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숟가락"(으)로 총 12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360° 영상은 위상수학으로수학동아 l201609
- 때, 충돌하는 면, 충돌 방식, 물체의 모양 등에 따라서로 다른 다양한 소리가 있다. 쇠숟가락으로 유리잔을 쳤을 때, 컵에 비어있는지 물이 들어있는지에 따라 소리가 달라지는 사실로도 알 수 있다. 물리적 한계를 함수로 극복소리를 만드는 모든 요소를 일일이 찾아 계산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주로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07
- 손가락을 넣었다 뺀 뒤, 그 손가락을 핥아 먹는다. 갈고리가 아닌, 효율이 다소 나쁜(?) 숟가락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속도는 느리지만 새알처럼 점성이 높은 액체를 즐기기엔 충분하다. 아이아이가 길다란 가운데 손가락을 이용해 애벌레를 낚고 새알 내용물을 먹는 걸 보면, ‘죽음을 내리는 가운데 ... ...
- [헷갈린 과학] 꿀 VS 조청어린이과학동아 l201602
- 그런데 꿀벌은 한 번에 많은 양의 꿀을 옮길 수 없어요. 그래서 우리가 먹는 한 숟가락의 꿀을 얻기 위해 꿀벌은 무려 8만 4000송이 정도의 꽃을 찾아다닌답니다.곡물을 삭여서 졸인 ‘조청’꿀이 자연에서 얻어지는 것과 달리 조청은 사람이 직접 만드는 천연 감미료에요.조청을 만들 때는 쌀, 찹쌀, ... ...
- 과학과 요리의 만남 분자요리어린이과학동아 l201515
- 알긴산 칼슘 막을 형성해 표면이 굳거든요.준비물 : 망고주스, 물, 알긴산, 염화 칼슘, 숟가락 우유맛 계란 흰자우뭇가사리에서 얻을 수 있는 한천은 물에 넣은 뒤 온도를 85℃ 이상으로 높이면 녹는 답니다. 그리고 다시 32~40℃ 정도로 온도를 낮추면 젤리 형태로 굳지요.준비물 : 한천, 우유, ... ...
- 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과학동아 l201508
- 평평하게 보인다.적절한 연출도 필수다. 음식을 가만히 그릇에 담아 놓을 때보다 한 숟가락 퍼 올릴 때 더 맛있어 보이기 때문이다(맛집을 소개하는 방송에서 음식을 촬영할 때를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다). 또 촬영 중에는 소금이나 버터 같은 재료를 정해진 레시피보다 더 듬뿍 넣는다. 어떤 재료가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07
- 이 때문에 물에서 움직이는 것보다 기름 속에서 움직이는 것이 어렵고, 엿이나 꿀을 숟가락으로 뜰 때 길게 줄이 생기게 된다. 반대로 점도가 낮을수록 용액이 흐르는 속도는 빨라진다.密 度밀 도(빽빽할 밀, 정도 도)‘빽빽할 밀(密)’을 사용하는 밀도는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나 분자가 촘촘하고 ...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06
- 내년 상반기 이전 상용화를 목표로 가상미각 장비 ‘Taste+’를 개발하고 있다. 텀블러나 숟가락 모양으로 생긴 이 장비는 입이 닿는 부위에 전극이 설치돼 있다. 액체를 마시거나 음식을 먹을 때 자동으로 혀에 미세한 전기자극이 간다. 연구팀을 이끌고 있는 싱가포르국립대 니메샤 라나싱어 박사는 ... ...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05
- 연결돼 있어서 해킹할 수 있는 목표 사물이 적어요. 하지만 사물인터넷 세상에서는 숟가락이나 의자도 좀비 PC로 쓰일 수 있어요.따라서 전문가들은 해킹에 대비하는 방법을 찾아야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어요. 그리고 내 정보가 게이트웨이를 지나 서버까지 가는 기존의 통로 대신 더 안전한 ... ...
- Part 3. 강함을 배운다과학동아 l201505
- 10cm, 길이가 26cm인 두 유리판을 경첩으로 연결한 ‘인공 부리’를 안개가 낀 곳에 두고 네 숟가락 정도의 물을 수집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를 수행한 청 루오 교수는 “대량 생산이 이뤄진다면 안개나 이슬이 존재하는 어느 지역에서나 물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도요새는 긴 부리를 여닫으며 ... ...
- [화보] 안드레이의 환상적인 개미나라 FANTASY월드수학동아 l201505
- 연출한 건 개미들이지요. 멋진 작품을 탄생시킬 수 있게 도와준 개미들에게 안드레이는 숟가락에 시럽을 듬뿍 담아 보답했답니다.개미나라로 다함께 떠나요!안드레이가 개미떼를 따라다니며 작품을 만든 지도 어언 7년이 넘었어요. 오랜 시간 동안 개미가 사는 모습을 아주 가까이에서 바라보면서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