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영
번성
번창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일본 과학자들이 깊은 바다 속에 살고 있는 대형오징어를 처음으로 촬영했다. 연구팀은 일본 남부 보난섬 부근에서 8m 길이의 대형오징어가 먹이를 공격하는 순간을 찍었다. 인공적으로 지능을 구현하는 기술이나 그 실체를 뜻함 그 실체는 영화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할'(HAL)처럼 컴퓨터일 수 ... ...
벼룩 닮은 슈퍼 고무 탄생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곤충의 유전자를 이용해 슈퍼 고무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호주 CSIRO사 크리스 엘빈 박사팀은 벼룩의 다리근육에서 발견된 ‘레실린’(resilin)이라는 단백질을 실험실에서 만드는데 성공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 10월 12일자에 실렸다.이 단백질은 곤충에게서 많이 발견된다. 벼룩이 자기 키의 수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나는 네가 한 살 때 한 일을 알고 있다?’ 미국 암허스트 소재 매사추세츠대 천문학과 윤민수 교수의 ‘특기’다. 다만 그 대상이 사람이 아니라 우주일 뿐. 인간의 평균 수명을 70세로 보면 우주의 나이가 현재 137억년이니까 빅뱅 후 1억년 쯤 지난 우주는 한 살 된 갓난아기인 셈이다.정작 당사자 ... ...
줄기세포의 줄기를 잡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첫 월급을 탔다. 이것도 하고 싶고 저것도 하고 싶은 행복한 고민에 빠진다. 부모님께 드릴 선물을 사고 남은 돈을 일단 은행에 맡긴다. 은행은 고객의 돈을 대신 안전하게 보관할 뿐 아니라 고객이 선택한 예금상품에 따라 이자를 붙여 불려주기도 하고, 큰 돈이 필요한 기업에게 빌려주기도 한다. ... ...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갈라파고스 군도에 사는 핀치의 부리를 세밀하게 관찰해 그려놓은 그림 덕분에 찰스 다윈은 진화론이라는 대업을 이뤘다. 제임스 왓슨과 프란시스 크릭이 로잘린드 프랭클린의 X선 사진을 보지 못했다면 DNA으 구조는 지금까지도 수수께끼로 남아있었을지 모를 일이다. 열 명의 말이나 열 장의 글보 ... ...
"잠수함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장보고의 잠재력을 깨우기 위해 신라로 간 해치와 시아. 하지만 그들을 방해하기 위해 나타난 ‘세눈마신’에 의해 곤경에 처하는데…. 세눈마신에게 쫓겨 바다 깊숙한 곳까지 도망친 장보고 일행. 숨은 점점 가빠 오고 컴컴한 바닷 속은 무섭기만 하다. ‘조금만 있으면 세눈마신이 우리를 찾을 텐 ... ...
중국 두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6호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중국 최초의 우주인 양리웨이가 우주를 다녀온지 불과 2년만에 중국은 두번째 유인우주선 발사에 성공했다. 두 명의 타이코노트(중국 우주인을 일컫는 신조어)는 5일 동안 우주에 머물면서 우주선에 마련된 실험실에서 각종 무중력 실험을 실시했다. 선저우6호는 지구를 77바퀴를 돈 뒤 10월17일 무사 ... ...
교육의 꿈을 실현하는 수학자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와, 선생님 오셨다.” 전라남도 광주에서 멀지 않은 작은 시골 마을, 책상도 없는 사랑방에서 초롱초롱한 두 눈을 크게 뜨고 마음 졸이며 기다리고 있던 아이들과 머쓱하게 앉아있던 농촌의 아저씨들이 서울에서 온 선생님을 큰 소리로 반겼다. 벌써 30년도 훨씬 전의 일이다. 보릿고개를 넘겨야 했 ... ...
잃어버린 나를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뇌 안에 운동보조 칩을 삽입하시겠습니까?” 담당의사가 그에게 물었다. 그는 지난 2025년 암벽을 등반하다가 추락해 목 아래가 마비됐다. 이런 경우 운동중추에 미세전극이 집적된 칩을 이식하는 수술이 이미 일반화돼 있다는 것을 그도 알고 있었다.“어떤 옵션을 택하시겠습니까?” 의사가 다시 ... ...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식량농업기구(FAO)는 야생조류의 이동 경로를 따라 조류독감이 퍼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아시아와 유럽 야생조류의 이동 경로가 서로 겹치면서 아시아에서만 60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간 H5N1 바이러스가 확산되고 있다. 대수학에서 사용하는 이론의 하나 갈루아는 대수방정식의 근(根) 사이의 치환 ... ...
이전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