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5,291건 검색되었습니다.
털모자 눌러쓴 에스키모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12
겨울철 추위를 내몰 만한 훈훈한 대상이 없을까.허블우주망원경이 찍은
사진
을 보자.
사진
의 주인공은 NGC2392(에스키모성운)이다. 1787년 독일 태생의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이 처음 발견한 이 성운은 보통 망원경으로 보면 파카의 털모자를 뒤집어쓴 사람의 얼굴처럼 보인다. 그래서 별명도 ... ...
우주를 이해하는 표본 태양
과학동아
l
200212
일어난 거대한 지진의 충격파를 관측하는 쾌거를 달성하기도 했다. 소호가 촬영한
사진
에서는 연못에 돌을 던지고 난 후 생기는 파문과 같은 충격파가 동심원으로 퍼져나가는 모습을 선명히 볼 수 있다. 이 거대 지진은 태양 표면에서 일어난 대폭발(플레어)이 원인으로, 이 폭발 에너지가 태양 ... ...
상식에 어긋나는 흑맥주 기포의 추락
과학동아
l
200212
하나의 프린터 헤드에 2백개 가량의 노즐들이 수μ초마다 미세한 잉크 방울을 뿜어내면서
사진
과 같은 고해상도로 프린트해낸다. 그러면서도 버블젯 프린터는 레이저 프린터에 비해 가격이 훨씬 싸다.노즐에서 짧은 시간만에 미세한 잉크방울을 뿜어낼 수 있는데는 기포를 제어하는 기술 덕분이다. ... ...
5백년만에 드러난 숨겨진 화가
과학동아
l
200212
들어간 적외선은 스케치에 쓰인 목탄이나 잉크, 연필 속에 들어있는 탄소분자에 흡수돼
사진
에서 검은선으로 나타납니다.이는 한때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투시카메라’와 원리가 같습니다. 투시카메라는 적외선을 내보낼 수 있기 때문에 렌즈 앞에 가시광선 차단 필터를 끼우면, 옷의 색을 ... ...
2002 화학상 - 생체분자 분석하는 획기적 방법 개발
과학동아
l
200211
자신의
사진
을 넣은 크레디트 카드나 명함을 흔히 볼 수 있다. 또한 모든 사람이 날씬한 몸매를 갖기 원한다. 외모가 중요한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단백질’이란 생체분자는 어떻게 생겼을까.단백질의 세계에서는 인간 사회보다 모습이 훨씬 중요하다. 어떻게 생겼냐에 따라 서로 ... ...
2. 3회 연속 수상한 일본의 비결
과학동아
l
200211
손님들이 잘라달라고 해 버려진 물고기 머리를 얻어다 해부했다. 꺼낸 조직은
사진
필름통이나 잼을 넣었던 빈 병에 보존했다. 비둘기를 사용한 실험도 했다. 이때는 연구비용이 ‘엄청나게(?)’ 들어갔다. 마을의 ‘비둘기 애호회’가 기르던 30마리를 연구에 사용하도록 제공받았으며, 그는 이에 ... ...
이모티콘 탄생 20주년
과학동아
l
200211
평행성의 개념」이라 불리고 있다그 밖에 상대론과 탄성학에도 업적을 남겼다렌즈나
사진
감광재료 등의 광학계가 가진 공간 주파수 전송능력을 나타내는 함수 입력 분포의 푸리에 성분과 출력 분포의 푸리에 성분의 비를 공간 주파수의 함수로 나타낸 것이며 해상력을 표시하는 방법을 ... ...
개구리소년 미스터리의 실체
과학동아
l
200211
목매단 채 시신으로 발견된 대우중공업 노동자 정모씨의 경우에도 지난 8월 16일 의문
사진
상규명위원회가 자살이 아니라고 밝힌 근거는 토양검사를 통한 증거였다. 만일 정씨가 나무에 목을 매 자살했다면 9개월 동안 사체가 부패할 때 발생하는 다량의 유기물질이 시체가 발견된 토양을 오염시켰을 ... ...
재앙과 자원의 태양계 야누스 소행성
과학동아
l
200211
달성됐다. 착륙 과정에서는 10cm 크기의 물체까지 식별할 수 있는 높은 해상도의
사진
이 전송돼 향후 소행성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한편 니어의 탐사과정에서 에로스에는 금, 은을 비롯한 희귀 광물이 최소 2백억t이나 매장돼 있어 에로스의 자산 가치가 무려 20조달러 이상에 이른다는 ... ...
현실의 법의학 vs 드라마 과학수사대
과학동아
l
200211
두번째 볼 때 각각 다른 뇌파를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용의자에게 범죄현장의
사진
을 보여주고서 뇌파를 분석하면 범인인지를 가려낼 수 있다. 물론 뇌 지문 기술은 아직까지 논란거리다.그런데 이같은 첨단과학수사기법조차 일반인들이 시큰둥해 하고 과학수사의 지지부진한 전개에 ... ...
이전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