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공]"(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와이어드넥스트 2005과학동아 l2005년 08호
- 미래 기술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와이어드넥스트 2005’가 지난 6월24일~26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회에는 세계 각국의 100여개 첨단 연구소와 기업이 참여해 통신·디자인·엔터테인먼트·탐험·보건 각 분야에서 성큼 다가온 첨단 기술 사회의 청사진을 그렸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 ...
- 쿼티 vs 드보락 자판기과학동아 l2005년 08호
- 지금 우리가 쓰는 컴퓨터 영문 자판을 보면 왼쪽 윗부분 철자들이 Q, W, E, R, T, Y의 순서를 하고 있다. 이런 순서 때문에 이 자판은 일명 ‘쿼티’(QWERTY) 자판이라고 불린다.쿼티는 컴퓨터가 보편화되기 이전인 타자기 시대에 표준 자판이었는데, 이것이 컴퓨터 시대까지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쿼티 ... ...
- 칩 위에 세운 생물 실험실과학동아 l2005년 08호
- BT, IT, NT. 이제는 우리 귀에도 친숙한 단어들이다. 각각 생명공학, 정보기술, 나노기술의 약자다. 그럼 ‘BINT’는 뭘까. 초코과자 이름과 비슷하다고? 앞의 세 단어를 합치면 정답이 나온다. 세 기술을 융합한 바이오정보나노기술(BINT)이 그것이다.BINT 연구엔 여러 전공의 유기적 연결이 필수적이다. ... ...
- 02. 이공계 진로지도 해법은 없나과학동아 l2005년 08호
- “난 ESTJ야. 넌?” “난 INFP야.”“그럼 넌 카운슬러, 노사관계 전문가, 법률중재자, 언어치료사가 어울리겠네.”“뭐야, 내가 하고 싶은 일은 하나도 없잖아.”여고생 둘이 머리를 맞대고 검사 결과를 함께 맞춰 보고 있다. 그들이 손에 든 것은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성격유형검사. 몇 년 전부터 ... ...
- 사람을 구별하는 귀과학동아 l2005년 08호
- 귀 모양을 이용해 사람을 구별하는 기술이 개발됐다.영국 사우스햄턴대 마크 닉슨 교수는 “귀를 이용한 생체인식 기술을 개발해 실험한 결과 얼굴 인식 기술보다 훨씬 효과가 좋았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는 ‘컴퓨터 시각과 이미지 이해’지에 실렸다.닉슨 교수는 “귀는 얼굴과 달리 나이와 감 ... ...
- 미션 투 스페이스과학동아 l2005년 08호
- 다시 우주의 문이 열리기 시작했다. 2003년 컬럼비아 참사 이후 처음으로 우주왕복선이 우주로 향한다. 매년 수차례 지구에 나타났다 사라지는 혜성의‘보물창고’가 무엇인지, 딥임팩트가 그 수수께끼를 풀어줄 단서를 찾는데 성공했다. 인간의 열정과 끈기로 이뤄낸 무한 우주 도전 스토리를 소개 ... ...
-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행진곡과학동아 l2005년 08호
-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가 올해로 21세가 됐다. 2010년 퇴역을 앞두고 있으니 우주선 가운데 ‘노장’인 셈. 지금 노장의 어깨는 무겁다. 2003년 2월 1일 컬럼비아가 임무를 마치고 돌아오던 중 착륙을 16분 앞두고 미국 텍사스 상공에서 폭발한 뒤 처음으로 시도하는 우주비행 임무를 떠맡았기 때문이다 ... ...
- Ⅱ. 한여름밤 혜성의 누드쇼과학동아 l2005년 08호
- 46억년전 현재의 태양계 자리에는 구름 같은 성운과 티끌 등 성간 물질들이 널려 있었다. 먼 미래에 지구 과학자들이 이곳을 ‘태양계 성운’이라고 부를 터였다. 태양계 성운은 우리 은하의 긴 나선팔 일부가 붕괴되면서 탄생했다.태양계 성운이 계속 수축하고 회전이 빨라지면서 성운은 편평한 원 ... ...
- 01. 다시 태어나도 이공계 가겠다과학동아 l2005년 08호
- 한국의 평균 과학자고등학교 때 흠이와 호기심을 쫓아 이공계 진학을 결정했으며, 자신의 전공과 직업에 대해 만족하고 있다. 이공계 진학 당시 교사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 좋은 연구성과를 거둘 때 큰 보람을 느끼며, 대학에서 일하고 싶어한다.한국의 과학기술인 10명 중 7명은 다시 태어나 ... ...
- 헤르츠의 전파검출 실험과학동아 l2005년 07호
- 불과 150년 전만 해도 인류는 전파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지 못했고 전파를 통신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을 줄은 꿈에도 몰랐다. 1888년 독일의 물리학자 하인리히 헤르츠가 전파의 존재를 발견했음을 세상에 알렸고 이로써 전파시대는 개막됐다. 이 실험은 물리학계를 뒤집은 큰 사건이었다.전기와 자 ... ...
이전3813823833843853863873883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