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5,291건 검색되었습니다.
제11회 천체
사진
공모전 당선작 학암포의 저녁 무렵
과학동아
l
200304
수상작 가운데 은상을 차지한 허숙진씨의 ‘긴 겨울밤’이 대상과 함께 뛰어난 일주운동
사진
으로 주목을 받았다. 국내에서는 보기 드물게 12시간 동안 별의 일주운동을 찍은 작품이다. 또 지난해 초 새롭게 발견된 이케야-장혜성이 구상성단 M13과 함께 한 모습을 담은 염범석씨의 작품도 눈에 ... ...
2 노벨상으로 알아보는 이중나선 그 후
과학동아
l
200304
핵산의 결정 구조를 밝히는 윌킨스의 논문과 이중나선 구조의 결정적 단서를 제공한 X선
사진
이 포함된 프랭클린의 논문이 뒤따랐다.1962년 왓슨과 크릭, 윌킨스는 DNA 구조 발견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하지만 프랭클린은 그렇지 못했다. 노벨상은 3인을 초과할 수 없으며 ... ...
먼 지인 통해야 직장 구하기 쉽다
과학동아
l
200304
번만에 우리나라 모든 배우들과 연결된다. 독자들에게 그리 익숙하지 않은 이름이겠지만
사진
을 보면 “아! 저 아저씨!”하면서 어디선가 한번 본 듯한 인상을 기억해낼 것이다.이렇듯 박용팔은 주연이 아니지만 많은 영화에 조연으로 출연하면서 여러 배우들과 연결선을 효율적으로 이어나가며 ... ...
바빌론에서 바그다그까지 문명의 요람 이라크
과학동아
l
200304
일정한 성분비의 고체가 석출된다항공기 등에서 지상을 촬영한 공중
사진
을 이용하는
사진
측량 제2차 세계대전 후 급속하게 발달하여 현재는 전세계의 지도들이 대부분 이 방법으로 제작되고 있다 위에서 밑으로 향하는 대기중의 전기장 공중 전기장이 있기 때문에 공지전류(空地電流)가 생기게 ... ...
또다른 내가 무한개 우주에 살고있다
과학동아
l
200304
아버지가 어머니의 사랑을 얻는데 실패하게 될 상황이 되자 마티가 지니고 있던 가족
사진
에서 마티의 모습이 조금씩 사라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정말로 그런 일이 벌어질 수 있을까. 사실 이것은 궁금증을 유발하긴 하지만 그렇게 심각한 상황을 만들어내지는 않는다.그렇다면 이런 상황을 한번 ... ...
광고 속 공기청정기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200304
이 중에서도 점점 더 청정한 환경을 요구하는 곳이 바로 반도체 크린룸이다.TV나
사진
에서 보면 반도체 공정실에서는 마치 우주비행사와 같은 특수복을 입고 다닌다. 이 안에서 근무하는 사람은 화장도 할 수 없다고 한다. 아주 미세한 입자가 반도체에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 있기 때문이다.현재 ... ...
화성 협곡 형성의 비밀은 눈?
과학동아
l
200303
교수는 NASA의 화성탐사선 ‘오디세이’와 ‘마스 글로벌 서베이어’가 추가로 보내온
사진
을 판독해 이같이 발표했다. 크리스틴슨 교수에 따르면 화성은 수십만년 동안 자전축이 천천히 기울어지면서 20° 이상의 기울기가 바뀌었다. 양극 중 하나가 태양 쪽으로 기울어지기 시작할 때 이전보다 더 ... ...
노화방지 효소 구조 최초 규명
과학동아
l
200303
통해 몸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고 설명했다.인씨와 남 교수는 이 효소의 X선
사진
을 찍어 구조를 밝히는데 성공했다. 이번에 발견된 효소는 노화를 방지하는 기능 외에도 여성호르몬을 합성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남 교수는 “이 효소를 치매 방지 등 노화를 막는 신약 개발 등에 이용할 수 ... ...
장거리 여행객 위협하는 이코노미클래스 신드롬
과학동아
l
200303
떠 있는 일종의 구름과 같다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볼 수 없으며 수소 알파선이나 단색광
사진
에서 잘 보인다 안정된 홍염은 수개월에 걸쳐 그 형태를 유지하지만, 갑자기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것들도 있다전자 한 개의 움직임을 조정해 작동하는 논리회로나 전자 한 개를 잡아두었다가 놓아주는 ... ...
키스할 때나 누드일 때나 조각상은 우파
과학동아
l
200303
키스가 단연 화제였습니다. 과학전문지와 사뭇 동떨어져 보이는 로댕의 조각 ‘키스’
사진
과 함께 게재된 한쪽 짜리 논문이 바로 키스를 할 때 어느 쪽으로 고개를 돌리느냐에 대한 것이었기 때문입니다. 이 논문에 따르면 키스를 할 때 고개를 왼쪽으로 돌리는 사람보다는 오른쪽으로 돌리는 ... ...
이전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