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단
방식
방책
양식
조치
방안
계획
d라이브러리
"
방법
"(으)로 총 12,960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다른 이의 마음을 어떻게 읽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읽는다.입장을 바꾸고, 감정을 함께 느끼고사람의 마음을 읽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방법
이 있다. 하나는 입장 바꿔 생각해보는 ‘조망수용’이다. 예컨대 어떤 사람이 사소한 일로 버럭 화를 냈을 때 왜 저러는지 이해하기 힘들다. 그런데 그 사람이 그날따라 아침부터 운이 나빠서 버스와 지하철을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정밀한 프라이머를 디자인하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방법
은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 만든 것으로, 프라이머 여럿을 후보군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목표가 아닌 유전자에도 달라붙는 쓸모없는 프라이머가 다수 포함돼 있다. 연구자가 하나하나 직접 적합성을 ... ...
Part 5. 초고속열차로 하나 되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하는 힘인 부력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해요. 물에 뜨는 부력 장치에 터널을 연결하는
방법
이나 현수교처럼 긴 케이블로 터널을 고정시키는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답니다.실제로 일본에는 혼슈와 홋카이도를 연결하는 길이 53.9km의 해저터널이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도 충남 보령시 대천항과 원산도를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내 맘대로! 컴퓨터 언어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다 사용된답니다.C언어의 가장 큰 특징은 기계어에 가깝다는 점이에요. 코드 구성
방법
이 간단해서 프로그래머들이 쉽게 익히고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지요. 예를 들어 C언어에는 ‘A의 조건이 맞는지 판단하라’는 명령어와 ‘조건이 맞으면 B를 해라’라는 명령어가 있어요. 이 두 명령어를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악기 없이 음악 연주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길이와 음을 조절할 수 있답니다.이 외에도 악기를 만드는
방법
은 많을 거예요. 자신만의
방법
으로 실험하는 모습과 실험 결과를 홈페이지에 올려 주세요. 이번 화에 나온 실험을 직접 해 보아도 좋아요. 멋진 실험 모습을 뽑아 ‘반짝반짝 소개터’에 싣고 선물을 보내 드릴 ... ...
[Editor’s note] 수학동아 폴리매스 프로젝트!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떠들면서 공부하는 게 실력이 느는 데 훨씬 좋을 수 있습니다. 서로 어떻게 풀었는지
방법
을 공유하기도 하고, 아이디어를 주고받기도 하면서요. 아이디어가 황당하면 어떤가요? 황당한 아이디어도 많이 내다보면 기발한 게 나오는 법입니다.내년부터 수학동아는 독자 여러분이 이런 활동을 ... ...
PART 1. 초기우주의 문을 보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증거가 나왔기 때문이다. 물론 대폭발 순간을 직접 볼 수는 없지만, 과학자들은 다양한
방법
으로 초기우주★의 모습을 보고 있다. 138억 년을 날아온 빛과학자들은 주로 빛을 이용해 우주를 관측한다. 이런 빛은 모두 과거에서 온다. 이 말이 이상하게 느껴진다면 잘 생각해 보자. 빛은 1초에 지구를 ...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
이 궁금한 수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배드민턴을 칠 때 힘의 크기와 방향을 미리 계산하거나 수영할 때 앞으로 빨리 나아갈
방법
을 계산할 수 있지는 않은지 궁금했다.“똑같아요. 다른 사람처럼 공이 오면 그쪽으로 달려가서 보내고 싶은 방향으로 칩니다. 액체의 운동을 다루는 유체역학을 안다고 수영을 잘하는 것도 아니에요.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종류별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골디락스 행성의 분포가 어떻게 변하는지 예측했다.연구
방법
자체는 단순하다. 현대천문학은 은하의 종류와 지속 시간에 따라 분포가 어떻게 변하는지 대략 알고 있다. 또, 각각의 은하에서 항성과 무거운 원소의 분포가 어떻게 바뀌는지도 알고 있다. 따라서 지각을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어떤 연구자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을까.연구자의 네트워크를 확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
은 함께 연구하고 논문을 저술한 공동저술관계(공저자 네트워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69년~2011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68명의 공저자 네트워크를 분석한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캐롤라인 와그너 ... ...
이전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