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법"(으)로 총 12,96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친구가 사라졌다면?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알리는 거예요. 데이터마이닝은 대량의 정보에서 유용한 정보만 뽑아 내는 데이터 분석 방법이에요.연일 언론매체에서 피해 복구 현황을 알려주지만 지역별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알려주지는 않아요. 정보를 모으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에요.일본 정부는 최대한 많은 정보를 ... ...
- [소프트웨어] 서큘러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대표는 무엇을 만들고 싶은지가 먼저라고 말한다. 결국 코딩도 자기 생각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무엇을 만들고 싶은지에 따라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도 달라진다.재밌으면서 보람 있는 일을 찾아!박 대표는 본인이 잘하고, 재밌게 할 수 있으며 보람이 되는 일을 찾았다. 어렸을 적부터 게임을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구분한다면 그렇다. 위상수학은 어떤 대상을 분류할 때, 그 물체를 휘감을 수 있는 방법과 종류가 무엇인지 따져 본다.대략 1960년대까지의 응집물리학은, 비유하자면 ‘똑같은 밀가루 반죽을 이용해 어떤 제조 과정을 거치느냐에 따라 최종 결과물은 빵과 과자와 케이크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 ...
- [Knowledge] 서열 사라진 사회에서 태어난 지상 낙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위주의 사회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런 행동 자체가 서로를 알아가고 관계를 만들어 가는 방법이자, 신뢰를 표현하는 의사소통의 방식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 때문인지 암컷의 클리토리스는 침팬지보다 크다.게다가 보노보의 생식기는 침팬지보다 배쪽에 치우쳐 있다. 다른 동물과 달리 보노보는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알 수 있습니다.”“돈을 받고 설문에 참여한 사람의 답은 신뢰할 수 없습니다. 조사방법론의 기초 아닌가요? 보상이 있다는 것을 아는 순간부터 사람들의 답은 왜곡되기 시작합니다.”내가 반박했다. 센서스 코무니스 대표는 기다렸다는 듯이 말을 이었다.“설문에 참여하는 사람의 답은 늘 ... ...
- [도전! 코드마스터] 논리적으로 생각하자! ‘컴퓨팅 사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어느 길로 갈 수 있는지, 또 어느 노선이 가장 짧은지 한눈에 알아볼 수 있죠. 이 방법을 머릿속에 잘 저장해 놓으면, 아무리 복잡한 지도를 보더라도 빠른 길을 금세 찾아낼 수 있을 거예요.컴퓨팅 사고는 이렇게 주어진 문제를 논리적으로 분석하고(문제 분해), 핵심 원리를 찾아내 문제를 단순하게 ... ...
- [수학뉴스] 내 수학 점수는 아빠 때문?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아무리 봐도 아빠랑 똑 닮은 내 얼굴. 혹시 수학 실력도 닮지 않았을까요? 최근 미국 피츠버그대 연구팀은 부모와 자녀의 수학 능력이 밀접한 관 ... “부모의 성별, 학력 등으로 세분화해서 연구해 가정에서 수학 우등생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데 힘 쓸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 ...
- [수학뉴스] 우울할 땐 암산이 약이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여러분은 우울할 때 어떻게 하시나요? 맛있는 음식을 먹는 사람도 있고 노래를 부르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미국 듀크대 연구팀이 암 ... 된다는 기존의 가설과 맞아 떨어진다”며, “이 연구가 우울감과 불안감을 낮추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는 데 쓰이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고독한 육상 선수를 찾는 외로운 주자 추측수학동아 l2016년 11호
- 풀 수 있는지 아무도 모릅니다. 어쩌면 여러분이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기발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그러니 이 문제를 수학적 귀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지, 아니면 조금 더 쉽게 미해결인 8명의 주자가 달릴 때 문제를 풀 수 있는지 혹은 문제를 다음과 같이 바꿨을 때 해결할 수 있는지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원래의 성질을 그대로 유지한다.위상수학을 직관적으로 설명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머그컵과 도넛이다. 머그컵과 도넛은 겉모습은 완전히 다르지만 구멍이 하나씩만 있다는 특징이 있다. 위상수학에서는 구멍의 개수로만 물체를 구별하기 때문에 머그컵과 도넛은 위상학적으로 동등하다 ... ...
이전376377378379380381382383384 다음