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성공]"(으)로 총 10,30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기원NOW] KAIST, 콩벌레 공생 곰팡이 유래 항신경염증물질 합성 外동아사이언스 l2025.07.31
- (왼쪽부터) 이유진 KAIST 화학과 석박사통합과정생(제1저자), 김태완 석박사통합과정생, 한순규 교수. KAIST 제공. ■ KAIST는 한순규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콩벌레와 공생하는 곰팡이에서 발견된 천연 항신경염증 물질 ‘허포트리콘 A,B,C’를 세계 최초로 합성했다고 31일 밝혔다. 허포트리콘은 뇌 속 염 ... ...
- [사이언스게시판] IBS, 영국 케임브리지대에 협력연구실 설치 外동아사이언스 l2025.07.31
- 기초과학연구원(IBS) 및 영국 케임브리지대 캐번디시연구소 관계자들이‘글로벌 파트너랩’ 현판식을 25일(현지시간) 갖고 있다. IBS 제공.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영국 케임브리지대 캐번디시연구소에 ‘글로벌 파트너랩’을 설치하고 25일(현지시간) 현판식을 개최했다고 31일 밝혔다. 양 기관은 ... ...
- 고생물 ‘넥토카리디드’ 50년 정체 논란에 마침표동아사이언스 l2025.07.31
- 넥토카리디드인 '넥토그나투스 에바스미싸이' 상상도. 극지연구소 제공 국내 연구팀이 고생물 ‘넥토카리디드’가 원시 화살벌레의 일종이라는 점을 세계 최초로 입증했다. 학계에서 50년간 이어진 넥토카리디드의 정체 논란에 마침표를 찍은 것이다. 극지연구소는 박태윤 빙하지권연구본부 ... ...
- 에너지연, 풍력발전 국제공인시험기관 됐다…수출경쟁력 확보동아사이언스 l2025.07.31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진이 풍력발전시스템 외부 현장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에너지연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너지연)이 풍력 분야 국제공인 재생에너지 시험기관 자격을 획득했다. 해외에 의존하던 국산 풍력발전시스템 인증을 국내에서 해결해 국내 풍력산업 수출 경쟁력을 확보한 ... ...
- 국내 최초 멸종위기 산양에서 줄기세포 유도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5.07.30
-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환경부 산하 국립생물자원관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인 산양 모근에서 채취한 체세포를 초기 줄기세포 상태인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로 되돌리는 데 국내 최초로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투고될 예정이다. 국립생물 ... ...
- 체액으로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2025.07.30
- 유은아 표준연 책임연구원(왼쪽)과 김령명 표준연 선임연구원이 SERS 나노입자 기반 생체지표 검출 결과를 분석하고 있다. 표준연 제공 간단한 체액 검사로 알츠하이머를 진단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표준연)은 유은아 바이오의료측정본부 의료융합측정그룹 책임연구원팀이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닮은듯 다른 입시경쟁…中 '과기 굴기'·韓 '의대 추종'2025.07.30
- 정부와 교육계가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을 논의하는 가운데 의대 총장들이 의대 본과 4학년이 추가로 의사국가시험(국시)를 치를 수 있도록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제공 '의대 광풍'(狂風)에 내몰린 수험생들의 안타까운 현실을 적나라하게 소개한 KBS의 '다큐인사이트'는 충격이었다. ... ...
- ETRI-KAIST, 잡음 보정 없는 양자암호통신 검증…위성·드론·선박 적용동아사이언스 l2025.07.3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진이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ETRI 제공 국내 연구팀이 양자 암호통신 기술인 '양자 암호키 분배(QKD)'를 양자상태 측정 보정 없이도 구현하는 '측정 보호(MP)' 이론을 최초로 정립하고 실험 검증까지 성공했다. 위성이나 드론, 해상 통신 분야에 실용적인 양자 ... ...
- [과기원NOW] 폭발 없는 대용량 ESS '철-크롬 흐름전지' 수명 향상 外동아사이언스 l2025.07.29
- 왼쪽부터 이현욱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비디야 무랄리다란 연구원, 장지은 연구원.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이현욱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이 서동화 KAIST 교수, 귀이화 위 미국 텍사스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인 '철-크롬 흐름전지'의 성능 저하 원인을 규명 ... ...
- "3분 안에 당뇨 등 질병 진단"…KAIST, 초고성능 진단 촉매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5.07.29
- 이진우 KAIST 생명공학과 교수. KAIST 제공 복잡한 장비 없이 집에서도 당뇨나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등 만성질환을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 기술이 개발됐다. 의료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술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KAIST는 이진우 생명공학과 교수와 한정우 서울대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