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5,291건 검색되었습니다.
3 붉은 행성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307
1만6천장 이상의
사진
촬영. 탐사로봇 소저너는 착륙선 주위를 돌아다니며 5백50장의
사진
촬영1998년 일본의 노조미: 화성에 가기 위한 추진력 부족. 2003년 12월 화성 도착 예정1998년 미국의 화성 기후 궤도선: 화성 궤도 진입 과정에서 파괴됨1999년 미국의 화성 극지 착륙선: 화성의 남극 근처에 착륙 ... ...
은막 위에 펼쳐지는 향연 극장
과학동아
l
200307
들어있다. 영사기에서 필름이 돌아갈 수 있도록 양쪽에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이 일반
사진
필름의 모양과 비슷하다. 그런데 필름 양쪽 가장자리에 영화의 음향이 저장돼 있다. 아날로그 음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화시킨 다음 레이저를 이용해 필름 사이에 기록한다. 아날로그 CD롬에 디지털 데이터를 ... ...
태양 표면은 울퉁불퉁
과학동아
l
200307
표면에서 온도가 높은 부분으로 자기장에 의해 생성된 구멍이라고 생각됐다. 그러나
사진
은 백반이 3백km 이상 솟은 기다란 담 형태며, 이곳에서 주변보다 많은 빛을 방출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번 연구결과는‘태양물리학’지에 발표될 예정이다 ... ...
핏빛으로 물든 괴물 기둥
과학동아
l
200307
원뿔형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 불리는 이 천체는 전체 길이가 7광년에 달한다.
사진
에 찍힌 모습은 성운의 꼭대기 부분으로 2.5광년의 길이에 해당한다.그렇다면 원뿔성운이 핏빛으로 붉게 물든 사연은 무엇일까. 원뿔성운의 꼭대기 저편에 위치하고 있는 뜨겁고 젊은 별에서는 강력한 ... ...
여름 은하수에 묻혀있는 쌍둥이 별무리
과학동아
l
200307
구별되기 때문에 뿌옇거나 흐릿하지 않고 원래의 모습이 그대로 선명하게 드러난다. 또
사진
에서 보는 모습보다 더욱 생동감 있게 보인다. 산개성단은 초보자들에게 가장 적합한 대상인 셈이다.지금부터 여름밤을 맞아 절대 놓칠 수 없는 산개성단 하나를 찾아보자. 은하수가 굽이굽이 흘러가는 ... ...
1 지구에서 등정하는 화성의 올림푸스
과학동아
l
200307
기후와 높은 분화구, 적갈색의 화산암으로 이뤄진 삭막한 풍경은 화성탐사선이 보내온
사진
속의 화성과 매우 흡사하다.다큐멘터리의 첫 부분은 탐사팀이 올림푸스 산 정상으로 오르는 과정이다. 탐사팀은 실제감을 더하기 위해 우주복을 입고 푸르네스 정상을 오른다. 이들이 입은 오렌지색의 ... ...
2 외계생명체 찾는 첨단로봇들의 화성침공
과학동아
l
200307
화성 표면에서 탐사로봇이 얻은 정보를 지구에 전송하는데도 유리하다. 화성에 대한
사진
이나 탐사자료도 더 많이 지구로 보낼 수 있다.이들 3대의 탐사선이 화성에 가는 이유는 무엇일까. 지구 밖에서 생명체가 기대되는 가장 유력한 후보 가운데 하나가 바로 화성이기 때문이다. 아직까지도 화성에 ... ...
노안 부르는 수정체 변화
과학동아
l
200307
있다. 사물에서 반사된 빛은 눈의 수정체를 통과하면서 굴절돼 망막에 상이 맺힌다.
사진
기의 렌즈에 해당하는 수정체는 모양체에 의해 두께가 조절된다. 모양체와 수정체는 모양소대라는 끈처럼 생긴 근육으로 연결돼 있다.수정체가 자라 노안 발생? 가까운 거리를 볼 때는 모양체가 모양소대를 ... ...
우주에 거대한 바다 넘실대는 사연
과학동아
l
200306
비춰 밝게 드러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사진
에 찍히지 않았지만 왼쪽 위 방향으로
사진
바깥에 있는 젊고 무거운 별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이 별에서 쏟아져 나온 자외선이 검붉고 차가운 가스구름의 표면을 깎아내고 가열해 해안의 파도를 탄생시킨 것이다.따듯해진 가스구름 표면은 ... ...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0306
것이 많고 1° 정도의 것도 있다분광
사진
기의 슬릿과 콜리메이터를 생략하여 프리즘과
사진
기만으로 만든 것에 해당한다한번에 많은 별의 스펙트럼을 신속히 촬영할 수 있으므로 별의 스펙트럼 분류 목적에 쓰이지만 별의 상은 시상의 크기를 가지므로 높은 분리능을 바랄 수는 없다대사과정에 ... ...
이전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