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숟가락"(으)로 총 1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첫 번째 요리_영양 가득 오일러 공식수학동아 l201501
- 비빔밥처럼, 오일러 공식에는 이 5대 ‘영양수’★가 모두 들어 있습니다. 비빔밥 한 숟가락에 허기진 배가 든든해지듯, 오일러 공식만 제대로 소화하면 수학의 영양가를 머릿속에 쏙쏙 채울 수 있답니다. 0과 1은 보이지 않는다고요? 아직 요리가 끝난 게 아닙니다. θ자리에 π를 넣고 비벼야만 ... ...
- 바이오가스에서 접시까지 낙엽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421
- 뉴욕에 있는 회사인 베르테라(Verterra)는 낙엽과 물만으로 일회용 접시와 그릇, 칼, 포크, 숟가락 등을 만들어서 팔고 있다.낙엽으로 접시를 만들 수 있는 건 낙엽에 들어 있는 ‘셀룰로오스’ 덕분이다. 셀룰로오스는 우리가 섬유소라고 부르는 성분으로, 물리적으로 질긴 특성이 있다. 이런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10
- 믿기 어렵겠지만 조선 시대 이전까지 대부분의 백성들이 쌀밥을 먹지 못했기 때문에 숟가락이 필요 없었다(다른 곡식으로도 밥을 해먹지 않았다). 조선 시대 이전에는 쌀밥은 귀족과 왕의 전유물이었다. 평민에게 쌀은 아주 귀한 작물이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평민들은 조나 보리를 먹었고 귀족은 ... ...
- 벌집 아이스크림엔 진짜 벌집이 들어 있을까?과학동아 l201408
- 그래서 공장에서 마트까지 꽤나 오랜 시간 유통됐음에도 단단하게 굳어있지 않고 숟가락이 부드럽게 들어간다. 무슨 제품인지는 비밀이다(:D). 독자 여러분이 직접 찾아보는 재미를 빼앗아 갈 순 없으니까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06
- 있네! 아마 감을 먹고 뱉은 씨를 잘라본 친구들은 본 적이 있을 거야. 이렇게 하얀 숟가락 모양을 ‘배’, 주변의 하얀 것들을 ‘배젖’, 이것들을 덮고 있는 얇은 층을 껍질이라고 해. 배는 나중에 자라서 어린 식물이 되고, 배젖은 싹이 틀 때 필요한 양분을 저장하고 있지. 사과나 벼도 같은 구조로 ... ...
- 커피와 와인 마셔, 말어?과학동아 l201403
- 설탕, 크림을 3숟가락씩, 333해서 가져와!”어르신께 “어떤 커피를 드릴까요?”라고 여쭈면 이런 주문을 종종 받는다. 이렇게 드셔도 건강에 이상이 없을까하는 걱정이 앞선다.그런데 커피가 40대 이후에 주로 발병하며 전체 당뇨병의 80~90%를 차지하는 ‘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을 낮춘다는 ... ...
- [life & Tech] 설탕과 펙틴이 만나면 과일이 끈적끈적과학동아 l201311
- 때 빵 속에 젖어들지 않고 표면에 넓게 펴져요.완성된 사과잼의 맛은 어떨까요? 작은 숟가락으로 떠 한입 맛보았어요. 혀끝을 녹일 듯한 달달한 맛과 향긋한 향이 입안 가득하게 퍼졌어요. 시중에서 파는 사과잼보다 사과의 향기가 풍부한 걸 보니 이번 실습도 성공이네요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11
- 한다. 만약 일일이 미생물을 분석하다가는 제품을 영영 출시하지 못할 것이다. 흙 한 숟가락에만 1만 종의 미생물이 있고 그 중 대부분(95%)은 정체조차 모르는데 어느 세월에 분석을 할까. 하지만 차세대 염기서열분석기술로 한꺼번에 미생물 유전체를 해독하고, 이를 빅데이터 기술이 접목된 천랩의 ... ...
- 생면으로 요리한 봉골레 파스타과학동아 l201309
- ~1.8배나 되는 수분을 흡수하면서 익거든요. 파스타를 넣은 뒤 굵은 소금과 올리브유를 한 숟가락씩 넣어요. 굵은 소금은 면에 짭짤하게 간을 낼 뿐 아니라, 전분이 엉겨 붙는 현상을 막아주지요.파스타를 물에서 끓이면 표면에 있는 단백질 층이 파괴돼 전분이 바깥으로 빠져나와요. 안쪽에 있는 ... ...
- 젤라틴이 만드는 쫀득함의 비밀과학동아 l201308
- 얼음이 없다면 아이스크림 믹스를 냉동실(영하 18~20℃)에 넣어두고 10분에 한번씩 꺼내어 숟가락으로 저어주어도 된답니다.‘사이언스 인 더 키친’ 연구원들은 기발한 아이디어를 주었어요. 아이스크림 믹스가 담긴 볼을 얼음 대야에 얹는 대신 초저온(영하 약 176℃)인 액체질소를 직접 붓는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