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5,291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02
폴 톰슨 박사는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를 이용해 일란성 쌍둥이 10쌍의 뇌
사진
을 비교한 뒤 이같은 결과를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지에 발표했다. 동일한 환경에서 자란 일란성 쌍둥이를 조사 대상으로 택한 톰슨 박사의 연구는 IQ에 대한 유전자의 효과를 알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이었다.연구팀에 ... ...
사이언스 북
과학동아
l
200302
넘기다보면 굳이 읽지 않고도 과학의 역사를 가늠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만큼
사진
과 그림 등 이미지의 힘이 강한 책이라는 뜻이다.‘사이언스 북’이 가진 특별함은 무엇보다 책의 구성에 있다. 첫장부터 마지막장까지 왼쪽에는 과학의 역사에서 전환점으로 기록될만한 사건에 대한 ... ...
혜성 핵을 향한 여행
과학동아
l
200302
무선신호를 자동적으로 인계해주기 때문에 끊김이 없이 계속 통화할 수 있다전송
사진
이나 텔레비전 등의 화상(畫像)을 분해하거나 조립할 때, 주사점이 화면을 이동하는 수평방향의 선 한장의 그림을 전기신호의 강약으로 바꾸어서 보낼 경우 전체를 극히 작은 직사각형의 부분으로 나누고 다음에 ... ...
전통 속의 첨단보안시스템 비밀자물쇠
과학동아
l
200302
사용됐는데 겉에 열쇠구멍이 없다. 열쇠를 어떻게 사용할지 난감할 수밖에 없다. 168쪽 윗
사진
을 보자. 우선 자물쇠 왼쪽 고삐앞판에 붙어있는 꽃무늬의 광두정을 아래로 누른다(1단계). 광두정을 누른 상태에서 줏대를 고삐방향으로 민다(2단계). 그러면 오른쪽의 회전판을 회전시킬 수 있다(3단계) ... ...
이라크 무기사찰에서 사용되는 불법무기 추적법
과학동아
l
200301
원인(猿人)에 뒤이어 30만∼70만년 전 출현했던 화석인류천체관측용 망원경 육안관측과
사진
촬영에 쓰이며 굴절식과 반사식이 있다도형이나 화상을 수치데이타로 바꾸어서 컴퓨터에 기억시켜 놓고, 그 데이터의 일부를 변경시킴으로써 원하는 도형으로 만드는 것민물·습지 등 어디에나 분포하는 ... ...
2003년 생활 변화시킬 IT제품 퍼레이드
과학동아
l
200301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오토포커스가 된다는 점이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가까운 곳의
사진
을 제대로 촬영할 수 있다. 렌즈 커버를 열고 닫으면서 전원을 온오프할 때의 구동시간은 거의 실시간이라는 생각이 든다. 손에 들고 다니면서 중요한 부분을 놓치지 않고 촬영할 수 있는 결정적인 기능이다. ... ...
대마젤란은하에서 발견된 '양' 성운
과학동아
l
200301
나온다.또한 ‘양 성운’ N30B에도 신화에 등장하는 헤르메스처럼 조연이 등장한다.
사진
맨위쪽에 있는 매우 밝은 별이 연기입자를 비추는 플래시처럼 양 성운을 비추고 있다. 헤니즈 S22이라는 이 별은 양 성운에서 단지 25광년 떨어져 있는 초거성이다. 만일 양 성운에서 S22 별을 바라본다면 ... ...
겨울밤의 명소 오리온대성운
과학동아
l
200301
눈은 성운의 색깔을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성운은
사진
처럼 붉게 보이지 않는다. 반면
사진
에서는 오랜 시간 동안 성운의 빛을 받기 때문에 붉은색이 드러난다.그럼 오리온대성운은 어떻게 보일까. 다만 희뿌연 구름 같은 모습으로 빛난다 ... ...
모험이의 스타워즈 에피소드
과학동아
l
200301
아르미뉴므다. 프라스티크 행성은 플라스틱 생산이 산업기반을 이루고, 피르므통 행성은
사진
가들이 주로 활동하고 있다. 또 아르미뉴므 행성은 알루미늄이 풍부한 것으로 유명하다.모험이는 각 행성에서 어떤 음파건을 만들어낼까.어드벤처 1 프라스티크 행성-플라스틱 팬파이프어드벤처 2 ... ...
달에서 갓 태어난 충돌구덩이 발견
과학동아
l
200301
천문학자들은 달탐사선의
사진
을 검토했다. 1994년 달탐사선 ‘클레멘타인’이 찍었던
사진
을 보자 1953년 섬광이 나타났던 그곳에 2km 크기의 크레이터가 모습을 드러냈다. 달 표면 아래의 흙이 튀어나와 갓 태어난 것처럼 밝고 푸르게 보였다. 과학자들은 이 크레이터를 통해 달 토양을 연구할 수 ... ...
이전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