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부
현성
공로자
공인
유공자
공짜
무료
d라이브러리
"
공자
"(으)로 총 39건 검색되었습니다.
헤엄 잘 치는 '밥도둑' 꽃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불려왔다. 그중 대표적인 것으로 무장
공자
(無腸公子)와 횡행개사(橫行介士)가 있다.무장
공자
는 ‘창자가 없는 동물’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옛사람들은 게의 창자가 없다고 생각했고, 속이 빈 놈을 조상 앞에 내놓을 수 없다고 해 제상에 올리기를 꺼려했다. 물론 게를 제상에 올리지 않는 ... ...
백성을 굽어 살피는 어진 소리 편경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백아(白鵝, 흰기러기)가 하늘로 날아오를 때 내는 청아한 울음소리. 팔음 분류법 가운데 ‘석’(石)부에 속하는 편경의 소리를 우리 조상들은 이 ... 백성을 가르치고 나라를 다스리는 데 중요하기 때문에 한시라도 몸에서 멀리해선 안 된다는
공자
의 가르침으로 ‘예기’(禮記)에 전해진다 ... ...
3. 날아라 고구려 공룡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없는 부리를 가진 가장 오래된 새로 수컷과 암컷이 꼬리 깃털에 의해 확연히 구분된다.
공자
새 외에도 다양한 원시 새들이 발굴됐다. 2002년 발견된 사페오르니스(Sapeornis)는 중생대에 발견된 새 중 가장 크며 제홀로르니스(Jeholornis)는 현생 새와 달리 공룡처럼 매우 긴 꼬리를 가졌고 뱃속에서 수십 ... ...
우주인 '체질'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갖고 있다.그렇다면 이공계 전
공자
, 그 중에서도 생물이나 약학, 의학 분야 전
공자
가 타전
공자
에 비해 월등히 유리하진 않을까?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최기혁 박사는 “꼭 그렇지 않다”며 “2년이라는 훈련 기간을 거치기 때문에 국문학을 전공한 사람도 충분히 우주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 ...
동양 공룡 VS 서양 공룡 티라노 필적하는 포악한 싸움꾼 양추아노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몸길이가 20-50cm였던
공자
새는 이빨이 없는 부리를 가진 최초의 새다. 다양한 종류의
공자
새 화석들이 1억5천만년 전부터 1억2천만년 전에 이르는 지층에서 발견됨으로써 이미 많은 수의 조류들이 쥐라기 후기와 백악기 초기에 살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몸 전체에 깃털이 있고 비행용으로 보이는, ... ...
인간 생명을 구하는 억대 인형 더미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실제 우리나라에서 자동차 사고는 사망 원인 중 1, 2위를 다툴 정도로 심각한 문제다.
공자
님 말씀 같지만 최선의 방법은 안전운전을 통해 자동차 사고를 줄이는 일이다. 그러나 사고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는 일도 반드시 필요하다. 이 때문에 자동차는 설계할 때부터 탑승자의 안전을 고려해 ... ...
고대인의 필기노트, 죽간과 목간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세로로 두세줄 써넣을 수 있을 만큼 제법 넓은 판도 얻을 수도 있다. ‘논어’에는
공자
가 하도 ‘책’을 많이 읽어 가죽끈이 세번이나 끊어졌다는 구절이 있다. 종이가 발명되기 전이니 이 ‘책’은 아마 죽간일 것이다. 그래서 한자어 ‘책’(冊)은 여러 개의 죽간에 구멍을 뚫어 끈으로 이은 ... ...
비슷비슷한 한옥지붕의 천태만상 표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주인이건 두루 사용됐다.이에 반해 유교건축에는 대개 소박한 맞배지붕을 사용했다.
공자
의 신위를 모신 향교의 대성전이나 조상의 위패를 모신 사당은 거의 예외 없이 맞배지붕을 사용해 뭔가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다. 심지어 봉건국가인 조선을 대표하는 시설이며 한양으로 천도할 때 궁궐보다 ... ...
서양의 오리온은 발목 삔 아가씨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볼 수 있는 별들이 몇 안되기 때문이다. 그래도 일주 사진을 보면, 논어 위정편에 나오는
공자
의 말씀이 느껴진다. 뭇 별들이 북극성을 중심으로 돌듯이 덕으로 정치를 하면 자연스럽게 백성들이 따를 것이라는. 하늘의 궁궐 자미원동양 별자리는 3백60개나 되므로 아주 복잡하다고 느낄 수도 있다. ... ...
가을에 만나는 황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띄엄띄엄 놓여져 지평선 위에 빛나는 남쪽물고기자리 1등성 포말하우트까지 이어진다.
공자
가 지은 서경(書經) 요전(堯傳)에는 ‘허(虛)성은 추분때의 기준별이다’라는 글이 나온다. 허성은 지금의 물병자리 베타별과 조랑말자리 알파별로 이루어진 별자리인데 고대부터 추분을 정하는 기준으로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