 수학자로서 큰 존경을 받으셨겠어요! 안타깝게도 그때는 공자의 가르침을 배우는 ‘유학’만 중요하게 생각하던 시기였어요. 조선의 관리는 1품부터 9품까지 등급이 나뉘는데, 산원은 가장 낮은 9품으로 시작해 6품까지만 오를 수 있었지요. 하지만 나중에는 수학이 점점 ... ...
- [Issue] AI는 인간의 ‘후배’인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논어’에서 공자는 ‘후생가외(後生可畏)’라는 말을 남겼다. ‘뒤에 난 사람은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으로 나이가 젊고 의지가 강한 후배가 학문을 계속 쌓고 덕을 닦으면, 그 진보가 선배를 능가하는 경지에 이를 것이라는 의미다.인공지능(AI)의 목표는 사람처럼 생각하는 기계를 만드는 ... ...
- [이투스교육] 정의와 불평등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처벌 등에 있어서 ‘마땅히 받을 만한 몫을 공정하게 받는 것’을 말한다. 정의를 두고 공자는 ‘천하의 바른 정도를 아는 것’, 플라톤은 ‘국가가 지녀야 할 가장 필수적인 덕목’, 아리스토텔레스는 ‘같은 것은 같게, 다른 것은 다르게 대우하는 것이며, 각자에게 각자의 몫을 주는 것’이라고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교내 과학대회 수상을 위한 ‘꿀팁’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지는 점에만 집중한다면 오히려 원하는 결과를 얻기 힘들 것입니다. 중국 고대 사상가 공자는 ‘아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고 했습니다. 교내 과학대회는 과학을 즐기는 학생에게 주어지는 기회와 같습니다. 학생 스스로 특정 주제를 공부하고 ... ...
- 오일러를 앞선 최석정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게을리 하지 않았으리라는 겁니다. 조선시대 양반도 수학 공부했다!실제로 세종대왕은 공자가 중요하다고 했다면 이유가 있을 것이라 여기고 수학을 공부했다죠. 경종 때 영의정을 지낸 조태구는 동·서양 수학을 아우르는 내용을 ‘주서관견’이라는 책에 담았습니다. 서양의 기하 증명법을 이 ... ...
- [Career] 미래자동차, ‘터보 캔’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 보자는 것이었다.100배 빠른 차량 통신 비결 ‘온고이지신’공자는 논어에서 ‘옛것을 연구하여 새로운 것을 안다’는 뜻의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이라는 말을 남겼다. 이 말은 두 사람의 공동연구를 잘 설명해 준다.두 사람과 강수원 박사가 함께 개발한 ‘터보 캔 ... ...
- 당신은 무엇을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2년 08호
- 하지만 이번 호에 힉스 입자 관측 소식을 기획으로 다루면서 조금 위안을 받았다. 과학은 공자님 말씀과 달라서, ‘숨어있는 편벽하고 괴이한’ 것도 눈에 보일 때까지 파고든다(그래서, 힘 내서 다음 호에는 암흑물질을 다룰 예정이니 기대하시라) ... ...
- Part 1. 털, 동물은 입고 인간은 벗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표범의 무늬는 모두 털 덕분에 가능하다. 특히 호랑이와 표범의 털은 얼마나 아름다운지, 공자와 그 제자들의 언행을 기록한 책 ‘논어’에도 등장한다.“호랑이와 표범의 가죽도 털이 하나도 없다면, 털 뽑은 개나 염소 가죽과 똑같다(안연 편).”개나 염소에게는 미안한 말이지만, 호랑이나 표범도 ... ...
- 과유불급(過猶不及)과 부등식과학동아 l2009년 07호
- 지니고 있던 반면, 자하는 매사에 신중하고 현실적인 행동을 하는 인물이었다. 아무튼 공자는 두 사람 모두를 중용의 도가 부족한 인물로 평가하고 있다.부등호는 미국 원주민 칼 장식에서 유래그런데 이런 기호는 대칭적이지 않고 기억하기도 쉽지 않아 기호 를 만든 사람들조차도 때때로 혼동하곤 ... ...
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