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영
번성
번창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X선이 되살린 아르키메데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고대 그리스 수학자 아르키메데스의 수학책이 X선을 통해 되살아났다.이 책은 아르키메데스가 지은 수학책의 10세기 필사본이지만 중세와 현대를 거치며 그 위에 다른 글과 그림이 덧입혀져 아르키메데스에 대한 내용을 알아볼 수 없었다.미국 원형가속기방사광연구소 과학자들은 이 책에 X선을 쏴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지난 5월 19일 낮(현지시간) 세계의 눈과 귀가 영국 런던 과학미디어센터로 일제히 집중됐다. 지난해에 이어 또한번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일을 낸’ 서울대 수의학과 황우석 교수팀의 기자회견이 열렸기 때문.황 교수팀은 세계 최초로 난치병에 걸린 환자에게서 치료용 배아줄기세포를 얻어냈다 ... ...
VHS vs 베타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요즘 DVD 때문에 인기가 다소 떨어지긴 했지만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는 우리가 TV 다음으로 가장 많이 애용해온 기기일 것이다. 가정용 VCR에 쓰이는 녹화 기술은 VHS(Video Home System) 방식을 표준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일본의 JVC(Japan Victor Company)가 1976년에 개발했다. 재미있는 것은 당시 녹화 기술 ...
마침내 부활한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지난 1979년 포도주로 유명한 프랑스 꼬냑 지방의 한 작은 마을인 생 세사르에선 오래된 유골 하나가 발견됐다. 유골의 주인은 3만5000년 전 이 지역에 살았던 네안데르탈인 소녀였다. 소녀의 이름은 ‘피에레뜨’.이 발견을 기리기 위해 그 자리에 세계 최초의 멀티미디어 고인류 박물관이 세워졌다. ... ...
나노 기술로 거장의 작품을 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KAIST 기계공학동 건물 지하에는 오귀스트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 조각들이 진열돼 있다. 기계공학과 연구실에 왜 로댕의 작품이? 컴퓨터원용정형가공연구실을 이끄는 양동열 교수는 “우리 연구실의 최근 연구 작품”이라는 알듯 모를듯한 말을 던진다. 컴퓨터원용정형가공연구실(Laboratory for ... ...
"모터 없이 달리는 자동차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유레카 발명학교에 입학한‘구리구리 발명왕’의 주인공 동구리. 학교에서 주최하는 어린이 경주대회에 참가하게 되었다. 의기양양한 모습으로 출발선에 선 동구리. ‘이번에야말로 발명얼짱 잎새에게 멋진 모습을 보여 줘야지’라고 다짐을 하나 이걸 어째? 자동차 충전을 깜빡했잖아! 익히 알 ... ...
초소형 물질 붙이는 강력한 나노접착제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한국 과학자가 다양한 표면 위에 소형 구조물을 붙일 수 있는 강력한 ‘나노 접착제’를 개발했다.미국 매사추세츠주립대 유두열(36) 연구원은 IBM사와 함께 금속, 세라믹, 고분자 물질 등 다양한 물질의 표면에 소형 구조물을 붙일 수 있는 나노 접착제를 개발해‘사이언스’4월8일자에 발표했다. 이 ... ...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텍사스주 크기의 소행성이 지구로 돌진한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핵폭탄을 소행성 속에 장치해 이를 파괴하려 한다. 유전 굴착 전문가들이 작업에 투입된다.”1998년 개봉한 영화 ‘아마겟돈’의 줄거리다. 영화에서는 작은 소행성이 파리 시내에 떨어져 에펠탑이 눈깜짝할 새에 사라지는 모 ... ...
과학으로 더불어 사는 문화를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뽀샵으로 처리하지 마세요.”나도선 한국과학문화재단 이사장(56)은 인터뷰 사진을 찍기 위해 카메라를 들이대자 보이는 그대로, 있는 그대로 찍어줄 것을 부탁했다. 좋게 보이기 위해 일부러 편집하지 말라는 주문이다. ‘뽀샵’이란 ‘포토샵’(Photoshop) 같은 그래픽편집 소프트웨어로 실제 인 ... ...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17세기 공기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진공에 대한 관심과 맞닿아 있다. 당시 대부분의 학자들은 자연이 진공 상태를 싫어하기 때문에 자연 상태에서 아무 것도 없는 완전히 텅 빈 공간 같은 것은 없다고 믿었다.하지만 1643년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토리첼리는 실험으로 진공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했 ... ...
이전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